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톨러런스 Intorelance>(1916) / 감독: D.W. 그리피스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 The Cabinet of Dr. Caligari>(1919) / 감독: 로베르트 비네
<북극의 나누크 Nanook of the North>(1922) / 감독: 로버트 플래허티
<마지막 웃음 Der Letzte Mann>(1924) / 감독: F.W. 무르나우
<황금광 시대 The Gold Rush>(1925) / 감독: 찰리 채플린
<전함 포템킨 Bronenosets Potemkin>(1925) / 감독: 세르게이 에이쩬슈테인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 The Cabinet of Dr. Caligari>(1919) / 감독: 로베르트 비네
<북극의 나누크 Nanook of the North>(1922) / 감독: 로버트 플래허티
<마지막 웃음 Der Letzte Mann>(1924) / 감독: F.W. 무르나우
<황금광 시대 The Gold Rush>(1925) / 감독: 찰리 채플린
<전함 포템킨 Bronenosets Potemkin>(1925) / 감독: 세르게이 에이쩬슈테인
본문내용
이젠슈테인을 에이젠슈테인으로 만든 것은 그의 화법이었다. 그것은 흔히 몽타주로 알려진 것이다. 그의 선배 프도프킨이 필름의 결합을 통해 서술적 의미의 확대와 강조를 꾀했다면 에이젠슈테인은 두개의 대조적인 쇼트들을 통합해 새로운 개념을 창조했다. 코사크 병사가 내리치는 칼, 깨어져 뒹구는 안경, 피 흘리는 여인 얼굴의 클로즈업…. 이런 편집을 통해 에이젠슈테인은 상황묘사라든가 감정의 고조를 넘어서서 관객들에게 단호한 정치적 입장을 요구하는 논리로 떨쳐나갔던 것이다. 물론 그는 이 오데사 계단 장면뿐만 아니라 많은 장면에서 여러 대의 카메라를 설치해 다양한 각도에서 다양한 크기로 쇼트들을 찍었다. 그는 찍힌 것을 어떻게 편집하느냐가 영화 창작의 처음이자 출발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전함 포템킨>은 이렇게 포템킨호의 선상 반란에서 시작하여 오데사 계단 그리고 마지막 승리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쇼트도 낭비하지 않으면서 영화를 끌어간다. 서구 무성영화 특유의 지루하고 나른한 느낌은 이곳에서 찾을려야 찾을 수 없다. 하지만 그의 몽타주론에 대한 비판 역시 만만치 않았다. <낡은 것과 새로운 것>(1929) 등에 대한 비판은 끝없이 이어졌고 그는 자신의 몽타주론을 완성하기 위해 낮에는 소련영화학교의 강단에서, 밤에는 연구실에서 일했다. 급기야 그는 형식주의자로 매도당했고 어떤 영화는 정부에 의해 제재를 당하기도 했다. 물론 그는 \'위대한 사회주의\'를 믿었지만 그것을 온순하게 따르는 멍청한 예술가가 아니었다. 그래서 그는 \"형식을 연구하는 사람을 형식주의자라고 한다면 매독을 연구하는 사람은 매독주의자다\"라고 항변했고, 그러면 그럴수록 그의 이후는 불행으로 이어졌다. 결국 <전함 포템킨>은 소련 영화의 명예로 남아 있을 뿐 자신의 조국에서는 이어지지 않았다. 또 그의 독특한 인물 전형화론 등의 이론은 이제 후학들의 과제로만 남아 있다. 역설적으로 그의 몽타주 기법과 사회의식은 1930년대 영국의 사회적 다큐멘터리로 전수되었다. 더욱 기가 막힌 것은 이제 거의 모든 할리우드 영화가 너무나 천연덕스럽게 그의 편집 기법을 써먹고 있다는 점이다. 그래서 몽타주론은 이 타락한 영화세상 만큼 통속화되었다. 그렇지만 우리가 진정으로 영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금 흥행작들이 영화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알기 위해서는, 다시 <전함 포템킨>을 읽어야 한다. 고전이라서가 아니라 영화를 통해 세상과 아이들의 미래를 다시 생각해보자는 뜻에서다.
추천자료
[프랑스영화][프랑스영화 작품][조르주 멜리에스][누벨바그][프랑스영화산업 지원정책]프랑스...
[영화][상업영화][영화산업][스타워즈][예술영화]영화의 개념, 영화의 발전, 영화산업의 현황...
[중국영화][중국의 영화][중국영화산업][중국영화제작][중국영화배급][중국영화산업 개선 정...
[영화미학][영화][미학][취화선][자전거도둑]영화미학의 목표, 영화미학의 전통과 필요성, 영...
헐리우드영화(미국할리우드영화)의 연혁과 특성, 헐리우드영화(미국할리우드영화)의 관련산업...
[예술영화][상업영화][예술영화의 활성화전략]예술영화의 개념, 예술영화의 특징, 예술영화의...
[영화감상문] (최신A+) 브루스 올마이티 (Bruce Almighty) [짐캐리의 브루스올마이티 분석적...
[영화감상문] 자전거 도둑 (Ladri Di Biciclette/The Bicycle Thief) (최신A+) [자전거도둑분...
영화300,정치및사회,영화를 통한 역사전쟁,구조적 영화 분석,300영화정치학
[영화자막][영화][자막][영화자막 특징][영화자막 방식][영화자막 현황][향후 영화자막 제고...
[영화자막][영화자막 형태][영화자막 번역 양상][영화자막 원리][영화자막의 개선방안]영화자...
대중영화의 이해 : 본 교재 “영화의 역사” 부분(2장, 3장, 4장)에서 언급되고 있는 영화들 ...
방통대컴퓨터과학과 영화의 이해 [본교재 “영화의 역사” 부분(2장, 3장, 4장)에서 언급되고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