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후천년설의 정의
2. 몇 가지 기본 주제
3. 중심 사상과 그 근거
4. 후천년설의 성경적 근거
5. 후천년설의 드라마
6. 다른 천년왕국설과의 드라마 비교
7. 후천년설 주장자들
8. 평가(긍정 적인 측면, 부정적인 측에서)
9. 비판
III. 결론
참고문헌
II. 본론
1. 후천년설의 정의
2. 몇 가지 기본 주제
3. 중심 사상과 그 근거
4. 후천년설의 성경적 근거
5. 후천년설의 드라마
6. 다른 천년왕국설과의 드라마 비교
7. 후천년설 주장자들
8. 평가(긍정 적인 측면, 부정적인 측에서)
9. 비판
II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것 같다. 성경은 전체적으로 말세에 어려운 시대, 믿음이 없고 배교적인 시대가 올 것을 말한다. 마태복음 24:11, \"거짓 선지자가 많이 일어나 많은 사람을 미혹하게 하겠으며.\" 디모데후서 3:1, 2, \"말세에 고통하는[어려운] 때가 이르리니 이는 사람들이 자기를 사랑하며 돈을 사랑하며 자긍하며 교만하며.\" 디모데후서 4:3, 4, \"때가 이르리니 사람이 바른 교훈을 받지 아니하며 귀가 가려워서 자기의 사욕을 좇을 스승을 많이 두고 또 그 귀를 진리에서 돌이켜 허탄한 이야기를 좇으리라.\" 요한일서 4:1, 3, \"많은 거짓 선지자가 세상에 나왔음이니라. . . . 오리라 한 말을 너희가 들었거니와 이제 벌써 세상에 있느니라.\"
둘째로, 후천년설은 요한계시록 19, 20장의 사건들의 순서에 조화되지 않는 것 같다. 요한계시록의 사건들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대환난시대(6-18장), ② 그리스도의 재림(19:11-16), ③ 적그리스도와 거짓 선지자의 멸하심(19:19-21), ④ 천년간 사탄의 결박(20:2), ⑤ 첫째 부활(20:4, 5), ⑥ 천년간의 왕노릇(20:4, 6), ⑦ 천년 후 사탄이 놓여 땅의 백성들을 미혹하여 전쟁케 함(20:7-9), ⑧ 하늘에서 불이 내려와 저희를 소멸함(20:9), ⑨ 사탄이 불못에 던지움(20:10), ⑩ 마지막 심판(20:11-15). 그러나 후천년설은 ④, ⑤, ⑥ 즉 천년간 사탄의 결박, 첫째 부활, 천년간의 왕노릇을 ① 즉 대환난시대보다 앞에 두며(즉 대환난을 재림 직전의 징조로 봄), ⑦과 ⑧ 즉 천년 후 사탄이 놓여 땅의 백성들을 미혹하여 전쟁케 함과 하늘에서 불이 내려와 저희를 소멸함을 ①과 ② 즉 대환난시대와 그리스도의 재림과 동일한 사건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본문 해석상 자연스럽지 않다.
III. 결 론
초대교회의 교부들의 종말론에는 마지막 심판 날에 있을 상벌을 말하면서 현세에서의 도덕적인 생활을 강조하는 율법주의 적인 색체가 농후한 데 반하여 칭의의 교리를 재발견한 종교개혁 자들이 은혜의 교리를 말한 어거스틴과 같이 천년왕국 신앙을 부정적으로 말한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종말론의 신앙은 어떤 것을 따르느냐에 따라 그 신앙의 모습은 많은 차이를 보일 수 있다고 인식한다. 그러나 한 이론에 집착하여 그 이론이 말하는 데로만 따른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인식한다. 우리가 말하는 천년왕국을 성경에서 각 학자들 마다 많은 문제가 있음을 보고 있다. 우리각자 자신이 하나님을 날마다 경험하면서 바울과 같이 종말의 신앙을 생각하여 보았다. 그것은 하루하루를 날마다 종말의 신앙을 가지고 주님을 경험하면서 살아가는 것이라고 인식한다. 환란을 당하든 환란을 당하지 않던지 간에 그리고 천년왕국이 있던지 혹 없던지 간에 현실에서 하나님 나라를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며 현실에서 하나님 나라를 이루어가며 주를 기다리는 소망의 신앙을 가지는 것이 가장 종말적인 신앙이라 여겨진다. 그러나 우리가 성경을 바르게 보는 관점과 진정한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지 인지하려고 하는 노력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조금이라도 하나님의 뜻에 가깝게 살아야 할 것이다. 그것이 오늘의 신학의 나아갈 길이라고 인식한다.
