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초기 기독교 시대와 비잔틴 시대(4C∼15C)
2. 로마네스크(Romanesque) 시대(11C∼12C)와
고딕(Gothic) 시대(13C∼16C)
3. 르네상스(Renaissance) 시대(15C∼17C)
4. 바로크(Baroque) 시대(17C)
2. 로마네스크(Romanesque) 시대(11C∼12C)와
고딕(Gothic) 시대(13C∼16C)
3. 르네상스(Renaissance) 시대(15C∼17C)
4. 바로크(Baroque) 시대(17C)
본문내용
으로 대접받을 준비가 되어 있었던 것이다.
사람들은 미케란젤로-레오나르도다빈치-라파엘로 등으로 대표되는 거장의 작품을 얻기 위해서는 그들에게 각별한 존경의 표시와 그에 맞는 대우를 해야만 했던 것이다.
4. 바로크(Baroque) 시대(17C)
바로크는 르네상스이후의 시기를 이르는 말이다.
바로크라는 말은 사실 터무니 없다든가 기괴하다는 의미로, 그리스와 로마인들이 채택한 방법 이외의 다른 식으로 고전 건축의 형식을 차용하거나 채택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던 사람들이 사용했던 단어였다.
) E. H. 콤브리치, 서양 미술사, 예경. 1997, p.387
위에서 언급된 저자의 말과는 무관하게 바로크는 종교적 맥락에서 벗어날 수 없는 위치에 놓여 있었다. 당시 반종교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끈 로마 교황청은 그들의 승리를 세상에 알려야 한다는 의무감 아닌 의무감을 가지고 있었다. 자신들의 권위와 승리를 가장 효과적으로 알리 수 있는 방법으로 화려하고 거대한 규모의 건축이나 조형물, 혹은 미술작품이 채택되었다. 이와 같은 생각은 프랑스의 루이14세에게도 그대로 영향을 미쳐 그 유명한 베르사유 궁전을 만들게끔 하는 동인이 되기도 했다. 루이 14세의 경우 여러 제후들에게 자신의 권위를 분명하게 표시하기 위해 예전 사냥터 자리에 베르사유 궁전을 짓고 그곳에서 성대한 연회를 베풀었던 것이다.(별첨한 <참조 8> 참고)
이제 미술은 종교적인 목적만이 아니라 세속적 권력을 지닌 절대 왕권의 정당성을 확보해 주고 그들의 권력을 대외적으로 표현해주는 수단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바로크는 로마에서 출발하여 프랑슬 퍼져나갔는데 당시 프랑스는 절대군주가 왕권신수설을 주장하며 파라오 이후 그 누구도 넘지 못할 절대권력을 누리고 있었다. 따라서 그들의 궁전은 방문자들이 왕의 위대함과 권력에 찬탄할 수 있도록 꾸며져야만 했다.
) 캐롤 스트릭랜드, 클릭 서양 미술사, 예경, 2001, p.112
한편, 같은 시기에 카톨릭 국가들에서는 종교 미술이 전성기를 맞고 있었지만 영국과 네덜란드 같은 북부 유럽의 신교국에서는 종교적인 그림을 그리는 것이 금지되었다. 따라서 미술의 소재가 정물화·초상화·풍경화·풍속화 등으로 그 범위를 다양하게 확장해 나가기 시작하였다.
맺으며...
앞서 글에서 잘 나타난 것처럼 서양 미술사에 영향을 미친 요소를 하나로 집약하여 이야기하는 것은 많은 문제점을 지닌다. 물론, 해당시기동안 많은 미술품과 건축물들은 종교적인 목적을 위해 만들어지고 제작되어지기는 했지만, 그 과정에서 기술적 제약과 시대의 가치관들이 적절히 결합되어 온전하게 종교적 부속물만으로 평가하는 데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이들을 기술과 종교, 그리고 사회·경제적 제 요소의 총체적인 부산물로 파악했을 때에만 진정한 의미를 밝혀 낼 수 있는 것이다.
중세시기동안, 그리고 르네상스시기에 수많은 거장들의 위대한 예술품들을 다루지 못한 아쉬움이 많지만, 해당 시기의 특징을 가장 뚜렷한 특징을 드러내는 건축물·회화·조각에 대한 자료를 별첨하여 참고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사람들은 미케란젤로-레오나르도다빈치-라파엘로 등으로 대표되는 거장의 작품을 얻기 위해서는 그들에게 각별한 존경의 표시와 그에 맞는 대우를 해야만 했던 것이다.
4. 바로크(Baroque) 시대(17C)
바로크는 르네상스이후의 시기를 이르는 말이다.
바로크라는 말은 사실 터무니 없다든가 기괴하다는 의미로, 그리스와 로마인들이 채택한 방법 이외의 다른 식으로 고전 건축의 형식을 차용하거나 채택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던 사람들이 사용했던 단어였다.
