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종이공예란?
※전통오색전지공예
※역 사
※지紙공예의 분류
(1) 오색전지공예(五色剪紙工藝)
(2) 지승공예 (紙繩工藝)
※색지공예의 종류
(1) 여성용 색지공예품
(2) 남성용 색지공예품
(3) 그밖에 색지공예품
※전통오색전지공예
※역 사
※지紙공예의 분류
(1) 오색전지공예(五色剪紙工藝)
(2) 지승공예 (紙繩工藝)
※색지공예의 종류
(1) 여성용 색지공예품
(2) 남성용 색지공예품
(3) 그밖에 색지공예품
본문내용
서류함, 화살통, 안경집, 동고리류,지독,갈모등 이외에 많은 유물들이 남아 있다.유물들을 보면 누른 빛깔이 나는 작품들이 많이 보이는데 이것은 흰색계열의 한지를 2~3겹 붙여 준 뒤 콩댐 또는 기름류를 발랐기 때문에 색상이 누른 빛깔의 종류가 많이 남아있다. 골격의 소재는 나무류, 싸리나무, 한지, 판지 등이 있다.
(1)-3 지화공예(紙花工藝)
전지공예에 속하는 기법인데 주로 외각의 선을 생화 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한지를 가지고 꽃모양을 만들어 준 공예이다.
이 꽃은 국가 행사 때 생화 대신 다양한 종이 꽃을 만들어 사용 했으며 장원 급제자에게 하사하는 어사화를 만들어 사용했다.
그리고 불교사찰이나 무속인들이 주로 많이 사용한 공예이며 약 2~30년 전 까지도 상여에 종이 꽃 장식하여 주었는데 지금도 종이 꽃 상여를본 분들이 많을 것이다.
(1)-4 지화공예(紙畵工藝)
지화공예는 장지공예에서 물감을 사용하여 오색전지처럼 분위기가 나게 그려준 것인데, 골격을 만든 후 오색지를 단색 또는 이색 사색을 작품의 성격에 맞게 붙여 준 후 문양을 전지해서 붙이지 않고 물감 (당채나 담채 또는 먹물)을 사용하여 문양을 그려서 마감한 작품이다.옛 작품 중에는 다양한 기물들이 보이는데 의거리장, 소품보관 반닫이, 갓집, 고비, 필통, 상자류, 반짇고리등 이 밖에 여러 종류의 작품에서 볼 수 있다.
(1)-5 지호공예(紙糊工藝)
지호공예의 역사는 그리 오래지 않다. 활발하게 제작 사용한 시기는 양지가 들어온 이후인 약 30~60년 전 쯤이다.
작품을 보면 그 재료는 주로 양지를 사용하였다. 신문이나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난 후의 폐지를 이용하여 기물을 만들었는데, 장인들의 솜씨가 보기 어려울 정도로 작품들이 미적 감각이 떨어지는 편이다. 손재주가 있는 일반 서민들이 만들어서 사용한 작품들이 대부분이었다.용도는 주로 그릇, 대야, 큰 함지박등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2) 지승공예 (紙繩工藝)
유물을 보면 지도기 공예에 비교해서 그 숫자는 현저히 적은 양이 남아 있지만, 대작으로는 돗자리 정도가 있으며, 대부분이 소품의 작품들이 많이 남아 있다. 제사상에 쓰이는 제기류, 화병, 찻상, 망태기, 지갑류, 그릇류, 특이한 작품은 수의가 있다.또한 근래에 자주 듣는 얘기인데 옛날에는 서책을 가지고 지승공예를 하였다는 잘못된 인식들이 있는데 약 2~30년 전에
한지의 값이 고가인데다가 옛 고서는 값이 저가이기 때문에 옛 책을
(1)-3 지화공예(紙花工藝)
전지공예에 속하는 기법인데 주로 외각의 선을 생화 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한지를 가지고 꽃모양을 만들어 준 공예이다.
이 꽃은 국가 행사 때 생화 대신 다양한 종이 꽃을 만들어 사용 했으며 장원 급제자에게 하사하는 어사화를 만들어 사용했다.
그리고 불교사찰이나 무속인들이 주로 많이 사용한 공예이며 약 2~30년 전 까지도 상여에 종이 꽃 장식하여 주었는데 지금도 종이 꽃 상여를본 분들이 많을 것이다.
(1)-4 지화공예(紙畵工藝)
지화공예는 장지공예에서 물감을 사용하여 오색전지처럼 분위기가 나게 그려준 것인데, 골격을 만든 후 오색지를 단색 또는 이색 사색을 작품의 성격에 맞게 붙여 준 후 문양을 전지해서 붙이지 않고 물감 (당채나 담채 또는 먹물)을 사용하여 문양을 그려서 마감한 작품이다.옛 작품 중에는 다양한 기물들이 보이는데 의거리장, 소품보관 반닫이, 갓집, 고비, 필통, 상자류, 반짇고리등 이 밖에 여러 종류의 작품에서 볼 수 있다.
(1)-5 지호공예(紙糊工藝)
지호공예의 역사는 그리 오래지 않다. 활발하게 제작 사용한 시기는 양지가 들어온 이후인 약 30~60년 전 쯤이다.
작품을 보면 그 재료는 주로 양지를 사용하였다. 신문이나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난 후의 폐지를 이용하여 기물을 만들었는데, 장인들의 솜씨가 보기 어려울 정도로 작품들이 미적 감각이 떨어지는 편이다. 손재주가 있는 일반 서민들이 만들어서 사용한 작품들이 대부분이었다.용도는 주로 그릇, 대야, 큰 함지박등을 만들어 사용하였다.
(2) 지승공예 (紙繩工藝)
유물을 보면 지도기 공예에 비교해서 그 숫자는 현저히 적은 양이 남아 있지만, 대작으로는 돗자리 정도가 있으며, 대부분이 소품의 작품들이 많이 남아 있다. 제사상에 쓰이는 제기류, 화병, 찻상, 망태기, 지갑류, 그릇류, 특이한 작품은 수의가 있다.또한 근래에 자주 듣는 얘기인데 옛날에는 서책을 가지고 지승공예를 하였다는 잘못된 인식들이 있는데 약 2~30년 전에
한지의 값이 고가인데다가 옛 고서는 값이 저가이기 때문에 옛 책을
추천자료
국립중앙박물관을 다녀와서 [사회과학]
과거,현재,미래의 주거생활
미술교과 교육과 미술비평
[인문과학] 일본의 지역
2007 서울 리빙페어 디자인
인천시 강화군 송해면 양오2리 및 교동면 읍내리 현지조사 보고서
바우하우스에 관한 소사내용
미술과 학습지도안 (홀치기염색)
비영리조직론 방통대 경영학과 레포트
쌈지길 현재와 과거의 사정과 미래 연구
경주 문화관광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자전거 문화관광을 중심으로-
경주 문화관광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자전거 문화관광을 중심으로-
전북교육행정직면접- 최신전라북도교육행정직공무원면접,교육청면접
관광업(관광산업)의 정의, 관광업(관광산업)의 종류, 관광업(관광산업)의 경제적 효과, 관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