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1) iniuria
(2) culpa개념의 등장
(3) culpa개념의 발전
(4) 로마법상의 culpa개념
1) 고의와 과실을 포함한 상위개념
2) 객관적측면이 강조된 과실개념
3) 미경험 미숙력 허약개념의 포섭
4) 상당한 주의를 다한 경우 과실이 부정
5) 공동과실의 부정
3. 결 론
2. 본 론
(1) iniuria
(2) culpa개념의 등장
(3) culpa개념의 발전
(4) 로마법상의 culpa개념
1) 고의와 과실을 포함한 상위개념
2) 객관적측면이 강조된 과실개념
3) 미경험 미숙력 허약개념의 포섭
4) 상당한 주의를 다한 경우 과실이 부정
5) 공동과실의 부정
3. 결 론
본문내용
의있는 자는 그이 행위와 직접 인과관계에 있는 손해를 전적으로 배상하며, 인과관계가 단절된 경우나 원고의 과실로 인한 책임의 분배는 생각지 않았다.
3. 결 론
로마법은 포괄적 불법행위구성요건인 iniuria개념에서 유책으로서 culpa를 분리하였으며 나아가서 고의와 별개의 책임요소, 즉 과실로서 culpa를 구성하였다.
비록 로마법상의 과실개념이 현행법상의 과실개념과 많이 다르다 할 지라도 그러한 로마법상의 과실개념의 발전이 오늘날의 과실개념의 정립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음을 부인할 수 없다.
참고문헌
1. 현승종 저 조규창 증보 『로마법』1996
2. 이진기 저,『로마법上過失(Culpa)에 關한 硏究-Lex Aquilia를 中心으로』1986 3. 최병조 저, 『로마법강의』 (박영사: 1999)
3. 결 론
로마법은 포괄적 불법행위구성요건인 iniuria개념에서 유책으로서 culpa를 분리하였으며 나아가서 고의와 별개의 책임요소, 즉 과실로서 culpa를 구성하였다.
비록 로마법상의 과실개념이 현행법상의 과실개념과 많이 다르다 할 지라도 그러한 로마법상의 과실개념의 발전이 오늘날의 과실개념의 정립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음을 부인할 수 없다.
참고문헌
1. 현승종 저 조규창 증보 『로마법』1996
2. 이진기 저,『로마법上過失(Culpa)에 關한 硏究-Lex Aquilia를 中心으로』1986 3. 최병조 저, 『로마법강의』 (박영사: 1999)
추천자료
미국 노동법상의 근로자 개념
행정소송법상의 처분 등의 개념에 대한 법적 검토
근로기준법상의 근로자와 사용자 개념의 법적 검토
집단적 노동관계법상 사용자 개념의 확대 문제 고찰
교과교육(개념학습법,발문교수법등)
학습장애의 개념, 원인, 치료법 및 학습장애 치료 프로그램 [A+ 추천 레포트]
사회복지의 개념을 정리하고, 자신이 생각하는 사회복지법이란 무엇인지 정의하시오
노인복지서비스 개념, 유형, 관련법, 서비스 방향
여성폭력의 개념, 원인, 법제도 및 정책현황
상법의 개념, 한국상법과 중국의 민상법
1.사회복지와 사회사업의 개념부탁, 2.사회복지관련법중 아동에대한 관련법규에대한 요약(목...
행정행위의 개념 검토 (행정법)
공공부조의 개념을 서술하고, 과제의 목차대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주요내용과 문제점, 개...
아동복지의 개념 및 필요성, 아동복지법 및 아동복지관련법의 주요목적과 내용을 조사하고 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