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ꊱ 서 론
1. 문제제기 - 신자유주의와 세계화는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
2. ‘제국’의 개념
ꊲ 본 론
1. 세계 질서
2. 생체 정치적 생산 - 제국의 기본 동학
3. 제국에서의 대안들
ꊳ 결 론
1. 문제제기 - 신자유주의와 세계화는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
2. ‘제국’의 개념
ꊲ 본 론
1. 세계 질서
2. 생체 정치적 생산 - 제국의 기본 동학
3. 제국에서의 대안들
ꊳ 결 론
본문내용
와 이질화의 생산 체제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투쟁의 국지화는 적을 잘못 확인하고 그래서 적을 감춘다. 오히려 적은 제국이라고 부르는 전지구적 관계들의 특정한 체제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결코 (상호)관계들 그 자체의 전 지구화에 반대하지 않으며 제국의 동질화하고 이질화하는 흐름들에 아주 복합적으로 대결하여 우리의 분석의 근거를 전지구적 대중의 권력에 두는 것이 더 낫다.
(2) 새로운 특질의 사회 운동의 출현 - 제국 권력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
20세기 마지막 수년 동안의 급진적이고 강력한 다음과 같은 투쟁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1989년의 천안문 사건, 이스라엘 국가 권위에 대항한 인티파다intifada(팔레스타인인들의 봉기), 로스앤젤레스(LA)에서의 1992년 5월 폭동, 1994년에 시작된 치아파스chiapas 봉기, 프랑스를 마비시킨 1995년 12월의 일련의 파업(공공 부문 파업), 한국을 뒤흔든 1996년의 파업(노동법 개악에 반대한 파업)과 같은 일련의 투쟁들은 어떤 점에서도 전지구적으로 확대되는 반란 연쇄로 함께 연결될 수 없는 그런 식으로 특유하였고 직접적인 지역적 관심사들에 근거를 두고 있었다. 이것은 대단히 역설적이게도 우리가 자랑스러워하는 소통 시대에 투쟁들은 거의 소통할 수 없게 되었으며 단기적으로 국지적인 투쟁만이 가능하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이러한 투쟁들을 기존의 관점에서 바라보아서는 안되며 새로운 특질의 사회 운동의 출현이라고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달리 말해서, 우리는 이러한 투쟁들이 기본적으로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투쟁들 모두가 보여주는 근본적으로 새로운 특징들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첫째, 각 투쟁은 국지적인 조건에 견고하게 뿌리내리고 있을지라도 즉각적으로 전지구적 수준으로 도약하고 제국적 구성을 전반적으로 공격한다. 둘째, 모든 투쟁은 경제 투쟁과 정치 투쟁 사이의 전통적인 구분을 파괴한다. 그 투쟁들은 경제적이고, 정치적이면서 동시에 문화적이다. 그러므로, 그 투쟁들은 생체 정치적 투쟁이며 삶의 형식을 둘러싼 투쟁이다.
이처럼 국지적이고 개별적으로 보이는 투쟁들이 결국은 제국의 억압이라는 공통적인 근본 원인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제국의 생체 정치적 특성으로 인하여 그 실체가 드러나지 않으므로 매우 어려우며, 투쟁의 언어의 부재로 인하여 공통된 적을 인식하기는 더욱 어렵다. 하지만, 이같은 인식을 통한 투쟁은 비록 그것들이 소통할 수 없을 지라도 표면적인 세계를 나타내는 제국의 특성으로 인하여 수직적으로 제국의 가상적 중심으로 도약할 수 있다.
결 론
지금까지 제국의 형성 과정에서부터 제국의 작동원리, 그리고 그 대안으로서 제시된 ‘대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재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대세인 것처럼 전세계에 확대되고 있는 신자유주의적 논리는 겉으로는 개인의 자유의 신장과 그를 통한 공공 복리의 증대를 내세우고 있지만, ‘제국’의 개념을 통해 바라본 신자유주의는 그 이전의 폭압보다 더욱 정교하고 치밀하게 우리의 삶을 통제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제국’은 생체 정치적인 권력으로서 우리 일상에 내재되어 있고, 의지뿐 아니라 신체까지도 통제하며 우리의 욕망까지 생산하는 권력 체제이다. 그러므로 그 실체는 잘 드러나지 않으며 여기서 그 위험성이 더욱 커진다고 할 수 있다. 각기 별개의 것으로 보여지는 개별적 사회 운동 (꼭 투쟁만이 아니라 여타 사회 현상도 포함하여)이 궁극적으로 ‘제국’권력이라는 동일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이를 통하여 제국 안에서 대중(multitude)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투쟁의 국지화는 적을 잘못 확인하고 그래서 적을 감춘다. 오히려 적은 제국이라고 부르는 전지구적 관계들의 특정한 체제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결코 (상호)관계들 그 자체의 전 지구화에 반대하지 않으며 제국의 동질화하고 이질화하는 흐름들에 아주 복합적으로 대결하여 우리의 분석의 근거를 전지구적 대중의 권력에 두는 것이 더 낫다.
