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장애인(障碍人)들의 성
1)정신 박약자(精神薄弱者)들의 성
2) 척추장애자(脊椎障碍者)들의 성
3)시청각장애자(視聽覺障碍者)의 성
‘장애인의 성’삶의 당연한 욕구 … 25일‘장애우 아우성 대회’
1)정신 박약자(精神薄弱者)들의 성
2) 척추장애자(脊椎障碍者)들의 성
3)시청각장애자(視聽覺障碍者)의 성
‘장애인의 성’삶의 당연한 욕구 … 25일‘장애우 아우성 대회’
본문내용
쉽다.그러나 이날 행사에 참석한 국립재활병원 김돈규 재활의학과 전문의는 “대부분의 장애인은 거의 문제없이 성생활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성생활에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치는 척수장애의 경우도 여성은 100% 정상적인 성생활이 가능하고,남성도 의학적인 방법으로 해결이 가능하다는 것.또 장애인부부가 아이를 낳는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장애 아동을 출산하진 않는다.장애 원인의 대부분은 원인불명이고 유전되지 않으며,유전적인 원인에 의해 장애아동이 태어나는 경우는 희박하다는 것이다.
이날 행사에서 ‘장애우 아우성 헌장’을 선포한 구성애 아우성상담소장은 “장애인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맺으며 생활 속에서 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으며,모든 장애우는 사회구성원으로 주체적이고 당당하게 성적 권리를 가진다”고 강조했다.
성생활에 가장 많이 영향을 미치는 척수장애의 경우도 여성은 100% 정상적인 성생활이 가능하고,남성도 의학적인 방법으로 해결이 가능하다는 것.또 장애인부부가 아이를 낳는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장애 아동을 출산하진 않는다.장애 원인의 대부분은 원인불명이고 유전되지 않으며,유전적인 원인에 의해 장애아동이 태어나는 경우는 희박하다는 것이다.
이날 행사에서 ‘장애우 아우성 헌장’을 선포한 구성애 아우성상담소장은 “장애인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맺으며 생활 속에서 성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으며,모든 장애우는 사회구성원으로 주체적이고 당당하게 성적 권리를 가진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