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몸짓언어의 의미
2. 본론
3. 결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e Dictation : 이야기에 나오는 주인공을 교사의 지시에 따라 듣고 그린다.
Role Play : 이야기를 어린이들이 역할을 맡아 대사를 말하고 연기해 본다.
Sing a Song : 이야기의 언어 내용이나 주인공에 관한 노래를 불러본다.
Listen and Match : 문장을 듣고 그림을 고른다.
Listen and Put in Order : 교사가 하나씩 문장을 말하면 듣고, 주어진 그림의 순서를 맞추어 본다.
Listen and Coloer : 교사는 책에서 한 부분을 그리거나 복사하여 어린이에게 준다. 어린이들은 교사가 말하는 문장을 듣고 색칠한다.
Listen and Retell : 이야기를 듣고 다시 말해 본다.
Make a story book : 그룹으로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이야기의 그림을 그리고 간단히 내용을 적어 책으로 묶는다. 이야기의 내용과 더불어 언어 내용에 따라 많은 활동이 행해질 수 있다. 학습지도시 Classroom English를 말할 때 몸 동작을 함께 사용하면 학생들의 이해를 좀더 높일 수 있다.
*예시 4: 효과적인 Classroom English의 사용 예
Pay attention, please.(두 손은 벌렸다가 가운데로 모으는 몸짓과 함께 말한다.)
Do you understand? (검지손가락으로 머리를 가리키는 몸짓과 함께 말한다.)
Are you ready?(노래나 게임을 하기 전에 사용. 두 손을 허리에 얹는 몸짓과 함께 말한다.)
Listen and repeat.(먼저 귀를 가리킨 뒤 다음으로 입 앞에서 손가락으로 기저귀는 듯한 몸짓을 하면 말한다. )
Switch the part.(두 손을 반대편으로 교차시키는 몸짓과 함께 말한다.)
Practice with me.(학생과 교사를 손으로 원을 그려 묶는 시늉을 하며 말한다.)
First, ask me.(손가락으로 학생을 먼저 가리키고 다음으로 교사를 가리킨 뒤, 허공에 물음표를 크게 그리며 말한다.)
Practice with your partner.(특정 학생과 그 짝을 손가락으로 묶어주는 시늉을 하며 말한다.)
Is there any volunteer?(손드는 시늉을 하며 말한다.)
3. 결 론
*몸짓언어가 갖는 중요한 의미
몸짓언어(행동언어)는 이렇듯 예전이나 오늘날이나 굉장히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이라고 말할 수 있다. 언어와 문자의 발달로 몸짓이 퇴색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있지만, 위의 에로 보자면 쓸데없는 걱정이 아닌가 싶다.. 언어가 그 나름대로 효과적이고 신속한 의사 전달의 기능을 가졌다면, 몸짓 역시 그러하다. 언어가 주는 효과를 정확하다고 말한다면 , 몸짓이 주는 효과는 진실하다 고나 할까? 그러한 진실성이 없었다면 몸짓은 이미 의사소통수단으로서의 자격을 잃었다고 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몸짓이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지금 몸짓은 그것이 주는 진실성 덕분에 몸짓언어, 행동언어라는 말과 같이 언어로까지 추대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몸짓언어가 지니는 의미는 바로 여기에 있는 게 아닐까?
Role Play : 이야기를 어린이들이 역할을 맡아 대사를 말하고 연기해 본다.
Sing a Song : 이야기의 언어 내용이나 주인공에 관한 노래를 불러본다.
Listen and Match : 문장을 듣고 그림을 고른다.
Listen and Put in Order : 교사가 하나씩 문장을 말하면 듣고, 주어진 그림의 순서를 맞추어 본다.
Listen and Coloer : 교사는 책에서 한 부분을 그리거나 복사하여 어린이에게 준다. 어린이들은 교사가 말하는 문장을 듣고 색칠한다.
Listen and Retell : 이야기를 듣고 다시 말해 본다.
Make a story book : 그룹으로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이야기의 그림을 그리고 간단히 내용을 적어 책으로 묶는다. 이야기의 내용과 더불어 언어 내용에 따라 많은 활동이 행해질 수 있다. 학습지도시 Classroom English를 말할 때 몸 동작을 함께 사용하면 학생들의 이해를 좀더 높일 수 있다.
*예시 4: 효과적인 Classroom English의 사용 예
Pay attention, please.(두 손은 벌렸다가 가운데로 모으는 몸짓과 함께 말한다.)
Do you understand? (검지손가락으로 머리를 가리키는 몸짓과 함께 말한다.)
Are you ready?(노래나 게임을 하기 전에 사용. 두 손을 허리에 얹는 몸짓과 함께 말한다.)
Listen and repeat.(먼저 귀를 가리킨 뒤 다음으로 입 앞에서 손가락으로 기저귀는 듯한 몸짓을 하면 말한다. )
Switch the part.(두 손을 반대편으로 교차시키는 몸짓과 함께 말한다.)
Practice with me.(학생과 교사를 손으로 원을 그려 묶는 시늉을 하며 말한다.)
First, ask me.(손가락으로 학생을 먼저 가리키고 다음으로 교사를 가리킨 뒤, 허공에 물음표를 크게 그리며 말한다.)
Practice with your partner.(특정 학생과 그 짝을 손가락으로 묶어주는 시늉을 하며 말한다.)
Is there any volunteer?(손드는 시늉을 하며 말한다.)
3. 결 론
*몸짓언어가 갖는 중요한 의미
몸짓언어(행동언어)는 이렇듯 예전이나 오늘날이나 굉장히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이라고 말할 수 있다. 언어와 문자의 발달로 몸짓이 퇴색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있지만, 위의 에로 보자면 쓸데없는 걱정이 아닌가 싶다.. 언어가 그 나름대로 효과적이고 신속한 의사 전달의 기능을 가졌다면, 몸짓 역시 그러하다. 언어가 주는 효과를 정확하다고 말한다면 , 몸짓이 주는 효과는 진실하다 고나 할까? 그러한 진실성이 없었다면 몸짓은 이미 의사소통수단으로서의 자격을 잃었다고 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몸짓이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지금 몸짓은 그것이 주는 진실성 덕분에 몸짓언어, 행동언어라는 말과 같이 언어로까지 추대 받을 수 있는 것이다. 몸짓언어가 지니는 의미는 바로 여기에 있는 게 아닐까?
추천자료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특징그리고 비교
[A+]언어와 문화(인문지리학)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관하여
3가지 언어습득 이론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비판점
유아기 언어교육의 관점
[언어지도] 영유아기 구어발달의 특징
신용카드 광고와 언어
교사의 바람직한 언어적 상호작용의 원칙 및 방법과 견해
영아기에 언어발달을 돕기 위한 다양한 교수전략을 조사하여 제시하시오.
대소집단활동 시 언어적 상호작용방법에 관하여 논하시오.
언어 이전의 의사소통에 대해 서술하시오 - 전언어기 의사소통
자신의 성장 과정에서 언어의 중요성을 느끼게 한 사례가 있는지 생각해보고 이에 대한 내용...
영유아 극놀이 활동의 언어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논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