) E. H. 콤브리치, 서양 미술사, 예경. 1997, p.387
위에서 언급된 저자의 말과는 무관하게 바로크는 종교적 맥락에서 벗어날 수 없는 위치에 놓여 있었다. 당시 반종교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끈 로마 교황청은 그들의 승리를 세상에 알려야 한다는 의무감 아닌 의무감을 가지고 있었다. 자신들의 권위와 승리를 가장 효과적으로 알리 수 있는 방법으로 화려하고 거대한 규모의 건축이나 조형물, 혹은 미술작품이 채택되었다. 이와 같은 생각은 프랑스의 루이14세에게도 그대로 영향을 미쳐 그 유명한 베르사유 궁전을 만들게끔 하는 동인이 되기도 했다. 루이 14세의 경우 여러 제후들에게 자신의 권위를 분명하게 표시하기 위해 예전 사냥터 자리에 베르사유 궁전을 짓고 그곳에서 성대한 연회를 베풀었던 것이다.(별첨한 <참조 8> 참고)
이제 미술은 종교적인 목적만이 아니라 세속적 권력을 지닌 절대 왕권의 정당성을 확보해 주고 그들의 권력을 대외적으로 표현해주는 수단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바로크는 로마에서 출발하여 프랑슬 퍼져나갔는데 당시 프랑스는 절대군주가 왕권신수설을 주장하며 파라오 이후 그 누구도 넘지 못할 절대권력을 누리고 있었다. 따라서 그들의 궁전은 방문자들이 왕의 위대함과 권력에 찬탄할 수 있도록 꾸며져야만 했다.
) 캐롤 스트릭랜드, 클릭 서양 미술사, 예경, 2001, p.112
한편, 같은 시기에 카톨릭 국가들에서는 종교 미술이 전성기를 맞고 있었지만 영국과 네덜란드 같은 북부 유럽의 신교국에서는 종교적인 그림을 그리는 것이 금지되었다. 따라서 미술의 소재가 정물화·초상화·풍경화·풍속화 등으로 그 범위를 다양하게 확장해 나가기 시작하였다.
맺으며...
앞서 글에서 잘 나타난 것처럼 서양 미술사에 영향을 미친 요소를 하나로 집약하여 이야기하는 것은 많은 문제점을 지닌다. 물론, 해당시기동안 많은 미술품과 건축물들은 종교적인 목적을 위해 만들어지고 제작되어지기는 했지만, 그 과정에서 기술적 제약과 시대의 가치관들이 적절히 결합되어 온전하게 종교적 부속물만으로 평가하는 데에는 분명 한계가 있다. 이들을 기술과 종교, 그리고 사회·경제적 제 요소의 총체적인 부산물로 파악했을 때에만 진정한 의미를 밝혀 낼 수 있는 것이다.
중세시기동안, 그리고 르네상스시기에 수많은 거장들의 위대한 예술품들을 다루지 못한 아쉬움이 많지만, 해당 시기의 특징을 가장 뚜렷한 특징을 드러내는 건축물·회화·조각에 대한 자료를 별첨하여 참고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추천자료
서양체육사 (르네상스~근대)와 당대의 인물탐구
[요리][음식][서양요리][동양음식][향신료]서양의 향신료와 동양의 향신료 및 프랑스요리(프...
서양사강의 1장 요약,비평
동서양의 근대화
[윤리사상][원불교][유가][동양][서양][중세크리스트교][퇴계 이황][율곡 이이]원불교윤리사...
[결혼관][혼인관][기독교]결혼관(혼인관)의 의미, 결혼관(혼인관)의 변화, 결혼관(혼인관)과 ...
[자연관][서양 자연관][동양 자연관][공자 자연관][장자 자연관][노자 자연관][홍범][이규보]...
[자연관][동양][서양][성경][중국][바로크시대][워즈워스][장자]동양의 자연관, 서양의 자연...
[우주관][프톨레마이오스 우주관][근대시대 우주관][서양 우주관][동양 우주관][도가 우주관]...
[사조][시민단체사조][경영사조][교육사조][음악교육사조][서양연극사조][웰빙사조]사조와 시...
[신관][동양][서양][이슬람교][원시시대][단군신화][칼빈주의][보나벤투라]동양의 신관, 서양...
[자연관][동양][서양][정지용][베이컨][워즈워스][리터와 기요][장자][자연주의]동양의 자연...
[근세사, 서양 근세사, 영국 근세사, 오스트리아 근세사, 일본 근세사, 인도 근세사, 한국 근...
[문화교류, 문화교류와 동서양, 문화교류와 남북한, 문화교류와 백제, 문화교류와 뉴스,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