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북한 외교의 특징
1. 북한 외교관의 생활상
2. 조총련
3. 중국과 러시아와의 관계
4. 미국과 일본과의 관계
5. 수교현황
6. 북한의 재외동포 정책
* 관련 신문 기사 *
* 북한 사회주의 특성
* 북한 사회주의 특이성
1. 북한 외교관의 생활상
2. 조총련
3. 중국과 러시아와의 관계
4. 미국과 일본과의 관계
5. 수교현황
6. 북한의 재외동포 정책
* 관련 신문 기사 *
* 북한 사회주의 특성
* 북한 사회주의 특이성
본문내용
상의 요구를 철저히 구현해 나갈 것을 지시하는 의미로 ‘우리식'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이다.
그후 김정일은 1989년 당이론지 ‘근로자' 10월호에서 논문 “우리식대로 살아 나가는 것은 우리당이 일관하게 견지하고 있는 전략적 방침"에서 동구의 민주개혁을 비난하면서 전체주민이 ‘우리식대로 살아 나갈 것'을 강조했다. 그 뒤 1991년 5월 5일 김정일의 담화 “인민대중 중심의 우리식 사회주의는 필승불패이다"와 1994년 11월 1일 발표한 “사회주의는 과학이다"라는 논문에서 “우리식 사회주의"를 이론적으로 정식화했다. 1991년 5월 ‘담화'에서 김정일은 "우리식 사회주의"의 특징 3가지를 들었다. 첫째, 주체사상을 구현한 인민대중 중심의 사회주의라는 것이다. 주체사상은 노동계급의 혁명사상이며 개인주의보다 집단주의를 강조하는 사상이라고 했다. 둘째, 집단주의에 기초한 조직화된 사회로서, 정치생활과 사상생활을 중요한 요건으로 꼽았다. 특히 사회주의 사회의 사상생활은 노동계급의 혁명사상인 주체사상에 기초한 사상생활이라고 강조했다.셋째, 수령·당·대중이 일심단결된 불패의 사회주의이다. 인민대중은 사회를 건설하는 주체이지만 당과 수령의 ‘두리'에 굳게 단결해야 혁명의 주체로 역할을 다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회주의는 과학이다"라는 논문에서는 현재 사회주의가 좌절된 모습을 보이지만 그 과학성으로 인해 결국 승리할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소위 우리식 사회주의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첫째, 선행 사회주의 이론은 주로 물질경제적 요인에 의한 변화발전을 주장하였지만 주체사상은 인민대중의 주동적인 작용과 역할로 발전을 설명하는 특징을 갖추었다는 것이다.
둘째, 사람은 육체적 생명과 사회정치적 생명을 가진 존재인데 그중에서 사회정치적 생명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셋째, 능력있는 지도자보다 인덕있는 지도자를 더 강조하고 김정일을 인덕있는 지도자로 선전한다.한마디로 주체사상에 바탕을 둔 북한의 우리식 사회주의는 정치이념적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되 사상으로 당 중심 사회주의 대신 수령1인 중심의 전체주의 성격을 강조하고 있다.그러나 현재 북한의 경제위기의 요인이 “우리식 사회주의"이며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려는 북한의 생존전략을 제약하는 요인이 바로 ‘우리식 사회주의'라는 점에서 북한의 이같은 주장은 사실상 그 정당성을 잃고 있다 하겠다.
* 북한 사회주의 특이성
- 북한이 “우리식 사회주의”라고 내걸고 있는 북한 사회주의는 수령지배체제와 노동당 일당독재체제가 이론적으로도, 실제적으로도 특이하게 결합되어 있다. 앞에서 말했던 것과 같이 주체사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여기에 1930년대 말과 같이 전체의 이익 앞에서 개인의 희생은 불가피하다는 전체주의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
자유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자유로운 대중매체의 활약이 사회의 정치발전에 큰 방향을 하지만, 북한의 대중매체는 거의 전적으로 노동당에 의해 독점되어 있다. 대중매체의 발전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나, 언론과 출판의 자유는 원천적으로 봉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북한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1인 독재체제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세계 어디서도 절대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현상이 일어난다. 독재자들은 사망 후에는 비판을 받고 맹렬한 비난의 대상이 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김일성은 사망 후에도 신 같은 존재로 북한 인민들의 숭배 대상이 되고 있다는 것도 눈여겨 볼 만 하다. 그렇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특이하고 획기적인 사건은 김일성이 자신의 권력을 아들인 김정일에게 물려주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세습적 독제체제는 전세계에서 유일한 ‘왕조적 사회주의’로써 역사상 유래가 없는 희귀현상이다.
