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고전으로서의 고대
2. 시민공동체의 성립과 붕괴
3. 가교(架橋)로서의 헬레니즘
4. 불완전한 제국
5. 지중해 문명과 서구 유럽
2. 시민공동체의 성립과 붕괴
3. 가교(架橋)로서의 헬레니즘
4. 불완전한 제국
5. 지중해 문명과 서구 유럽
본문내용
다는 것이다. 그리스의 폴리스는 시민을 탄생시켰고 평등한 시민권을 공유하는 민주적 사회체제의 원형을 제공해 주었다. 로마는 귀족과 평민과의 타협을 통해 제한적 민주주의라고 할 수 있는 공화제의 유산을 남겼다. 또 한 시대 안에서 제정으로 변모함으로써 사회체제의 다양한 모습들을 제공하였다.
다음으로는 문화적 측면에서 서양 문화의 근간을 형성하였다는 것이다. 그리스 문화는 동방 세계와의 접촉으로 한층 풍성해져서 국제적 문화로 발돋움하여 헬레니즘 문화를 형성하였고, 이것이 로마로 흘러들어가면서 그 문화의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무엇보다 로마가 후세에 미친 가장 큰 공헌은 그리스 문명을 서유럽에 전달한 것이다. 앞서 헬레니즘 문화를 그리스와 로마를 잇는 가교라고 표현한 것처럼, 로마는 그리스-헬레니즘 문화를 서구 유럽과 연결해 준 가교였다. 로마의 역사는 진정한 의미에서 서양 문명의 참다운 출발점인 것이다. E.M. 번즈, R.러너, S. 미첨, 『서양문명의 역사』(상), 박상익 옮김, (소나무, 2007), p. 244.
그러나 여기서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은 그리스 로마 문화는 동방의 오리엔트 문화를 비롯한 지중해 세계 전체의 상호교류와 접촉을 통해서 형성된 문화라는 사실이다. 따라서 그리스 로마 세계는 서양에 의해 배타적으로 전유되어는 안된다. 그보다는 지중해 세계라는 좀 더 큰 차원에서 바라볼 수 있을 때 역사적 본질에 좀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좀 더 문명사적 관점에서 그리스 로마 사회를 접근해 보고자 하는 생각은 있었으나 자료와 필자의 한계로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다음으로는 문화적 측면에서 서양 문화의 근간을 형성하였다는 것이다. 그리스 문화는 동방 세계와의 접촉으로 한층 풍성해져서 국제적 문화로 발돋움하여 헬레니즘 문화를 형성하였고, 이것이 로마로 흘러들어가면서 그 문화의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무엇보다 로마가 후세에 미친 가장 큰 공헌은 그리스 문명을 서유럽에 전달한 것이다. 앞서 헬레니즘 문화를 그리스와 로마를 잇는 가교라고 표현한 것처럼, 로마는 그리스-헬레니즘 문화를 서구 유럽과 연결해 준 가교였다. 로마의 역사는 진정한 의미에서 서양 문명의 참다운 출발점인 것이다. E.M. 번즈, R.러너, S. 미첨, 『서양문명의 역사』(상), 박상익 옮김, (소나무, 2007), p. 244.
그러나 여기서 반드시 기억해야 할 것은 그리스 로마 문화는 동방의 오리엔트 문화를 비롯한 지중해 세계 전체의 상호교류와 접촉을 통해서 형성된 문화라는 사실이다. 따라서 그리스 로마 세계는 서양에 의해 배타적으로 전유되어는 안된다. 그보다는 지중해 세계라는 좀 더 큰 차원에서 바라볼 수 있을 때 역사적 본질에 좀 더 가까이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좀 더 문명사적 관점에서 그리스 로마 사회를 접근해 보고자 하는 생각은 있었으나 자료와 필자의 한계로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