[인문과학] 한국의 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과학] 한국의 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떡의역사
1. 떡의 어원
2. 시대별로 보는 떡의 역사
1) 삼국시대 이전과 삼국시대
2) 고려시대
3) 조선시대
4) 근대이후

Ⅲ. 변화하는 떡
1. 떡 섭취의 실태
2. 떡의 변화
1) 떡 문화의 특성
2) 떡이 보완해야 할 점

Ⅳ.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 4
4) 근대이후 ..................................................................................................... 4
Ⅲ. 변화하는 떡 .................................................................................................... 5
1. 떡 섭취의 실태 ............................................................................................. 5
2. 떡의 변화 ...................................................................................................... 6
1) 떡 문화의 특성 ........................................................................................... 7
2) 떡이 보완해야 할 점 .................................................................................. 8
Ⅳ. 맺음말 ............................................................................................................ 9
<참고문헌> ........................................................................................................ 10
Ⅰ. 머리말
우리는 생활 속에서 떡을 많이 접하고 있다. 떡볶이나 떡라면 같은 것을 먹을 때 자주 먹게 되며, 명절이나 제사 또는 상(喪)을 당했을 때 뿐 아니라 돌이나 결혼식 등 특별한 날이 되면 접할 수 있다. 또한 ‘떡’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언어생활도 자주한다. \'시험을 떡 쳤다\'라는 속어 속에서 떡은 좋은 의미로 쓰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떡\'이라는 단어를 좋지 않은 의미에서 만 바라 볼 수도 없다. \'이게 웬 떡이냐\'라는 말은 우연히 좋은 일이 생겼을 때 자주 사용한다. 여기서 \'떡\'은 앞의 것과는 다르게 좋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떡은 우리 생활의 일부가 되어 함께 숨 쉬고 있다.
그러나 떡을 우리는 빵과 케이크에 비해 다소 멀게 느끼는 게 사실이다. 또 떡볶이나 떡 라면 등을 통해 떡을 일상에서 접한다고는 하지만 그것은 떡에 다른 어떤 재료도 추가하지 않은 상태의 떡이며 다른 음식에 곁들여 넣은 것으로 명절에 접하는 떡들에 비해서는 \'떡\'이 음식으로서의 독립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즉 \'떡\'이라는 음식 자체만 놓고서 볼 때 우리는 그것을 접하기 쉽지 않고 우리도 그것을 멀게 느껴지는 것이 사실이다. 게다가 우리가 바쁜 일상을 살다보니 \'Fast food\'를 즐기게 되면서 떡을 접하기란 더욱 쉽지 않다. 가정에서 생일을 치르거나 지인(知人)의 생일이 있을 때 흔히 준비하는 것이 케이크가 될 정도로 밀가루 식품을 더 많이 접하게 된다. 요즘 어린 아이들 또한 \'햄버거\'와 같은 \'패스트푸드\'를 즐기지 떡은 별로 먹으려 하지 않는다.
그러나 얼마 전 김치를 제외한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받았다. \'된장\', \'고추장\' 그리고 생각난 것이 바로 \'떡\'이었다. 쉽게 접하지는 않지만 종류도 많고 행사 때 마다 관례와 같이 등장하는 것이 \'떡\' 이기에 본인은 \'떡\'이라고 대답을 한 적이 있다. 관혼상제와 같이 특별한 날이 되거나 명절이 되면 우리는 \'떡\'을 찾고, 우리의 언어생활 속에도 \'떡\' 과 관련 된 말이 많은 것으로 보아 \'떡\'과 우리 문화 사이에는 분명히 말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관련이 있다. 물론 농경을 배경으로 한 동아시아 지역의 국가에 ‘떡’이 존재하고 있으나 강의명이 ‘한국 문화사’인 만큼, 우리 역사 속의 떡을 시대별로 찾아보고자 한다. 시대에 따라 달라진 떡 문화의 모습과 이에 발맞추고 있는 떡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그 문제점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Ⅱ. ‘떡’의 역사
1. 떡의 어원
우선 ‘떡’이라는 어휘를 떠나 ‘떡‘이라는 음식의 시작을 거슬러 가보기로 하겠다. 전에 밝혔듯 농경을 배경으로 형성된 문화권은 거의 떡을 먹은 것으로 추정된다. 주영하,《음식전쟁 문화전쟁》, 사계절, 2000년, 251p.
따라서 지역 마다 그것을 지칭하는 어휘는 각각 다를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우리가 사용하는 ’떡‘이라는 어휘와 관련 있는 문화(국가)의 어원을 찾아가는 것부터 시작하기로 하겠다.
우리의 ‘떡’의 어원은 중국의 한자어에서 찾을 수 있다. 한 대 이전에는 떡을 이(餌)라고 표기 했다. 강인희,《한국의 떡과 과줄》, 대한교과서, 1997년, 12p.
이는 밀가루가 보급되기 이전 쌀, 조, 콩 등을 찧어 가루로 만든 다음 반죽을 한 데서 시작 된 글자이다. 그리고 아직까지 이 글자의 생성 과정은 밝혀져 있지 않았다고 한다. 다만 《설문해자》에 의하면 ‘먹다’의 의미를 갖는 ‘식’과 고기 대 곡식의 비율이 1:2로 들어가는데 중국어에서 둘을 뜻하는 음 “얼”을 따다가 합쳐진 글
자인데 ‘귀 이(耳)’ 자의 음이 둘을 지칭하는 ‘이’와 같이 ‘얼’로 소리나 ‘귀 이(耳)’자를 썼다고 한다. 그러다가 한 대에 밀가루가 생겨나면서 기름에 지져먹는 형태의 ‘병(餠)’이 생겨났는데, 우리가 떡을 한자어로 표현 할 때는 ‘병’자를 썼다.
‘병’과 ‘떡’ 사이에는 아무런 연관이 없어 보이는데 우리에게 ‘떡’이라는 음이 나오게 된 이유는 ‘먹다’의 의미를 갖는 ‘食’과 여러 재료를 함께 섞는 다는 의미의 ‘병(幷)’ 자가 합쳐져 ‘집(集)’적인 의미를 갖게 되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즉 모이는 개념인 우리 말 ‘모으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4.12.20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5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