그후 김정일은 1989년 당이론지 ‘근로자' 10월호에서 논문 “우리식대로 살아 나가는 것은 우리당이 일관하게 견지하고 있는 전략적 방침"에서 동구의 민주개혁을 비난하면서 전체주민이 ‘우리식대로 살아 나갈 것'을 강조했다. 그 뒤 1991년 5월 5일 김정일의 담화 “인민대중 중심의 우리식 사회주의는 필승불패이다"와 1994년 11월 1일 발표한 “사회주의는 과학이다"라는 논문에서 “우리식 사회주의"를 이론적으로 정식화했다. 1991년 5월 ‘담화'에서 김정일은 "우리식 사회주의"의 특징 3가지를 들었다. 첫째, 주체사상을 구현한 인민대중 중심의 사회주의라는 것이다. 주체사상은 노동계급의 혁명사상이며 개인주의보다 집단주의를 강조하는 사상이라고 했다. 둘째, 집단주의에 기초한 조직화된 사회로서, 정치생활과 사상생활을 중요한 요건으로 꼽았다. 특히 사회주의 사회의 사상생활은 노동계급의 혁명사상인 주체사상에 기초한 사상생활이라고 강조했다.셋째, 수령·당·대중이 일심단결된 불패의 사회주의이다. 인민대중은 사회를 건설하는 주체이지만 당과 수령의 ‘두리'에 굳게 단결해야 혁명의 주체로 역할을 다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사회주의는 과학이다"라는 논문에서는 현재 사회주의가 좌절된 모습을 보이지만 그 과학성으로 인해 결국 승리할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소위 우리식 사회주의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첫째, 선행 사회주의 이론은 주로 물질경제적 요인에 의한 변화발전을 주장하였지만 주체사상은 인민대중의 주동적인 작용과 역할로 발전을 설명하는 특징을 갖추었다는 것이다.
둘째, 사람은 육체적 생명과 사회정치적 생명을 가진 존재인데 그중에서 사회정치적 생명이 더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셋째, 능력있는 지도자보다 인덕있는 지도자를 더 강조하고 김정일을 인덕있는 지도자로 선전한다.한마디로 주체사상에 바탕을 둔 북한의 우리식 사회주의는 정치이념적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되 사상으로 당 중심 사회주의 대신 수령1인 중심의 전체주의 성격을 강조하고 있다.그러나 현재 북한의 경제위기의 요인이 “우리식 사회주의"이며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려는 북한의 생존전략을 제약하는 요인이 바로 ‘우리식 사회주의'라는 점에서 북한의 이같은 주장은 사실상 그 정당성을 잃고 있다 하겠다.
* 북한 사회주의 특이성
- 북한이 “우리식 사회주의”라고 내걸고 있는 북한 사회주의는 수령지배체제와 노동당 일당독재체제가 이론적으로도, 실제적으로도 특이하게 결합되어 있다. 앞에서 말했던 것과 같이 주체사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여기에 1930년대 말과 같이 전체의 이익 앞에서 개인의 희생은 불가피하다는 전체주의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
자유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자유로운 대중매체의 활약이 사회의 정치발전에 큰 방향을 하지만, 북한의 대중매체는 거의 전적으로 노동당에 의해 독점되어 있다. 대중매체의 발전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나, 언론과 출판의 자유는 원천적으로 봉쇄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북한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1인 독재체제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그런지 세계 어디서도 절대 찾아볼 수 없는 특이한 현상이 일어난다. 독재자들은 사망 후에는 비판을 받고 맹렬한 비난의 대상이 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김일성은 사망 후에도 신 같은 존재로 북한 인민들의 숭배 대상이 되고 있다는 것도 눈여겨 볼 만 하다. 그렇지만 무엇보다도 가장 특이하고 획기적인 사건은 김일성이 자신의 권력을 아들인 김정일에게 물려주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세습적 독제체제는 전세계에서 유일한 ‘왕조적 사회주의’로써 역사상 유래가 없는 희귀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