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심리학 이상행동 정신병 심리적 장애 정신의학 정신장애 신경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상심리학 이상행동 정신병 심리적 장애 정신의학 정신장애 신경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Abnormal Psychology 이상심리학

1. 심리학& 이상심리학

1) 심리학이란?

2) 이상심리학이란?

[참고 1] 마음(心)

1) 마음의 정의

2) 마음의 작용

3) 마음에 대한 어록들

[참고 2] 심리학의 이해

1) 심리학의 종류와 특징

<표 1> 심리학의 종류와 특징

2. 이상(異常)과 정상

1) 이상 행동을 규정하는 기준

2) 정상

[참고 3] 정서/ 정동, 감정, 기분

3. 정신의학과 정신(행동)장애

[참고 4] 심리적 장애에 대한 견해

4. 이상심리학의 역사

1) 이상행동에 대한 역사적 견해

2) 일탈에 대한 관점들

3) 이상 심리학의 역사

5. 이상행동을 설명하려는 제이론

1) 이상심리학의 이론

6. 신경증과 정신병의 특성 비교

본문내용

정신 증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진단하기가 어려운 점을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질병의 특성이나 치료과정, 치료결과, 예후 등이 신체 질환의 경우와 비슷하다.
즉 약물 치료 같은 신체적 치료가 우선적으로 고려되고 신체적 검사에 이상 소견이 나올 수도 있고 진단에 따라서 치료 방법과 예후가 결정된다.
기능적 문제는 신체 기질적 문제와는 매우 다르다. 우선 신체적 이학적 검사에 증상에 상응하는 이상 소견이나 원인적 이상 소견이 나오지 않으며 심리 검사를 한다고 해도 그러한 것이 완전히 드러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진단은 주로 외부적으로 관찰 가능한 말과 행동, 표정이나 태도 등에 근거해서 이루어진다.
간단히 말해서 보고 듣고 느낀 것을 근거로 해서 진단이 내려진다는 것이다. 신체적 질병의 진단에 비하면 다소 애매 모호한 방법이다.
기질적 원인에 의한 증상이 심리적 원인에 의한 증상과 항상 뚜렷이 구분되는 것은 아니며 그 원인에 관계없이 정신증상은 주로 언행의 변화로 드러나기 때문에 정신과 진단 시에는 일상생활의 변동이나 환자의 언행을 자세히 물어보게 된다.
따라서 있는 그대로 촬영한 듯이 의사에게 말하면 제일 정확한 진단이 나오게 될 것이다. 정신과에 입원하게되는 여러 가지 이유 중 하나는 병원 내에서의 환자의 말과 행동 등 생활상을 관찰하고 그것을 토대로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위한 것이 있다.
이렇게 내리는 진단 체계를 현재 정신과에서 쓰고 있는데 이를 기술적 정신병리에 근거한 진단이라고 한다.
있는 그대로 관찰되고 기술한 것에서 어떤 증상이나 병리 현상이 있고 없는지를 진단 기준과 비교해서 판단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의 진단은 원인에 근거한 원인적 진단이 아니기 때문에 동일 한 진단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병의 원인이나 치료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심리적 문제나 질병에 대해서는 기술적 진단과는 별도로 역동적 진단이라는 것을 쓴다. 어떤 사람의 심사가 왜 혹은 어떻게 되어서 이러저러한 상태에 이르렀을 것이라는 진단이다. 이것은 잠정적이고 다분히 변경의 소지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제일 정확한 역동적 진단은 치료가 완료되었을 때 만들어진다.
역동적 진단이나 가설은 원인에 관한 것이므로 치료와 직접적인 인과 관계를 가지게 된다.
기술적 진단에 있어서는 증상이나 언행 등의 생활상을 얼마나 자세하게 충분히 조사하였는가 하는 점이 매우 중요하다. 즉 의사가 아이를 관찰할 시간이 적어서 부분적인 모습만을 보았다거나, 의사에게 자료를 제공하는 부모가 아이에 대해서 이야기한 것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면 자연히 진단이 달라질 수 있다.
