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손상환자 - 신경외과 case study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뇌손상환자 - 신경외과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환자 상태

■ 검사내용

■ 가지고 있는 것

■ 약물

■ 간호기록지 내용

■ 저 산소성 허혈이란??

■ 간호 진단과 수행

본문내용

③1~2시간 간격으로 체위를 변경한다.
④정맥의 압박을 피하도록 한다.
⑤탄력스타킹을 제공한다.
5)간호수행
①혈전 증상을 징후를 확인한다.(체온이 높거나 창백함이 있을 경우 바로
간호사에게 알릴 것을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②이완된 정맥벽을 긴장시킴으로써 정맥귀환을 도와주며 체위성 저혈압을
예방할수 있기에 매시간 하지 운동을 할수 있도록 보호자를 교육한다.
③근육수축과 운동결여로 정맥벽이 이완되어 혈액이 정체됨으로써 혈전 및 색전증의 위험과 체위성 저혈압, 활동내구성 장애가 일어날 수 있고,
혈전이 생기면 폐색전증, 뇌색전증, 심근경색증이 합병될수 있음을
보호자에게 설명하고, 매시간의 체위변경과 운동을 할 수 있음을
교육하고 도와준다.
④탄력 스타킹을 제공해 준다.
5.부동과 관련된 잠재성 피부통합성 장애
1)간호진단 : 부동과 관련된 잠재서 피부통합성 장애
2)간호목표
①피부 발적 및 욕창이 없다.
②피부통합은 완전하다.
3)환자상태
①피부발적
②욕창
③통증
④피부층 파괴
4)간호계획
①피부상태를 사정한다.
②1~2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한다.
③체위변경시 욕창이 생기기 쉬운 부위를 마사지 한다.
④탄수화물, 단백질, 비타민C가 풍부한 식이를 제공한다.
⑤압력균일 도구나 압력감소 도구를 이용한다.
⑥피부를 깨끗하게 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5)간호수행
①피부상태를 확인해보고, 보호자에세 체위변경시 발적이 있는 경우 간호사 에게 말 할수 있도록 교육한다.
②매시간 체위변경을 하여 한 부위에 지속되는 압력을 제거하여 욕창을 예방 한다.
③엉덩이등 비활동성 부위와 뼈 돌출부위에 욕창이 자주 발생함을 교육한다.
④경미한 발적은 충분한 마사지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면서 마사지를 해줌을 설명하고, 방법을 교육한다.
⑤세포의 영양상태와 탄력성이 좋으면 욕창이 덜 발생함을 설명하고, 골고루 먹을수 있도록 보호자를 교육한다.
⑥공기나 물이 들어 있는 매트리스를 사용하거나 패드를 대어 준다.
⑦입략과 수분은 피부통합성에 손상을 주는 요인임을 교육한다.
6.신경근육 장애와 관련된 자기간호 결핍
1)간호진단 : 신경근육 장애와 관련된 자기간호 결핍
2)간호목표 : 환자는 자존감을 유지하면서 자신의 기증수준에 맞는 자기간호 를 수행한다
3)환자상태
①그릇에서 입까지 음식을 옮기지 못함.
②음식을 수저로 뜨지 못함.
③몸전체나 일부를 닦지 못함.
④물을 푸지 못함
⑤세면대까지 가지 못함.
⑥옷을 입거나 벗지 못함
⑦옷을 여미지 못함.
⑧원하는 외모로 꾸미지 못함
⑨변기에 접근하지 못함
⑩변기에서 일어나거나 앉지못함
⑪용변을 위해 옷을 벗거나 입지 못함.
⑫변기의 물을 내리지 못함.
⑬용변 후 뒤를 닦지 못함
4)간호계획
①환자의 각 활동에 대한 기능 수준을 사정한다.
②보호자와 함께 할 수 있는 행동에 대해 의논한다.
③가능한 환자 스스로 행할수 있도록 권한다.
④자기간호 수행을 돕는 보조장치의 사용을 고려한다.
⑤환자와 함꼐 간호계획을 세우고 기대되는 효과를 알려준다.
