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수손상”에 관한 연구와 사회 심리적 접근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척수손상”에 관한 연구와 사회 심리적 접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척수손상의 의학적 특성
3. 환자와 가족의 심리 사회적 문제와 욕구
4. 지원방법
5. < 사례로 본 사정과 개입 >
6 관련된 법, 제도. 서비스 내용
7.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척수손상”에 관한 연구와 사회 심리적 접근
Ⅰ. 서론
척수장애 출현률은 대략 매년 100만 명당 25-30명 정도이다. 척수손상과 관련된 사고에 대한 자료는 자동차사고가 전체 척추 손상자의 35%원인이 되었고, 추락이 15%, 총격 부상이 10% 그리고 다이빙 사고가 6%라는 것을 보여준다.
척수손상 환자는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 척수손상을 입음으로서 뇌와 신체 사이에 운동신경이나 감각신경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여 신체적인 기능에 장애를 초래하게 된 사람이다. 대개 하지(다리)에 신경마비를 가지게 되어 휠체어로 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척수의 손상부위와 그 손상정도에 따라 장애의 정도가 다양하다. 이들 척추장애인은 대부분이 후천성장애에 의한 장애인으로 장애로 인한 갑작스런 환경의 변화와 사회생활의 여러 가지 제약으로 육체적으로뿐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많은 고통을 겪고 있다. 그래서 환자자신뿐만 아니라 가족에 대한 심리 사회적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으로 인해 파급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사정 및 개입하려 한다.
Ⅱ. 본론
1. 척수손상의 의학적 특성
* 척추의 기능과 특성
기능 - 척주는 인체의 중요한 축으로서 척추는 움직이도록 되어있고 목과 몸통을 곧게 유지하도록 하는 일을 한다.
구성 - 척주는 26개의 뼈(척추골)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 5개의 부분으로 나누어볼수 있다.
① 경추: 목을 구성하며 7개로 되어 있다.
② 흉추: 등을 받치며 12개의 갈비뼈가 부착된 12개의 뼈로 되어 있다.
③ 요추: 허리의 5개의 뼈를 말한다.
④ 천추: 골반의 일부를 구성한다.
⑤ 미추: 꼬리뼈
척추뼈는 척추체(body)와 척추궁(vertebral arch)으로 되어 있으며 여기에 척수(spinal cord)와 척추신경근이 통과한다. 따라서 척주(spinal column)는 척수(spinal cord)를 보호하는 기능도 아울러 한다. 각 척추골은 추간판(intervertebral disc)에 의하여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추간판은 충격을 흡수하고 척추를 움직일 수 있게 한다.
* 척수의 기능과 특성
① 척수란 일종의 전기선이다. 뇌간(brain stem)이 제1요추까지 확장된 것으로 약 10-13mm의 직경을 가지고 있다. 척추신경은 척주의 척추공을 통하여 신경근이 전기선처럼 나온 것이다.
② 척수는 양쪽 방향으로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감각신호는 뇌로 보내고 운동신호는 근육과 기관으로 보내는 일을 한다
1) 척수손상의 원인
척수손상이란 질병이나 사고로 인하여 척수에 가해진 손상으로 정상적인 운동, 감각 및 자율신경 자율신경: 삼킴과 소화,온도 및 협압 조절과 같은 불수의 기능을 조절하는 곳
기능에 이상이 생긴 상태를 말하는데, 척수손상의 심한 정도는 가벼운 굴절과 신전의 편타성 손상으로부터 영구적인 사지마비를 초래하는 완전 척수절단까지 올 수 있다.
대부분의 척수손상은 방광과 장의 조절기능을 포함하여 상처수준 이하의 감각과 기능의 손실을 가져온다.
척수손상의 70%는 외상에 의한 것이며 30%는 병에 의한 것이다. 그 중에서 외상으로 인한 척수 손상 중에는 교통 사고가 50%로 가장 많고 다음은 산업 재해 등으로 인한 추락 사고가 15%를 차지한다. 그 외 스포츠 손상, 총기, 흉기 사고 등이있다. 교통 사고로는 날 로 증가하는 자동차와 오토바이가 으뜸이며 스포츠 손상에는 다이빙, 수상스키, 체조 등이 많이 보는 원인이다. 호발 연령은 40세미만(80%)이다
6세 이하에서 낙상은 가장 흔한 척수손상의 유형이다. 8세 이하에서는 상대적으로 큰 머리 때문에 경추손상을 많이 입는다.
상기전은 흉부 척수에서는 과신전이나 굴곡된 상태로 수직력이 가해지는 것이 주된 손상기전이고 경부 척수에서는 과신전이나 굴곡이 주된 손상의 원인이다. 비외상으로 인한 척수손상은 종양, 척수염 및 혈관질환이 주된 원인이다.
(2) 척수손상의 분류 및 임상적 특징
*손상 정도에 따른 분류
마비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은 세계적으로 통일 되었다고는 말할 수가 없는데 척수손상의 정도는 프랑켈 (Frankel)척도가 많이 쓰이고 있는데 이 척도는 척수손상의 정도를 정성적으로 나타내 줍니다.
프랑켈(Frankel)척도
프랑켈 척도
손상정도
A 완전 손상(Complete)
손상척도 이하 부위의 운동 감각신경계의 완전한 손상
B 감각만 있음(Sensory only)
운동신경계는 완전한 마비이며 손상척수 이하 부위에
감각신경 기능만 유지된 손상
C 운동기능은 있으나 쓰기 어려움(Motor useless)
운동기능은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사용하기 어려운 정도의
D 운동기능이 사용 가능함(Motor useful)
손상척수 이하부위의 운동기능도 유지된 손상
E 회복(Recovery)
신경학적 증상이 없음(위약, 감각소실, 괄약근의 기능 장애 없으나
비정상 반사는 있을 수 있음)
* 손상 위치에 따른 분류
척수 신경은 경추, 흉추, 요추 신경으로 구분되며 각각 목, 등, 허리에 해당한다.
척수 신경의 해부학적 레벨에 따라 경추, 흉추, 요추 손상으로 나눌 수 있으며
  • 가격1,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8.03.25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06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