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행기능의 분석과 평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행기능의 분석과 평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상보행의 기능분석
1)보행주기의 상
2)보행주기의 생체역학적 분석

2. 이상보행의 기능 분석
1)이상보행의 종류와 특징
2)신체 구조상의 결함으로 인한 보행

본문내용

각기는 보행주기의 약 40%를 차지한다.
한편 보행시 양측 하지가 동시에 지면에 닿아있는 경우를 동시입각기라 하는데 동시 입각기는 한쪽 하지의 입각기 초기 즉 발뒤꿈치닿기와 반대쪽 하지의 입각기 말기 즉 발끝밀기상태에서 일어난ㄷ. 한 보행주기 동안 동시 입각기는 두 번 일어나며 보행주기동안 차지하는 시간은 보행속도가 빠를수록 작아지며 느릴수록 길어진다. 보행주기동안 동시 입각기에 대한 %는 사람에 따라 주장이 다른데 정상적인 보행의 경우 약 20~25% 정도라고 보고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1) 입각기
전술한 바와같이 입가기는 발뒤꿈치가 땅에 닿아서부터 발끝밀기가 끝날때까지의 시간을 말하는데 입각기는 크게 제동기와 추진기로 나누워 설명할 수 있다.
(1) 제동기
①발뒤꿈치닿기
②발바닥 닿기
③중간 입각기
(2) 추진기
① 발뒤꿈치들어올리기
② 발끝밀기
발뒤꿈치가 땅에 닿는 순간부터 체중심이 족관절의 수직상방에 도달할 때까지는 제돌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 시기를 입각기의 제동기라 하며 체중심이 족관절의 수직상방에서 발끝밀기까지는 추진력이 작용하므로 추진기라 한다.
2) 유각기
유각기는 발이 땅에서 떨어질 때 즉 발끝 밀기가 RMxsks 순간부터 다시 발뒤꿈치가 땅에 닿기 직전 까지ㄴ를 말하는데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눈다.
①가속기
②중간유각기
③감속기
보행에 있어서 유각기와 입각기는 시간적인 길이에 차이가 있는데 입가기가 유각기보다 길고 보행이 빠르면 빠를수록 유각기와 입각기의 시간적 차이의 범위가 좁아진다. 그러나 보행이 빨라지면 동시 입각기는 짧아지고 걸음걸이가 달리기로 변하면 동시 입각기는 거의 없어진다.
또한 걸음걸이가 빠르면 빠를수록 고관절의 위치도 낮아진다. 즉 고관절에 있어서 대퇴골두의 위치가 높으면 높을수록 한걸음의 거리가 짧아진다. 그리고 발뒤꿈치 닿기시 발이 지면에 닿는 경사가 적어진다. 다시 말하면 고관절에 있어서 대퇴골두의 위치가 낮으면 낮을수록 한걸음의 거리가 길어진다. 또한 발뒤꿈치 닿기시 발이 지면에 닿는 각도가 더 많은 경사를 이루게 된다. 발뒤꿈치 닿기시 발이 지면에 닿는 각도가 커지면 신체의 추진시에 수평전방가대로 후방으로 향하게 되며 하지의 지면과의 경사는 같은 정도로 증가하게 된다.
빨리 걷기 위해서 발걸음을 길게 할 때는 고관절에 있어서 대퇴골두의 위치가 낮아져서 스위그하는 하지의 길이는 천천히 걸을때보다 짧아지게 된다.
한편 빠른 걸음걸이는 여러 근육의 협동작용이 필요하며 천천히 걷거나 보통 걸음걸이 때보다 부자연스럽게 된다.
3) 거리와 시간의 변수들
(1) 용어의 정의
①보폭
한쪽 발뒤꿈치가 지면에 닿는 순간부터 같은 발뒤꿈치가 다시 지면에 닿을때까지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 거리를 말한다.
②한발짝
2개의 연속적인 반대측 발뒤꿈치닿기 사이의 거리로 예를 들면 한 원발짝은 오른쪽 하지의 발뒤꿈치닿기와 뒤이어 일어나는 왼쪽 하지의 발뒤꿈치닿기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③양발너비
좌우 f사이의 폭을 말한다. 정상의 경우 약 2~4인치이다.
④ 보행속도
첫 번째 발뒤꿈치 닿기와 마지막 발뒤꿈치 닿기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이 거리를 걷는데 소요된 시간으로 거리를 나눈 것 (거리/시간)
⑤ 보행률
일정한 단위시간당 취해진 스텝의 수를 경과한 시간으로 나눈 것을 말한다.
⑥발목각도
진행 방향의 선과 발뒤꿈치의 중앙에서 두 번째 발가락을 연결하는 선 사이에서 이루어진 각도로 정상의 경우 약 7° 정도이다.
2. 보행주기의 생체역학적 분석
1) 정상 보행의 구성요소
(1) 체중심
체중심은 정상 성인에 있어서 인체의 정중 선상에 발에서부터 신장의 55%점에 위치하고 있으며 개인차가 있으나 대개 제 2천추 전방에 이

키워드

보행,   정상,   비정상,   훈련,   해부학,   생체역학,   운동학,   분석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4.24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1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