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주자, 화이트헤드, 네빌이 한자리에
-동북아시아 과정사상의 꿈과 좌절
-‘범세계적 세계관’을 향하여
2.주자와 율곡: 누가 더 과정사상 적인가?
-플라톤의 고민과 주자의 고민
-주자가 과연 과정철학자 인가?
3.‘존재의 원리’와 율곡의 이기론
-동학의 선구자 율곡
-율곡과 브래들리
▶마치며
-동북아시아 과정사상의 꿈과 좌절
-‘범세계적 세계관’을 향하여
2.주자와 율곡: 누가 더 과정사상 적인가?
-플라톤의 고민과 주자의 고민
-주자가 과연 과정철학자 인가?
3.‘존재의 원리’와 율곡의 이기론
-동학의 선구자 율곡
-율곡과 브래들리
▶마치며
본문내용
철학과 200321024정은혜
제8장. 동북아시아 지역과정사상에 대한 시비
[목차]
1.주자, 화이트헤드, 네빌이 한자리에
-동북아시아 과정사상의 꿈과 좌절
-‘범세계적 세계관’을 향하여
2.주자와 율곡: 누가 더 과정사상 적인가?
-플라톤의 고민과 주자의 고민
-주자가 과연 과정철학자 인가?
3.‘존재의 원리’와 율곡의 이기론
-동학의 선구자 율곡
-율곡과 브래들리
▶마치며
1.주자, 화이트헤드, 네빌이 한자리에
-동북아시아 과정사상의 꿈과 좌절
버스롱은 주자, 화이트헤드 네빌을 비교함으로써 과정사상을 통해 동서 철학의 유사
성을 부각시키려는 것이 그의 방법론이다. 버스롱은 동북아시아지역의 대
제8장. 동북아시아 지역과정사상에 대한 시비
[목차]
1.주자, 화이트헤드, 네빌이 한자리에
-동북아시아 과정사상의 꿈과 좌절
-‘범세계적 세계관’을 향하여
2.주자와 율곡: 누가 더 과정사상 적인가?
-플라톤의 고민과 주자의 고민
-주자가 과연 과정철학자 인가?
3.‘존재의 원리’와 율곡의 이기론
-동학의 선구자 율곡
-율곡과 브래들리
▶마치며
1.주자, 화이트헤드, 네빌이 한자리에
-동북아시아 과정사상의 꿈과 좌절
버스롱은 주자, 화이트헤드 네빌을 비교함으로써 과정사상을 통해 동서 철학의 유사
성을 부각시키려는 것이 그의 방법론이다. 버스롱은 동북아시아지역의 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