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진출 전략 및 사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러시아 진출 전략 및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연 구 목 적

Ⅱ러 시 아 의 경 제 적 환 경
1. 경 제 개 황
2. 한 • 러 간 내 외 교 역
3. 한 국 의 러 시 아 투 자

Ⅲ러 시 아 사 회 • 문 화 적 환 경
1. 러 시 아 의 민 족 과 언 어, 인 구 동 향
2. 러 시 아 의 민 족 성
3. 러 시 아 의 정 치 적 문 제 점

Ⅳ러 시 아 진 출 성 공 기 업 사 례
1. L G 전 자 의 러 시 아 진 출 전 략
2. 삼 성 의 러 시 아 진 출 전 략

Ⅴ결 론

본문내용

때부터 강한 러시아 부활을 강조했다. 강한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대통령의 강화가 필수적일 것이다. 대통령에 당선된 후 푸틴은 권력 수직화 방안을 발표했다. 첫째, 지방정부의 주지사 및 의회의장이 자동적으로 중앙정부의 상원의원직을 겸직하도록 하고 있는 기존의 제도를 폐지한다. 둘째, 연방법에 어긋나는 각종 조례나 규칙을 제정하여 시행하는 지방정부의 수장을 해임하고, 지방의회를 해산한다. 셋째, 기존의 89개 연방주체로 구성되어 있는 러시아 전역을 7개 연방지역으로 재편한다. 이러한 내용은 대통령과 연방정부의 권한강화에 초점이 맞추어진 것이다. 강력한 대통령을 기반으로 연방과 지방 정부간의 갈등문제해결, 범죄-부패-마피아-탈세와의 전쟁 등에서 공권력 투입을 증대하려는 움직임이라고 할 수 있다.
3) 정부 기관의 비효율성
마지막 세 번째로는 정부 기관의 비효율성에 대해 들 수 있다. 푸틴은 정부개혁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부기관의 비효율성이 개혁의 걸림돌이고 정부 기관은 소련시대의 구습을 청산하고 지배보다는 경제활동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탈바꿈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부패척결을 주장했다. 부패로 인해 경제자유가 제한된다면 행정절차가 복잡할수록 뇌물이 늘어나기 때문에 경제활동과 관련한 행정절차를 간소화 할 것임을 강조했다.
Ⅵ. 러시아 진출 성공 기업 사례
1. LG전자의 러시아 진출 전략
1) 시장 분석
카자흐스탄과 모스크바에 공장을 가지고 있고 다른 지역에는 서비스 본부를 가지고 있다.
CIS(독립국가연합) 1991. 12. 31 소련이 소멸되면서 구성공화국 중 12개국(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로루시, 몰도바, 카자흐스탄, 우주베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 아르메니아, 그루지야)이 결성한 정치공동체
지역에서 주목할만한 것은 혹한의 땅 러시아에서 에어컨 판매 1위를 달성한 것이다. 카자흐스탄에는 전자제품 브랜드 선호도가 소니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고 TV, VCR, 진공청소기시장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과연 어떻게 러시아는 추운지방인데 에어컨으로 판매 1위를 달성할 수 있었을까?
CIS지역은 사회주의 유산과 경제위기로 침체되어 있으며 사회주의 전통으로 인해 외국 기업에게 보수적이다. 하지만 자국의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외국 자본이 필요한 것을 인식하기 때문에 부정적이지만은 않다. 러시아의 휴대폰 시장은 매년 100%이상 급성장하고 있어서 휴대폰을 생산하는 LG에게는 매력적인 시장이다.

지역
법인명
형태
생산품목
연간생산능력
(천대)
자본금(천)
투자형태
설립시기
러시아
모스크바
LGTC
생산/판매
교환기
U$2,098
합작75%
Telecom25%
1995.09
CIS
카자흐스탄
LGEAK
생산/판매
TV
세탁기
300
50
U$4,000
단독
1997.10
러시아
모스크바
LGERI
SVC


U$526
합작95%
ALINA5%
1996.01
우크라이나
키에프
LGEUR
SVC


U$800
단독
1998.06
2) LG의 전략
LG전자는 98년부터 러시아가 거점 지역에서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해 지역 주민들이 LG에 대해 호감을 갖도록 하는 동시에 LG의 시장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다. 그 일환으로 러시아 예카시에서는 LG전자 주최로 LG페스티발이 열렸다. LG가라오케를 이용한 노래경연과 미스 LG선발대회 등 다채로운 행사들이 열려 현지 주민들의 열렬한 환호를 받았다. 술과 노래를 좋아하는 러시아인들에게 LG가라오케 기계는 시장점유율 100%를 나타내며 인기를 모으고 있어 가라오케 중심의 오디오 마케팅이 성공을 거두었다. 또한 미스 LG 선발을 통해 세계적으로 정평이 난 러시아 여성들의 아름다움을 과시하기도 했으며 행사 막바지에는 예카시와 고아원에 LG전자의 제품을 기증하고 경품추첨을 통해 참석한 시민들에게 다양한 선물을 제공하기도 했다. 이 행사는 주지사, 시장 등 주요 인사들과 총 9만 5천여명의 시민들이 참가한 가운데 시차원의 축제로 전개되었다.
초기 자본주의 시장 단계인 러시아에서 LG전자는 지역적으로 그리고 문화적으로 이들에게 접근하려고 했다. LG전자는 국토면적이 넓은 러시아에서 LG를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해 거점도시를 선점하고 집중적으로 LG브랜드 이미지를 높여 갔다. 선택된 거점 지역에서는 집중적인 빌보드 광고나 TV광고는 물론 미스 LG선발대회나 가라오케 경연 대회 등 지역주민들이 직접 참가할 수 있는 행사를 개최해 LG를 친근한 브랜드로 만들어 나간 것이다. 모스크바의 멀티브랜드

키워드

러시아,   전략,   사례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4.30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50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