⑥매일 환자와 함께 하루 일과를 의논하고 활동목표를 작성하도록 돕는다.
⑦환자에게 필요한 정보와 자원을 제공한다.
⑧환자와 함께 간호결과를 평가한다.
⑨환자의 자기간호 활동을 관찰하여 에너지 소모 및 내구성 수준을 평가한다
⑩활력징후, 피로정도를 관찰한다.
⑪활동시 손상이 없도록 철저히 예방계획을 세운다.
⑫허약한 사지를 지지한다.
⑬비경구적 영양에 의존하는 경우에는 흡인기구를 가까이 비치한다.
⑭환자를 오랫동안 혼자 방치하지 말고, 호출기를 환자 가까이에 배치한다.
5)간호수행
①자기간호 활동의 주행은 일상생활에서 기본적인 욕구를 만족시켜주고 건강 및 자기존중감의 유지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함을 보호자에게 교육하고,
환자를 도울 수 있도록 교육했다.
②보호자와 함께 환자가 어느 정도의 움직임이 가능한가를 의논해본다.
③환자에게 도움을 줄수 있는 보조장치를 비치해준다.
④효과적인 환자교육과 간호 수행을 위하여 환자와 함께 간호목표 및 계획을 세우고 칭찬과 격려 등의 강화요법으로 지지해준다.
⑤적절한 물리적 환경을 제공해 주었고, 가족 및 사회적지지 기반을 이용하 게 한다.
⑥환자의 에너지 수준보다 무리하게 수행하면 실패하여 좌절을 할 수 있다.
내구성 수준이 충분하고 여유있는 경우에는 활동량 증가를 고려해 본다.
⑦주위환경을 단순하고 편리하게 하여 위험인자를 없애도록 보호자를 교육한 다
⑧음식물의 기도내 흡인시 즉각 대처할수 있도록 보호자를 교육한다.
⑨활력징후를 관찰한다.
7.뇌손상과 관련된 구두 의사소통 장애
1)간호진단 : 뇌손상과 관련된 구두 의사소통 장애
2)간호목표 : 환자는 언어적.비언어적 방법을 통해 적절하고 이해할 만한 의사 소통을 한다.
3)환자상태
①언어장애
②발음장애
③단어의 부적절한 장애
④비논리적인 말
⑤통용언어 구사력 부족
⑥지남력 결여
⑦상호관계로 부터의 위축
4)간호 계획
①의사소통 장애의 정도를 사정한다.
②지남력 수준을 사정한다.
③비언어적 의사소통 표현을 관찰한다.
④장소, 날짜, 사람, 시간에 대해 알려주어 지남력을 일깨워 준다.
⑤반응이 없어도 꾸준히 대화를 하고 시청각 자극을 제공한다.
⑥짧고 간단한 답변이 요구되는 대화부터 시도한다.
⑦대답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준다.
⑧필요하면 질문을 되풀이 한다.
⑨대화하는데 있어 산만함을 주는 환경적 요인을 제거한다.
⑩언어의 재교육과 함께 적절한 비언적 기술도 가르친다.
⑪필기가 가능한 경우 필기도루를 제공해 주어 의사소통을 한다.
5)간호수행
①지남력 결여는 의사소통에 장애를 줌으로 보호자는 환자에세 자세히 시간 과 장소등을 매일 알려주도록 교육한다.
②환자가 자기 무능력에 대해 느끼는 좌절감을 줄여주기 위해 환자의 대답을 유도한다.
③긍적적 강화법의 사용이 효과를 줄 수 있다.
④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언어적 의사소통을 보충해주고 감정을 표현해주며
언어적 메시지의 속도를 조절해주고 대화자간의 상호관계를 유지시켜 주는
등의 기능이 있음을 보조자에게 교육한다.
]
8.가족역할 변화와 관련된 비효율적 가족 대처 ; 기능장애
1)간호진단 : 가족역할 변화와 관련된 비효율적인 가족 대처
2)간호목표
①가족은 환자의 질병, 치료

키워드

뇌손상,   환자,   신경외과,   casestudy,   약물,   진단,   허혈,   산소성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5.03.22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91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