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에 대한 언론 보도 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살에 대한 언론 보도 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죽음에 대한 언론 보도의 태도

2. 언론의 자살보도
(1) 자살보도의 중요성
(2) 자살보도의 문제점
(3) 유명인사의 자살보도
(4) 소외된 노동자의 자살보도

3. 결론

본문내용

체)인 인터기업에서 일하다 지난해 말 퇴사한 상태다.
박씨의 분신 자살과 관련, 비정규직 차별 철폐 문제가 올해 초 노정(勞政) 관계의 주요 쟁점이 될 전망이다. 한국노총은 15일 서울 여의도에서 조합원 5000여명(경찰추산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비정규직 노동자 차별 철폐 보호 강화 촉구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문갑식기자 gsmoon@chosun.com
올해는 그 어느 때보다 유난히 노동자들의 안타까운 사건들이 줄지어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대하는 신문이나 방송 등 언론의 보도태도가 이에 대한 정확한 의미 전달보다는 이번 문제를 단순한 개인적인 사건, 또는 개별사업장만의 문제로 축소, 한정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같은 지적은 일이 터지고 나서야 약간의 관심이라도 보이기 시작하는, 우리 언론의
고질적인 문제점에서 시작된다.
근로복지공단 비정규직 노조 조합원 성모(36)씨는 "불과 열흘 사이에 세 명의 동료가 목숨을 내던졌는데도 언론은 관심조차 보이지 않았다"면서 "이전부터 방송에서 노동계 최대 현안인 손배가압류나 비정규직 문제 등을 심도있게 논의했다면 이들의 생명을 구할 수도 있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언론은 유명인사의 자살보도 등 선정적인 내용만 기사거리로 담기를 급급하지 말고 소외된 사람들의 자살원인을 알아보고 그 문제점에 대해 보도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3. 결론
지금까지 언론의 죽음의 대한 태도를 자살보도를 중점으로 살펴보았다. 주로 신문의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방송도 예외는 아니다. 어쩌면 죽음의 보도에 대해 방송은 눈으로 보여 주는 것이기 때문에 더 선정적이 될 수도 있다. 그 죽음이 타살이든 자살이든 한 사람의 죽음이라는 것은 안타깝고 슬픈 일이다. 그 일을 단지 하나의 가십거리로 삼기 위해 선정적이고 상업적으로 이용한다면 그것은 언론의 보도태도에서 당장 고쳐야 할 점일 것이다.
또 한가지 사회문제에서 중요한 사람의 죽음이 있을 때 그것의 원인이나 문제점 등을 밝히려고 할 때 정치적으로 이용 한다던가 죽은 사람의 신분에 따라 내용을 차별해선 안된다는 점이다.
우리나라 언론이 지금까지는 죽음에 대해 잘못된 보도태도를 보이고 있었지만, 메이져 신문사나 방송사말고도 네티즌이나 시민단체 다른 인터넷 신문사 등에서 올바른 보도 태도를 나타내려는 노력이 보이고 있으므로 점점 더 나은 죽음에 대한 보도 태도로 된 언론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키워드

자살,   언론,   보도태도,   매스컴,   죽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12.22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8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