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YOTA 무한 성장의 비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OYOTA 무한 성장의 비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도요타의 유전자. DNA

2. 도요타의 패러다임

3. 도요타의 경영 기능시스템

4. 도요타의 생산시스템

5. 도요타의 상품 경쟁력·브랜드 파워

6. 도요타의 21세기 경영

본문내용

각 사업부문과 각국 현지 법인이 각각 업무개혁을 추진했던 부분최적에서 탈피, 전체최적에 도전한 것이다.
이 시스템 재구축의 핵심은 부품표(BOM) 데이터베이스의 전면쇄신이다. 글로벌 통합 부품표 데이터베이스로 바꾸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 신차개발 리드타임을 단축하고, 고객에게 정확한 차량 인도 일을 알리는 시스템을 이룩해 나가고 있다.
A/S 강화를 위해 보수부품사업을 확대하고, 자동차 용품점과의 파트너 관계를 구축하며, 전자상거래 서비스도 강화하고 있다.
TPS는 수요보다 공급과잉을 초래하고 있는 글로벌 무한경쟁체제에서 ‘팔리는’ 물건만들기의 좋은 전범이 되고 있다
도요타가 다품종 소량생산에 나선 것은 1992년 일본이 경제 위기를 맞은 이후부터다. 이때 일본은 거품경제가 걷히면서 부동산과 주식이 하락했다. 게다가 엔고가 시작되면서 기업의 경영 환경도 급속도로 나빠졌다. 일본인들 사이에서는 비싸면 사지 않고 미루거나 헌 것을 재활용하는 풍조가 확산되었다. 도요타는 불황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새로운 모델을 잇따라 개발했다. 1년에 2∼3개의 신모델을 출시하는 기존의 느슨한 판매 전략으로는 꽁꽁 얼어붙은 사람들의 소비 심리를 풀기 힘들다고 판단한 것이었다.
도요타는 1개 차종에 수십 가지의 옵션을 적용해 고객이 원하는 맞춤형 자동차를 만드는 데 주력했다. 엔진만 같을 뿐 내부 편의장치는 고객의 입맛에 맞게 아주 다른 자동차들을 생산한 것이다. 1개 차종의 생산량은 점점 줄어들었고 다양한 차종을 빠른 시간내에 생산해야 했다. 고객은 자동차 구입 계약을 해 놓고 마냥 기다리는 것을 싫어하기 때문이다.
도요타는 이에 맞춰 생산 방식을 확 바꿨다. 하나의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한 개 차종을 대량생산하는 기존 방식을 버리고 여러 차종을 생산할 수 있도록 직원들을 교육한 것이다. 도요타는 재고를 줄이기 위해 생산현장에 ‘간판(看板)방식’을 도입했다. 간판이란 주문서와 같은 기능을 갖는데, 1만원권 화폐 크기로 비닐에 싸여 있다. 제품 이름과 번호, 부품을 담는 상자 규격, 수량, 사용하는 곳의 주소와 위치, 만드는 곳의 주소와 위치 등이 상세히 기록돼 있다. 공장 내부에 있는 자동차 부품 상자 바깥에는 ‘간판’이 붙어 있다. 이 간판은 작업 현장에서 간판 보관실, 협력업체, 다시 작업현장으로 순환된다. 협력업체의 간판을 부착한 부품 상자가 기후차체에 도착하면 물류 직원이 간판을 보고 곧바로 현장으로 옮긴다. 현장 근로자가 이 부품을 전부 사용하면 빈 박스와 간판만 남게 된다. 물류 직원은 정해진 시간에 간판을 회수해 간판 보관실로 보낸다. 간판 보관실에는 컴퓨터로 간판에 붙어 있는 바코드를 읽는다. 어떤 회사에서 만든 부품이 공장에 들어와 사용됐다는 정보다. 기후차체는 간판 보관실에서 얻은 정보로 자동으로 협력업체에 대금을 지급한다. 협력업체는 간판 보관실을 통해 자사 간판을 수거한 후 다시 기후차체에 부품을 납품한다.
도요타가 다품종 소량생산과 JIT 생산 시스템으로 거둔 파급효과는 엄청나다. 도요타는 1996년 로봇 생산 라인을 대폭 정비했다. 무거운 장비를 들어올리는 단순작업은 종전대로 로봇에 맡기되 나머지 일은 근로자들이 할 수 있도록 재정비한 것이다. 도요타가 로봇 생산 라인을 대폭 정비하기로 한 것은 변화에 대한 인간의 뛰어난 적응력 외에 로봇이 공장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지나치게 컸기 때문이었다.
도요타는 원가절감을 위해 신규 직원 채용을 줄이고 파견사원과 파트타임 인력을 활용한다. 작업의 질은 떨어지지만 원가를 낮춰 이익을 남기기 위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을 한 것이다. 요즘은 사원연수 명목으로 중국 등 외국인 노동자도 입국시켜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 10월에는 중국 텐진자동차(天津汽車)와 합작사인 ‘텐진도요타자동차’에서 소형 자동차 생산에 나서는 등 원가절감을 위한 중국내 투자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더욱 강력한 원가경쟁력으로 세계 자동차업계 1위에 올라서기 위한 포석이다.
5. 도요타의 상품 경쟁력·브랜드 파워
도요타가 지속가능한 경쟁 우위를 창출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이유는 지속적인 혁신 과 생산성 향상을 통해 저원가, 고품질을 동시에 달성함은 물론, 유연성까지 겸비한 강한 학습 조직을 발전시켜 왔기 때문이다.
도요타는 IQS(초기품질)나 VDI(내구품질)는 있어서는 안 되는 당연한 품질이라 생각하고 많은 개선의 노력을 기울여 온 품질이며, 현재 도요타가 가장 많이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것은 APEAL(매력적 품질)이다. 도요타는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3.29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06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