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삼구와 육명을 관련체계로 보는 견해
①구는 곧 명이다.
②육명이 일구를 이룬다
③六名이 三句를 이룬다.
2. 삼구와 육명을 개별체계로 보는 견해
①구와 명을 嗟辭(차사)로 보는 견해
②삼구와 육명을 별개의 시형으로 보는 견해
③삼구는 형식, 육명은 해석(解釋)으로 보는 견해
결론
<참고문헌>
①구는 곧 명이다.
②육명이 일구를 이룬다
③六名이 三句를 이룬다.
2. 삼구와 육명을 개별체계로 보는 견해
①구와 명을 嗟辭(차사)로 보는 견해
②삼구와 육명을 별개의 시형으로 보는 견해
③삼구는 형식, 육명은 해석(解釋)으로 보는 견해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와 육명이 각각 상이한 장르의 양식을 지칭하는 개념이라는 주장이다. 사뇌가의 삼구육명의 양식을 수용하여 변용함으로써 삼장육구(三章六句)라는 시조 양식의 생성이 가능했다는 장르발생의 이론에서 본다면 삼장육구와 삼구육명은 수용과 변용이라는 차원에서 해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장덕수 외
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사 조동일
<참고문헌>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장덕수 외
한국문학통사 1 지식산업사 조동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