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과 기모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정의

2. 구성

3. 한복과 기모노의 공통점과 차이점
1)공통점
2)차이점

< 한복 >
한복의 구조
①저고리
②바지
③치마
④두루마기
한복의 종류

<기모노>
기모노의 구조
1)기모노
2)오비
3)유카타
기모노의 종류

본문내용

⑥광복이후
이때의 복식은 그동안 일제로부터 받았던 복식제도 통제에 대한 반발로 광복 직후에는 한복을 많이 입었다. 그러나 한국동란 이후 쏟아져 들어온 미국으로부터의 구호품 의복으로 다시 양복이 대중화되기에 이르렀고 급기야는 평상복으로 자리를 굳히게 되었다. 195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는 고유한복이 명절이나 행사 때에 입는 예복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2)기모노
기모노는 나라시대 초기부터 도입되었다. 이후 무로마치 시대에는 기나가시를 즐겨 입게 되었고, 현재의 기모노의 기초가 형성되었다. 근대에 이르러 서양문물이 들어오고, 오비가 폭 30cm, 길이 4cm인 지금과 같은 크기로 정착되었다.
원시시대·야마토 시대(∼561)
원시시대에는 빈부 격차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겨드랑이만을 봉합한 단순 소박한 옷을 몸에 두르고 있었다. 그러나, 야마토 시대에 들어가면서 지배자가 출현하고 계급 차이가 생기면서 지배/피지배자의 의상에도 차이가 생기기 시작했다.
아스카(飛鳥) ·나라(奈良) 시대(562∼793)
쇼오토쿠 태자가 중국에 견당사를 파견함에 따라 많은 중국 문화와 기술이 일본에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그 부산물로서 염색 기술도 많이 소개되면서 의복 색깔이 다양화되었다. 이 시대의 예복은 오오소데라는 여러 겹으로 구성된 옷이었다. 이 옷 속에는 코소데라는 작은 소매의 옷을 입었다.
헤이안(平安) 시대(794∼1191)
헤이안 문화는 일본 역사 가운데 가장 사치스럽고 세련된 문화라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은 받아들인 중국문화를 일본의 풍토에 맞추어 새롭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 시대의 귀족은 무사에게 정치를 담당케 하고, 자신들은 옷이나 취미, 주거 등에 돈을 들이며 우아한 생활을 하고 있었다. 헤이안 시대의 귀족 여성이 정장 차림으로 출석하던 자리에 착용하고 있던 12단 기모노도 있었다.
카마쿠라(鎌倉) 시대(1192∼1335)
헤이안 시대에 귀족들이 사치스러운 생활을 했기 때문에, 가마쿠라 막부의 재정은 어려워졌다. 이에 막부는 사치를 금하고 검소한 생활을 권장하는 방을 내렸다. 이에 따라 기모노는 호화롭고 현란한 것에서 단순 소박한 것으로 바뀌어갔다.
무로마치(室町) 시대(1336∼1573)
무로마치 시대에는, 현재 일본 전통 문화의 중요한 요소들인 노우(能), 사도(茶道)·카도(華道) 등의 기초가 확립되었다. 이 시대의 정착 생활을 계기로 남녀 공용으로 착용하고 활동적이던 '하카마'를 버리고 장식 중심의 '기나가시'를 즐겨 입게 된 것이 원형이 되어 현재의 기모노의 기초가 이 시대에 만들어졌다.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1574∼1602)
이 시대의 문화는, 그 이전까지의 전통을 깬 참신한 아이디어가 많이 나왔다. 쿠미히모(組み紐)의 기술이 생겼기 때문에, 평상복에는 몇 줄씩이나 묶는 쿠미히모를 오비 대신에 사용하는 것도 있었다. 코소데라는 작은 소매 옷이 이 시대부터 웃옷으로 발전하였다
에도 시대(1603∼1867)
에도시대에 들어서면 정치가 안정되면서 서민들 생활도 안정을 찾게 된다. 이에 따라 카부키나 우키요에(풍속화) 등과 같은 서민 문화가 발달한다. 기모노는 옷깃을 없애고 넉넉하게 입는 세련된 스타일이 유행하게 된다. 쇄국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외래 문화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키고 있었다. 허리에 두르는 넓은 폭의 '오비'는 무로마치 말기에서 에도시대 초기까지는 폭 5cm 정도로 허리띠에 불과하던 것이 상인 계급의 지위가 향상되면서 에도 말기에는 40cm가 넘게 넓어진다.
근대(1868∼)
에도 막부가 막을 내리자, 근대 메이지 정부는 공업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서 외국에 많은 인재를 파견했다. 서구의 문물과 기술을 습득해 돌아 온 그들과 함께 다양한 서양 문화도 소개되었다. 기모노도 서구적인 색깔을 사용하거나 무늬를 넣은 것이 나타나기도 하고, 하카마(袴)에 아미아게부츠(編みあげブ-ツ)를 신는 이른바 '타이쇼우(大正) 로맨스 스타일'과 같은 것도 등장했다. 이때부터 오비는 폭 30cm, 길이 약 4m인 지금과 같은 크기로 정착되었다.
3)현대
①한복: 생활한복, 세계가 주목하는 디자이너 '이영희'
이영희는 한복의 라인과 고유의 혼이 깃든 새로운 스타일을 간결하고 소박하게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여 찬사를 받았다. 면·마·모시 등의 자연스러운 멋을 그대로 살린 자연스러운 스타일의 팬츠와 미드리프의 간단한 상의에 가볍게 걸치는 두루마기형의 재킷, 한복 치마를 응용하여 상체는 몸에 붙고 아래쪽은 볼륨감 있는 형태의 단순한 원피스가 많으며, 호리호리한 라인에 비치는 소재를 겹으로 하여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그리고 서서히 우리 것에 대한 관심이 깊어져가는 경향에 맞게, 최근 보다 편하고 현대적인 감각을 접목시킨 생활한복이 널리 입혀지고 있다. 특히 우리 부모님들께서 입으시는 모습은 이제 낯선 풍경이 아니게 되었으며, 아동용 생활한복도 각광받고 있다.
②기모노: 평면의 개념을 양장에 도입한 디자이너 ‘이세이 미야케’
이세이 미야케가 펼쳐놓으면 평면인 기모노의 특징을 그대로 간직하며, 착용했을 때 신체의 굴곡에 맞게 피트되는 특성을 부각시키기 위해 도입한 요소가 주름이다. 이 주름가공으로 인해 이세이 미야케는 해외의 찬사를 받으며 세계적인 디자이너가 되었다.
일본인들은 전통을 소중하고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형태의 변화는 거의 전무하다고 봐도 옳을 것이다. 다만 무늬에 있어서는 시대에 맞게 다양한 유행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조사를 마치고.
한복과 기모노에 대한 발표를 준비하면서 우리 고유의 옷인 한복에 대해 너무 무지했음을 깨달았고, 과거 속의 전통으로 묻어두고 있지 말고 생활 속에서 계승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함을 깨달았다. 또한 우리나라와는 다르게 지금까지도 기모노의 착용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그 전통을 계승하고 재창조 하려는 모습을 보고 본 받아야겠다고 느꼈다.
1. 정의
2. 구성
3. 한복과 기모노의 공통점과 차이점
1)공통점
2)차이점
< 한복 >
한복의 구조
①저고리
②바지
③치마
④두루마기
한복의 종류
<기모노>
기모노의 구조
1)기모노
2)오비
3)유카타
기모노의 종류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5.03.13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80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