*참고문헌
1. 단행본
1) A. A. 하지, 하지조직신학. 서울: 기독교문사, 1982.
2) 발 J. 사우어, 평신도를 위한 종말론. 서울: 나눔사, 1992.
3) 한정건, 종말론 입문. 서울: 기독문서선교회, 1994.
4) 최갑종, 이광복. 천년왕국, 사실인가 상징인가.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8.
5) 이종성, 『종말론』, 1990,10, 서울: 대한 기독교 출판사.
6) 밀라드 에릭슨저, 박양희역, 『현대 종말론연구』, 1996, 서울: 생명의말씀사.
7) 안토니A. 후크마저, 유호준역 『개혁주의 종말론』, 1991,서울: 기독교 문서 선교회.
8) 웨인그루뎀저, 노진준역, 『조직신학 3』, 1997, 서울: 은성
9) 루이스 벌콥프저, 권수경,이상원역 『벌코프조직신학(합본)』, 2001,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0) Boettner, The Millennium, (Twelfth Printing, November, 1980)
11) Erickson, Contemporary Options in Eschataology, 59. 목창균, 「종말론 논쟁」(서울: 두란노 1988)
12) Augustine, Sermon 259. 2, Erickson, Christian Theology, vol. 3,
13) Loraine Boettner, “후천년기설자의 비판”, 「천년왕국」, 로버트 지, 클라우스 편
(서울: 성광출판사, 1980),
14) 한정건, 종말론 입문,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4),
15) 발 J. 사우어, 평신도를 위한 종말론,
16) Hans BeitCulloch, \"Eschatology,\" p.388 , Millard J. Erickson ,
CONTEMPORARY OPTION IN ESCHATOLOGY, 박양희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6)
17) The Millennium(Grand Rapids: Baker, 1958), p. 14, Anthony A. Hoekema,
THE BIBLE AND THE FUTURE, 류호준 역 (서울: 기독교문서 선교회, 2002),
18) Systematic Theology, 3 : 800~805 , Millard J. Erickson ,
CONTEMPORARY OPTION IN ESCHATOLOGY, 박양희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6),
19) The Coming of the Lord, pp. 268 , Millard J. Erickson ,
CONTEMPORARY OPTION IN ESCHATOLOGY, 박양희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6),
20) Jonathon Edwards [온라인 자료]; http://www.ask.com 2004년 11월 10일 접속.
21) Charles Hodge [온라인 자료]; http://www.ask.com 2004년 11월 10일 접속.
둘째로, 후천년설은 요한계시록 19, 20장의 사건들의 순서에 조화되지 않는 것 같다. 요한계시록의 사건들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대환난시대(6-18장), ② 그리스도의 재림(19:11-16), ③ 적그리스도와 거짓 선지자의 멸하심(19:19-21), ④ 천년간 사탄의 결박(20:2), ⑤ 첫째 부활(20:4, 5), ⑥ 천년간의 왕노릇(20:4, 6), ⑦ 천년 후 사탄이 놓여 땅의 백성들을 미혹하여 전쟁케 함(20:7-9), ⑧ 하늘에서 불이 내려와 저희를 소멸함(20:9), ⑨ 사탄이 불못에 던지움(20:10), ⑩ 마지막 심판(20:11-15). 그러나 후천년설은 ④, ⑤, ⑥ 즉 천년간 사탄의 결박, 첫째 부활, 천년간의 왕노릇을 ① 즉 대환난시대보다 앞에 두며(즉 대환난을 재림 직전의 징조로 봄), ⑦과 ⑧ 즉 천년 후 사탄이 놓여 땅의 백성들을 미혹하여 전쟁케 함과 하늘에서 불이 내려와 저희를 소멸함을 ①과 ② 즉 대환난시대와 그리스도의 재림과 동일한 사건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본문 해석상 자연스럽지 않다.