4. 이상심리학의 역사
1) 이상행동에 대한 역사적 견해
(1) 생물학적관점
정신병이란 신체적원인, 즉 뇌의 병변이나 독성물질 등에 의해 생겼다고 봄.
(2) 심리학적관점
개인심리의 문제, 환경의 영향, 초자연적 또는 종교적 해석이 개입됨.
2) 일탈에 대한 관점들
신비적 관점
초자연적이거나 마술적인 힘의 역할; 치료-귀신 물리기, 역마 술, 기도를 통해 악마를 쫓는 것.-무당, 민속치료자담당.
기관결함의 관점
초기의 증거; 두개 개구나 두개골을 깬 것 등에서 발견.
심리학적 관점
이상행동이 개인이 세상에 대해 사고하고 지각하는 방식의 장애와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장애는 수정될 수 있는 잠재력 을 가지고 있다고 제안.
3) 이상 심리학의 역사
(1) 고대사회 : demonology(귀신론) 또는 초자연적인 견해
(2) 그리스 로마시대:
초자연적 이상 행동관이 보편화되었던 고대 사회와는 달리, 역사의 진전에 따라 서서히 삶의 현실에서 이상심리를 이해하려는 입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기원전 4 세기경, 그리스의 Hippocrates는 정신장애를 혈액이나 담즙과 같은 체액의 불균형 때문이라고 보았으며 심리적 장애를 포함해서 모든 질병은 그 원인이 신체에 있다고 하였다.
(3) 서양 중세의 귀신론
중세에는 심리적 장애에 대한 과학적 접근 대신에 고대의 미신적인 견해나 귀신론적 입장이 성행했다. 이런 초자연적 입장의 일부는 로마 카톨릭교에 의해서 뒷받침되어 귀신을 쫓는 방법이 많이 강구되었고 점성학 같은 초자연적 방식이 치료의 방식으로 받아들여졌다. 또한 귀신들린 정도에 다라 심리적 장애를 구분하는 방식도 발표되었으며 기독교에서 말하는 사탄과 연관해서 정신병자를 귀신들린 것으로 보고 이들에게 가혹한 벌을 줌으로써 귀신을 몰아낼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이 시기는 인류 역사상 정신병자가 핍박을 받고 가혹하게 취급되는 암울한 시기였다.
* 마녀와 마법
중세의 유럽은 로마 카톨릭의 독단에 의해서 회의를 드러내면서 혹사병과 같은 무서운 전염병이 휩쓰는 등 여러 가지 사회적 혼란이 일어났다. 이 시대가 중세의 종말을 예고하는 혼란의 시대였고 이런 혼란의 원인을 마녀라는 대상에 돌림으로써 이들을 희생양으로 삼았다.
따라서 마녀를 찾아서 마귀를 쫓는 활동이 강구되었고 그 당시 많은 정신병자들이 마녀로 동일시되어 마녀로 인정된 정신병자들은 심할 경우 화형을 당하든지 온 몸이 묶인 채 물에 빠뜨려지기도 하였다.
(4) 르네상스 시대
실제에서 많은 이상행동이 귀신론으로 설명될 수 없으며 이는 질병이라는 이해가 서서히 증대되었다. 관찰 연구를 토대로 이들 중 상당수는 귀신들린 것이 아니라, 정신적 또는 신체적 질병을 앓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Weyer(1515~1588) 는 악마설을 부인하고 마녀사냥을 비난
5. 이상행동을 설명하려는 제이론
모 형
제 이 론
1. 생물학적모형
이상행동을 하나의 질병의 과정으로 봄.
신체적 혼란은 유전자의 결함, 출산전후의 상해나 감염, 특 정한 시점에 나타나는 어떤 조건에 의해 야기된 일시적인 생 리적 역기능 때문에 나타날 수 있다.
2. 정신분석학적
모형
초기 아동기의 무의식적 갈등의 결과.
사고와 정서가 행동의 주요한 원인.
3. 행동주의적 모형
성장과정에서의 잘못된 학습의 결과로 설명.
환경자극에 대한 반응으로서의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
강화 또는 보상받은 행동은 다시 출현할 확율이 증가한다.
4. 인지주의적
모형
한 개인의 행동이 대개는 그 개인의 인지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에 기초.
사람들이 정보를 어떻게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5.01.29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39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