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문화의 교류(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과 서양의 문화교류 고대에서 청나라까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서문화의 교류(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과 서양의 문화교류 고대에서 청나라까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序論

本論
1. 동·서 교류의 발단 - 진·한기
-흉노의 실크로드 지배-
-서양에 콜롬부스가 있다면 동양엔 장건이 있다.!! -장건의 대여행-
-한의 서역경영과 동서교통-
2. 후한 시대의 동서 교류
-반초의 서역평정-
3. 위진남북조시대의 동서교류
4. 수·당시대의 동서교류
5. 송대의 동서교류
6. 원대의 동서교류
7. 명·청대의 동서교류
8. 주요 교류 문화
9. 동서양의 기록

結論

본문내용

목 차
序論
本論
1. 동서 교류의 발단 - 진한기
-흉노의 실크로드 지배-
-서양에 콜롬부스가 있다면 동양엔 장건이 있다.!! -장건의 대여행-
-한의 서역경영과 동서교통-
2. 후한 시대의 동서 교류
-반초의 서역평정-
3. 위진남북조시대의 동서교류
4. 수당시대의 동서교류
5. 송대의 동서교류
6. 원대의 동서교류
7. 명청대의 동서교류
8. 주요 교류 문화
9. 동서양의 기록
結論
序論
바다의 해적 이야기, 보물섬을 찾아 떠나는 모험 이야기, 콜럼버스의 달걀 이야기, 걸리버 여행기에 나오는 그의 모험담들은 아주 어린 시절부터 나의 동심을 자극하는 흥미진진한 이야기였다. 그리고 그러한 이야기들은 서양에 대한 막연한 환상과 선망을 안겨주면서, 그들의 문화가 동양과는 비교도 할 수 없는 아주 대단한 문화라는 그들 중심의 논리를 우리에게 인식시켜 왔다. 의도적이든 그렇지 않든... 그리고 아직도 우리 아이들이 읽고 있는 동화 속 모험담의 주인공들은 여전히 그들이다.
현재 서양이 동양보다 사회적, 경제적으로 부유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 경제력으로 눌러버린 우리의 19C, 20C로 동양의 역사를 모두 평가할 자격은 가지고 있지 않다. 문화의 우월성이 있고 없고를 판단한다는 것은 무의미한 일이겠지만, 다만, 우리의 잊혀져 버릴 수도 있을 과거 위대한 문화를 왜곡된 채 과거 속으로 덮어 버릴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15C까지 서양을 모든 면에서 압도해 오면서 동양, 우리는 오랫동안 많은 기술과 사상을 서양에 전해 주었고, 오늘날의 눈부신 과학 문명을 꽃 피우게 하는데 결정적 기여를 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사상이나 종교, 기술이 흘렀던 중요한 통로가 바로 실크로드였다.
과거를 살아가던 이들에게는 자신들이 딪고 있었던 공간 밖의 세계, 즉 끝없이 펼쳐져 있는 사막과 바다 너머의 공간은 이들에게 신비로운 이야기와, 멋진 꿈을 꿀 수 있는 소재가 되었을 것이고 또한, 두려움을 느끼는 존재였을 것이다. 하지만 인간이라는 존재만이 가질 수 있는 무한한 개척정신과 호기심으로 새로운 세계와의 길을 놓았다. 동양의 장건과 서양의 콜럼버스가, 동양의 징기스칸과 서양의 알렉산더 대왕과 같은 개척가들이 중심이 되어 훗날 송대의 르네상스 시대와 서양의 르네상스 시대를 여는 발판을 만들었다. 그리고 오늘날의 동서양의 문화발전을 이룩하였다.
불모의 땅에 그어진 한줄기 교역로가 당시 세계사에 미친 상상을 초월하는 파장 효과, 이 과제를 통해 1,500년의 시간을 뛰어 넘어 다시 과거로 시간을 돌이켜 그 시대의 대상들이 가졌던 감동을 느껴 보고, 깊은 사막 가운데 빛나는 보석을 개척해 온 동양의 문화를 음미해 보고자 한다.
동양고대사 시간에 이미 한나라 때의 동서문화의 교류에 대해 공부한 바 있다. 동양세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나라가 중국인만큼, 중국이 동서문화의 주인공인줄로만 알고 있었는데, 이번 과제를 행하면서 문화교류를 이은 이들은 너무나 총체적이고, 그 교류의 역사 또한 매우 다양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신라가 실크로드의 주인공이였다는 새로운 관점의 글 또한 보게 되었다. 하지만 이 과제에서는 중국을 기준으로 한(중국이 주인공이라기 보단 교류의 역사를 좀더 쉽게 개관하기 위해서) 동서문화의 교류에 대해 알아보겠다.
本論
1. 동서 교류의 발단 - 진한기
-흉노의 실크로드 지배-
중국의 진한기를 지나며 대 제국을 성립하게 된다. 하지만 당시 흉노의 위협은 진,한의 통일 정복 사업을 방해하는 걸림돌이 되었고, 이 흉노를 제거하기 위해 장건의 서역여행이 시작되었다. 흉노 《사기》대원전 페르가나와 파르티아를 왕래하고 있었던 사실을 전하여,【흉노의 사자는 선우(흉노왕)의 편지를 한 장 가지고 있으면 도중의 여러 나라들은 식량을 준비하여 보내주고 결코 방해하지 않는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는 아시아의 스키타이족이라고도 할 수 있는 민족으로 그들은 단순히 유목민만은 아니고 동서교역에도 크게 활약하고 있었다. 중국으로부터 명주와 비단을 사서 파미르 서쪽 여러 나라의 진귀한 물품과 교역하였다. 코즈로프 탐험대가 발굴한 노인울라(Noin-Ula) 유적지- 漢 대의 비단과 명문이 있는 칠기 출토
흉노는 매우 강성하여 중국에도 자주 침입해 왔으며 실크로드의 목에 해당하는 누란국을 정벌함으로서 그 무렵 실크로드는 완전히 흉노의 지배하여 있었다.
-서양에 콜롬부스가 있다면 동양엔 장건이 있다.!! -장건의 대여행-
기원전 140년에 젊고 기예 넘친 무제(武帝)가 즉위하자 무제는 적극적으로 흉노를 제압하고자 했다. 이때, 흉노인 포로로부터 월지가 흉노의 공격을 받아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1.19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29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