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산문 (散文)
2. 희곡(戱曲)
3. 비평
2. 희곡(戱曲)
3. 비평
본문내용
의 미를 갖추어야 비로소 현대시의 활로를 개척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聞一多와 徐志摩의 현대시 格律化運動은 성공하여 현대시는 부활되고 시단은 다시 활기를 되찾았다.
(4)戱劇批評論
戱劇批評의 최초의 글은 1918년 6월에 출간한 新靑年 4권의 ‘입센특집호’에 게재된 胡適의 <입센주의>를 꼽을 수 있겠다. 그는 희극은 바로 사회의 실정을 사실 그대로 관중들에게 보이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한다고 했다. 1918년 10월 新靑年은 희극특집호로 편집되었다. 胡適의 <문학의 진화관념과 희극개량>, 傅斯年의 <戱劇改良各面觀(희극개량의 여러 관념)>, 歐陽予의 <나의 희극개량관>, 張厚載의 <나의 중국구극관>, 傅斯年의 <再論戱劇改良>, 宋春舫의 <근세 명희극 100종> 등이 게재되었다. 이중에서 <근세명희극 100종>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중국의 전통희극에 대한 비판과 희극개량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주장한 평론들이다.
1921년 5월에 민중희극사가 창립되고 희극 전문지인 『희극』이 창간되면서 희극비평문이 많이 발표되었다. 『희극』에 발표되었던 주요 평론들은 蒲伯英의 <戱劇之近代的意義>, <在戱劇要如何的應國情>, 鄭振鐸의 <光明運動的開始>, 陳大悲의 <演劇人的責任是什>와 <戱劇指導社會與社會指導戱劇>등이 있다. 이들은 대부분이 희극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였으며, 희극이 구사회를 타파하는 선도적 역할을 하여야 하며 공리적이고 영리적이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참고문헌
중국문학사, 이수옹 김경일, 대한교과서, 1994
중국문학의 이해, 김학주, 신아사, 1993
도표로 이해하는 중국문학개론, 이국희, 현학사, 2003
(4)戱劇批評論
戱劇批評의 최초의 글은 1918년 6월에 출간한 新靑年 4권의 ‘입센특집호’에 게재된 胡適의 <입센주의>를 꼽을 수 있겠다. 그는 희극은 바로 사회의 실정을 사실 그대로 관중들에게 보이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한다고 했다. 1918년 10월 新靑年은 희극특집호로 편집되었다. 胡適의 <문학의 진화관념과 희극개량>, 傅斯年의 <戱劇改良各面觀(희극개량의 여러 관념)>, 歐陽予의 <나의 희극개량관>, 張厚載의 <나의 중국구극관>, 傅斯年의 <再論戱劇改良>, 宋春舫의 <근세 명희극 100종> 등이 게재되었다. 이중에서 <근세명희극 100종>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중국의 전통희극에 대한 비판과 희극개량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주장한 평론들이다.
1921년 5월에 민중희극사가 창립되고 희극 전문지인 『희극』이 창간되면서 희극비평문이 많이 발표되었다. 『희극』에 발표되었던 주요 평론들은 蒲伯英의 <戱劇之近代的意義>, <在戱劇要如何的應國情>, 鄭振鐸의 <光明運動的開始>, 陳大悲의 <演劇人的責任是什>와 <戱劇指導社會與社會指導戱劇>등이 있다. 이들은 대부분이 희극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였으며, 희극이 구사회를 타파하는 선도적 역할을 하여야 하며 공리적이고 영리적이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참고문헌
중국문학사, 이수옹 김경일, 대한교과서, 1994
중국문학의 이해, 김학주, 신아사, 1993
도표로 이해하는 중국문학개론, 이국희, 현학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