III. 결 론
초대교회의 교부들의 종말론에는 마지막 심판 날에 있을 상벌을 말하면서 현세에서의 도덕적인 생활을 강조하는 율법주의 적인 색체가 농후한 데 반하여 칭의의 교리를 재발견한 종교개혁 자들이 은혜의 교리를 말한 어거스틴과 같이 천년왕국 신앙을 부정적으로 말한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종말론의 신앙은 어떤 것을 따르느냐에 따라 그 신앙의 모습은 많은 차이를 보일 수 있다고 인식한다. 그러나 한 이론에 집착하여 그 이론이 말하는 데로만 따른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인식한다. 우리가 말하는 천년왕국을 성경에서 각 학자들 마다 많은 문제가 있음을 보고 있다. 우리각자 자신이 하나님을 날마다 경험하면서 바울과 같이 종말의 신앙을 생각하여 보았다. 그것은 하루하루를 날마다 종말의 신앙을 가지고 주님을 경험하면서 살아가는 것이라고 인식한다. 환란을 당하든 환란을 당하지 않던지 간에 그리고 천년왕국이 있던지 혹 없던지 간에 현실에서 하나님 나라를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며 현실에서 하나님 나라를 이루어가며 주를 기다리는 소망의 신앙을 가지는 것이 가장 종말적인 신앙이라 여겨진다. 그러나 우리가 성경을 바르게 보는 관점과 진정한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지 인지하려고 하는 노력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조금이라도 하나님의 뜻에 가깝게 살아야 할 것이다. 그것이 오늘의 신학의 나아갈 길이라고 인식한다.
*참고문헌
1. 단행본
1) A. A. 하지, 하지조직신학. 서울: 기독교문사, 1982.
2) 발 J. 사우어, 평신도를 위한 종말론. 서울: 나눔사, 1992.
3) 한정건, 종말론 입문. 서울: 기독문서선교회, 1994.
4) 최갑종, 이광복. 천년왕국, 사실인가 상징인가.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8.
5) 이종성, 『종말론』, 1990,10, 서울: 대한 기독교 출판사.
6) 밀라드 에릭슨저, 박양희역, 『현대 종말론연구』, 1996, 서울: 생명의말씀사.
7) 안토니A. 후크마저, 유호준역 『개혁주의 종말론』, 1991,서울: 기독교 문서 선교회.
8) 웨인그루뎀저, 노진준역, 『조직신학 3』, 1997, 서울: 은성
9) 루이스 벌콥프저, 권수경,이상원역 『벌코프조직신학(합본)』, 2001,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0) Boettner, The Millennium, (Twelfth Printing, November, 1980)
11) Erickson, Contemporary Options in Eschataology, 59. 목창균, 「종말론 논쟁」(서울: 두란노 1988)
12) Augustine, Sermon 259. 2, Erickson, Christian Theology, vol. 3,
13) Loraine Boettner, “후천년기설자의 비판”, 「천년왕국」, 로버트 지, 클라우스 편
(서울: 성광출판사, 1980),
14) 한정건, 종말론 입문,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1994),
15) 발 J. 사우어, 평신도를 위한 종말론,
16) Hans BeitCulloch, \"Eschatology,\" p.388 , Millard J. Erickson ,
CONTEMPORARY OPTION IN ESCHATOLOGY, 박양희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6)
17) The Millennium(Grand Rapids: Baker, 1958), p. 14, Anthony A. Hoekema,
THE BIBLE AND THE FUTURE, 류호준 역 (서울: 기독교문서 선교회, 2002),
18) Systematic Theology, 3 : 800~805 , Millard J. Erickson ,
CONTEMPORARY OPTION IN ESCHATOLOGY, 박양희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6),
19) The Coming of the Lord, pp. 268 , Millard J. Erickson ,
CONTEMPORARY OPTION IN ESCHATOLOGY, 박양희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6),
20) Jonathon Edwards [온라인 자료]; http://www.ask.com 2004년 11월 10일 접속.
21) Charles Hodge [온라인 자료]; http://www.ask.com 2004년 11월 10일 접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