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겨레 문학사를 위하여
2. 고려인 문단의 형성과 특수성
3. 구소련 한글문단의 실체
4. 고려인 문학의 특수성
(1)모국체험의 세 부류
(2) 여러 장르에 걸친 글쓰기
(3) 아마추어적인 작품 수준
(4) 이념의 벽과 독자층 감소
5. 소련 한글문학의 주제의식
(1) 모국어 사랑과 정체성 찾기
(2) 방랑의식과 향수
(3)문화갈등과 적응노력
(4)정론적인 송가성향
6. 한민족문학사 정립을 위하여
2. 고려인 문단의 형성과 특수성
3. 구소련 한글문단의 실체
4. 고려인 문학의 특수성
(1)모국체험의 세 부류
(2) 여러 장르에 걸친 글쓰기
(3) 아마추어적인 작품 수준
(4) 이념의 벽과 독자층 감소
5. 소련 한글문학의 주제의식
(1) 모국어 사랑과 정체성 찾기
(2) 방랑의식과 향수
(3)문화갈등과 적응노력
(4)정론적인 송가성향
6. 한민족문학사 정립을 위하여
본문내용
가성향
뚜렷한 정론적(政論的) 글쓰기, 짙은 송가(頌歌)성향
-김능보의 시아침 거리에서(1956), 레닌묘 앞에서(1957), 무산의 시레닌 릉 묘로 통한다(1918), 김준의 시레닌의 숲(1979), 박 보리스의 시레닌적 친선의 노래(1988)
구소련의 문단풍토가 경직되고 정론적인 송가성으로 흘렀음
이렇게 특정한 인물이나 혁명에 치우쳐서 문학을 정치사회 권력의 시녀로 격하시킴 은 중요한 모순임.
지나친 이념적 정론성 작품 창작법이 결국 러시아 문학을 위축시켜 왔을 뿐더러 중 국이나 북한 문학에 그대로 전수되어 우리 민족문학 발전에도 저해를 가져왔음.
북한의 특정인 기리기 송구문학은 세닌 칭송의 모방
6. 한민족문학사 정립을 위하여
구소련권 한글문학의 보루인 중앙아시아 문단을 부활시키는데 함께 노력해야함.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그곳 한글문단 성과물들을 한민족 통일문학사에 편입시켜야 함.
구한말과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 전의 연해주 한글문학도 본격적으로 조사, 연구하 여 식민지시대 항일문학을 밝혀야 함.
구소련 지역의 한글문학이 북한의 송가문학에 미친 영향도 검토, 연구해 보아야함.
고려인 한글문단과 중국조선족의 한글문단을 대비하고 그 진흥책도 모색해야함.
뚜렷한 정론적(政論的) 글쓰기, 짙은 송가(頌歌)성향
-김능보의 시아침 거리에서(1956), 레닌묘 앞에서(1957), 무산의 시레닌 릉 묘로 통한다(1918), 김준의 시레닌의 숲(1979), 박 보리스의 시레닌적 친선의 노래(1988)
구소련의 문단풍토가 경직되고 정론적인 송가성으로 흘렀음
이렇게 특정한 인물이나 혁명에 치우쳐서 문학을 정치사회 권력의 시녀로 격하시킴 은 중요한 모순임.
지나친 이념적 정론성 작품 창작법이 결국 러시아 문학을 위축시켜 왔을 뿐더러 중 국이나 북한 문학에 그대로 전수되어 우리 민족문학 발전에도 저해를 가져왔음.
북한의 특정인 기리기 송구문학은 세닌 칭송의 모방
6. 한민족문학사 정립을 위하여
구소련권 한글문학의 보루인 중앙아시아 문단을 부활시키는데 함께 노력해야함.
이를 실행하기 위하여 그곳 한글문단 성과물들을 한민족 통일문학사에 편입시켜야 함.
구한말과 중앙아시아 강제 이주 전의 연해주 한글문학도 본격적으로 조사, 연구하 여 식민지시대 항일문학을 밝혀야 함.
구소련 지역의 한글문학이 북한의 송가문학에 미친 영향도 검토, 연구해 보아야함.
고려인 한글문단과 중국조선족의 한글문단을 대비하고 그 진흥책도 모색해야함.
키워드
추천자료
현대한국정치의 권력구조에 대하여...
한국현대시에 나타난 '꽃'에 대한 연구
제주4.3항쟁과 여순반란사건, 그리고 지리산 빨치산..한국현대사
Hegel, Marx의 철학적 관점에서의 한국현대사에서 자유의식 진보과정
[한국현대사]남과 북의 단독정부 수립
[한국현대사]남북협상
한국근현대사 수행평가 예문
현대한국문학의 이해-태백산맥
건국과 부국(현대한국정치사강의)
[한국현대문학] 신경숙 외딴방 등장인물과 작품분석
[현대문학/한국현대문학] 기형도의 기형도전집의 작품경향 분석과 의미 고찰
한국현대사
한국근현대 미술사 정리
[한국근현대사 리포트] 김구와 감산의 독립운동 노선 비교 - 백범 일지, 아리랑에 나타난 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