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DSM-IV에 의한 정신분열증의 유형인 잔류형이란 무엇인가?
(2) 치료적 접근
(3) 직업재활 측면에서의 접근
(2) 치료적 접근
(3) 직업재활 측면에서의 접근
본문내용
대중교통이용, 금전관리, 식사준비 등도 잘 하지 못한다. 이러한 기술을 보면 환자가 병원에서 지역사회로 성공적으로 옮겨갈 수 있는지의 여부를 더 잘 예측 할 수 있다. UCLA 임상 연구센터에서는 기술과 자기관리 기술에 초점을 맞춘 일련의 모듈을 개발하였다. 정신병적인 행동의 재발을 예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 또는 일단 재발된 경우 재발의 신호를 인식하고 도움을 구하도록 하는데 중요하다.
2) 가족개입
가족개입은 정신분열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재발을 예방하고 기능의 향상을 촉진하는 가장 성공적인 접근중의 하나이다. 심리교육 프로그램은 가족과 환자 양쪽 모두에 초점을 맞춘다. 가족 구성원은 정신분열환자의 사회적 재활과 관리에 중요한 자원으로 생각된다. 환자에 대해 가족들이 표현하였던 부정적인 감정과 태도가 증상의 재발이나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한다. 환자에 대한 가족의 태도가 호의적인 경우 가족은 효과적인 지지의 자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가족들에게 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여 주기 위한 개입과 사회적인 지지가 필요하다.
① 표현된 정서
표현된 정서(expressed emotion: EE)는 행동이 혼란되어 있는 사람에 대해 말할 때 가족구성원들이 표현하는 태도를 측정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표현된 정서는 가족구성원들간 감정의 의사소통이라는 측면에서 높은 수준의 정서표현은 재발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발견은 어떤 감정표현은 모든 사람들에게 보다 건강한 정서적인 분위기를 창출할 수 있고 전면적인 정서적 폭발로 연결되는 분노와 짜증으로 괴로워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는 것을 말해준다.
② 가족교육
가족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훈련을 시키는 프로그램이 재발과 재 입원을 예방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훈련 프로그램에서는 가족구성원들에게 정신분열 장애의 특징, 치료, 가족들이 어떻게 하면 환자의 욕구와 나머지 가족구성원들의 욕구가 서로 조화를 이루게 할 수 있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는 그 진단이 어떤 의미인지에 대한 토론에서부터 시작하며, 진단이 환자에 대한 선고가 아니라 하나의 의사소통 방법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그 다음으로 치료자는 인격분열의 개념과 같이 전신분열증에 흔히 있는 잘못된 통념을 추방하는데 주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족구성원들에게 정신분열증의 유병율에 관해 알려주어 그들만이 외로이 좌절과 고난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2) 가족개입
가족개입은 정신분열 장애가 있는 사람들의 재발을 예방하고 기능의 향상을 촉진하는 가장 성공적인 접근중의 하나이다. 심리교육 프로그램은 가족과 환자 양쪽 모두에 초점을 맞춘다. 가족 구성원은 정신분열환자의 사회적 재활과 관리에 중요한 자원으로 생각된다. 환자에 대해 가족들이 표현하였던 부정적인 감정과 태도가 증상의 재발이나 증가와 관련이 있다고 한다. 환자에 대한 가족의 태도가 호의적인 경우 가족은 효과적인 지지의 자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가족들에게 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여 주기 위한 개입과 사회적인 지지가 필요하다.
① 표현된 정서
표현된 정서(expressed emotion: EE)는 행동이 혼란되어 있는 사람에 대해 말할 때 가족구성원들이 표현하는 태도를 측정하는 한 가지 방법이다. 표현된 정서는 가족구성원들간 감정의 의사소통이라는 측면에서 높은 수준의 정서표현은 재발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발견은 어떤 감정표현은 모든 사람들에게 보다 건강한 정서적인 분위기를 창출할 수 있고 전면적인 정서적 폭발로 연결되는 분노와 짜증으로 괴로워하는 것을 방지해 준다는 것을 말해준다.
② 가족교육
가족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훈련을 시키는 프로그램이 재발과 재 입원을 예방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훈련 프로그램에서는 가족구성원들에게 정신분열 장애의 특징, 치료, 가족들이 어떻게 하면 환자의 욕구와 나머지 가족구성원들의 욕구가 서로 조화를 이루게 할 수 있는지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는 그 진단이 어떤 의미인지에 대한 토론에서부터 시작하며, 진단이 환자에 대한 선고가 아니라 하나의 의사소통 방법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그 다음으로 치료자는 인격분열의 개념과 같이 전신분열증에 흔히 있는 잘못된 통념을 추방하는데 주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족구성원들에게 정신분열증의 유병율에 관해 알려주어 그들만이 외로이 좌절과 고난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