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에서의 맞춤법, 표준어 사용 실태와 국어순화 방안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활 속에서의 맞춤법, 표준어 사용 실태와 국어순화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사용 실태)
1. ‘틀리다’와 ‘다르다’
2. ‘잃어버리다’ 와 ‘잊어버리다’
3. ‘가르치다’ 와 ‘가리키다’
4 . ‘ 맞추다’ 와 ‘맞히다.’
5 . ‘부분’과 ‘부문’
6 . ‘갯벌’과 ‘개펄’
7. ‘시간’ 과 ‘시각’

Ⅲ . 결론

본문내용

♣맞히다. - ① 물음에 옳은 답을 대다. / ①목표에 맞게 하다. ②(눈이나 비 따위를) 맞게 하다.
♣‘맞추다’는 ‘대상끼리 서로 비교하다’는 의미일 때에만 쓸 수 있지, ‘정답을 골라내다’는 의미일 때에는 쓸 수 없다.
5 . ‘부분’과 ‘부문’
◇ 정보화로 인한 구조 조정은 민간 부분뿐만 아니라 공공 부분에서도 예상되고 있습니다. → 정보화로 인한 구조 조정은 민간 부문뿐만 아니라 공공 부문에서도 진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부분 - 전체를 몇으로 나눈 것 중의 하나 ↔ 전체
♣ 부문 - 전체를 여러 가지로 갈라 놓아 분류한 하나하나의 문장.
6 . ‘갯벌’과 ‘개펄’
◇누구든지 직접 갯벌에서 조개를 캘 수 있는 제부도. 다들 만반의 준비를 하고 오셨더라고요[오
  • 가격1,2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5.03.13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79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