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개설(설화,신화,전설,민담,민요)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비문학개설(설화,신화,전설,민담,민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說話
1.설화의 성격

神話
1. 신화의 정의
2.신화의 기능
3.신화의 특징
4.신화의 분류

傳說
1.개념 및 특징
2.전설의 자료
3.전설의 분류

民譚
1.민담의 개념
2.민담의 특징과 기능

民謠
1.민요의 개념 및 특성
2. 민요의 분류

본문내용

삶의 내용이다. 그러므로 민요는 창자 자신들의 삶과 분리되지 않는다. 창자들의 생활과 직접적으로 맞물려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민요는 민중들의 생활에 필요한 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능을 지니고 있게 마련이다. 민요는 민중의 문학 중에서도 다른 장르보다 민족의 고유성을 보다 잘 간직한다. 민담은 민족간에 유형이나 화소의 유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무가는 외래종교의 영향을 많이 받아왔다 이에 반해 민요는 다른 민족의 영항을 쉽게 받아들이지 않으며, 받아들인다 해도 그 속도는 느리다. 그것은 민요가 민중의 기층적인 삶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어 있고 그러한 삶은 쉽게 변화되지 않는 속성을 보이기 때문이다. 민요는 구전물의 하나로서 비전문적인 민중이 삶의 필요에 따라 불러 온 오래다. 그러기에 민요는 기능적이며, 자족적인 성격을 보이며, 또한 계층적, 지역적, 민족적인 고유성을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민요는 구전 문학 가운데서도 기층적 성격이 가장 강한 장르라고 할 수 있다.
2. 민요의 분류
민요분류의 궁극적인 목적은 민요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민요는 민중들이 생활하는 가운데 필요에 따라 생성되어 구연되고 전승되어 왔다. 그러므로 기능은 민요의 존속근거라고 할 수 있다 생활상의 필요가 없어지면, 그 민요 또한 사라지고 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민요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 일에도 바른 기여를 할 수 있다. 민요현상 자체가 기능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민요분류의 기준은 기능 말고도 창자. 형식, 내용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류 기준은 민요의 부분적 측면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설정되는 것일 뿐, 민요현상 전체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1)노동요
①노동요의 개념과 범주
노동요는 민중들이 일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를 말한다. 민중들이 일을 하면서 노래를 부르는 것은 일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민중들이 노동의 현장에서 부르는 민요는 본래부터 일을 할 때 만 부르는 순수한 노동요와 일과 무관한 것을 가 져다 부르는, 곧 차용한 노동요가 있다. 다른 민요의 차용도 노동의 필요성에 의한 것이다. 그러므로 차용된 노동요도 그 도구적 기능에 있어서는 순수노동요와 차이가 나지 않는다. 따라서 민중들이 실제로 일을 하면서 부르는 민요는 차용 여부와 관계없이 모두 노동요의 범주에 넣을 수 있다.
②노동요의 분류
·농산 노동요
ⅰ.논농사요: 논가는 소리, 벼 베는 소리, 모심는 소리……
ⅱ밭농사요: 밭가는 소리, 밭밟는 소리, 밭매는 소리……
ⅲ타작요: 도리깨질 하는 소리, 벼 터는 소리……
·수산 노동요
ⅰ고기잡이요: 그물싣는 소리, 그물내리는 소리, 고기낚는 소리……
ⅱ해물채취요: 노젓는 소리, 미역 싣는 소리……
·임산노동요
ⅰ목재 생산요: 나무 베는 소리, 나무 내리는 소리……
ⅱ임산물 채취요: 나물 캐는 소리, 풀 베는 소리……
그밖에 공산 노동요, 토건 노동요, 운수 노동요, 가사 노동요로 나뉜다.
(2)의식요
①의식요의 개념과 범주
의식요는 민중들이 치루어내는 의식의 과정에서 부르는 민요를 말한다. 의식요는 민중들이 부르는 것이므로 그 의식 또한 비 전문적인 것이다. 의식요는 기능을 전제로 하여 설정된 개념이다. 그러므로 불교의식요나 무속의식요와 같은 개념은 의식요의 범주로 설정될 수 없다. 요컨대 민중이 스스로 치루는 의식에서 부르는 민요만이 의식요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②의식요의 분류
·기원 의식요
ⅰ안녕 기원요: 지신 밟는 소리
ⅱ풍요 기원요: 굴부르는 소리
·통과 의식요
ⅰ결혼요: 가마 메는 소리
ⅱ수연요: 잔치받는 소리
ⅲ장례요: 장례놀이 하는 소리, 출상하는 소리
·벽사 의식요
ⅰ축귀요: 귀신쫓는 소리
ⅱ축질요: 살내리는 소리
ⅲ축화요: 급살막는 소리
(3)유희요
①유희요의 개념과 범주
유희요는 놀이로서, 또는 놀이의 진행을 돕기 위하여 부르는 민요를 말한다. 놀이는 어른만 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도 한다. 그러므로 유희요에는 동요가 포함된다. 노래자체를 즐기기 위해 부르는 노래들도 '가창유희'라는 시각에서 유희요의 범주에 넣어 야 한다.
②유희요의 분류
·동작유희요
ⅰ동작 경기요: 손뼉 치기 하는 소리
ⅱ동작 연기요: 강강술래 하는 소리
·도구유희요
ⅰ도구 경기요: 줄다리기 하는 소리
ⅱ도구 연기요: 줄넘기 하는 소리
그 밖에 언어 유희요, 놀림 유희요, 자연물 상대 유희요, 가창 유희요 등으로 나뉜다.
  • 가격2,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4.21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39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