(2) 새로운 특질의 사회 운동의 출현 - 제국 권력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
20세기 마지막 수년 동안의 급진적이고 강력한 다음과 같은 투쟁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1989년의 천안문 사건, 이스라엘 국가 권위에 대항한 인티파다intifada(팔레스타인인들의 봉기), 로스앤젤레스(LA)에서의 1992년 5월 폭동, 1994년에 시작된 치아파스chiapas 봉기, 프랑스를 마비시킨 1995년 12월의 일련의 파업(공공 부문 파업), 한국을 뒤흔든 1996년의 파업(노동법 개악에 반대한 파업)과 같은 일련의 투쟁들은 어떤 점에서도 전지구적으로 확대되는 반란 연쇄로 함께 연결될 수 없는 그런 식으로 특유하였고 직접적인 지역적 관심사들에 근거를 두고 있었다. 이것은 대단히 역설적이게도 우리가 자랑스러워하는 소통 시대에 투쟁들은 거의 소통할 수 없게 되었으며 단기적으로 국지적인 투쟁만이 가능하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하지만, 이러한 투쟁들을 기존의 관점에서 바라보아서는 안되며 새로운 특질의 사회 운동의 출현이라고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달리 말해서, 우리는 이러한 투쟁들이 기본적으로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투쟁들 모두가 보여주는 근본적으로 새로운 특징들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첫째, 각 투쟁은 국지적인 조건에 견고하게 뿌리내리고 있을지라도 즉각적으로 전지구적 수준으로 도약하고 제국적 구성을 전반적으로 공격한다. 둘째, 모든 투쟁은 경제 투쟁과 정치 투쟁 사이의 전통적인 구분을 파괴한다. 그 투쟁들은 경제적이고, 정치적이면서 동시에 문화적이다. 그러므로, 그 투쟁들은 생체 정치적 투쟁이며 삶의 형식을 둘러싼 투쟁이다.
이처럼 국지적이고 개별적으로 보이는 투쟁들이 결국은 제국의 억압이라는 공통적인 근본 원인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제국의 생체 정치적 특성으로 인하여 그 실체가 드러나지 않으므로 매우 어려우며, 투쟁의 언어의 부재로 인하여 공통된 적을 인식하기는 더욱 어렵다. 하지만, 이같은 인식을 통한 투쟁은 비록 그것들이 소통할 수 없을 지라도 표면적인 세계를 나타내는 제국의 특성으로 인하여 수직적으로 제국의 가상적 중심으로 도약할 수 있다.
결 론
지금까지 제국의 형성 과정에서부터 제국의 작동원리, 그리고 그 대안으로서 제시된 ‘대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재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대세인 것처럼 전세계에 확대되고 있는 신자유주의적 논리는 겉으로는 개인의 자유의 신장과 그를 통한 공공 복리의 증대를 내세우고 있지만, ‘제국’의 개념을 통해 바라본 신자유주의는 그 이전의 폭압보다 더욱 정교하고 치밀하게 우리의 삶을 통제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제국’은 생체 정치적인 권력으로서 우리 일상에 내재되어 있고, 의지뿐 아니라 신체까지도 통제하며 우리의 욕망까지 생산하는 권력 체제이다. 그러므로 그 실체는 잘 드러나지 않으며 여기서 그 위험성이 더욱 커진다고 할 수 있다. 각기 별개의 것으로 보여지는 개별적 사회 운동 (꼭 투쟁만이 아니라 여타 사회 현상도 포함하여)이 궁극적으로 ‘제국’권력이라는 동일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이를 통하여 제국 안에서 대중(multitude)의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추천자료
- 국제정치이론의 역사적 이해
- 국가이론의 분류와 발전흐름 및 현대국가
- 민족주의에 대한 정리
- [인권운동 역사][인권운동 특성][주요 인권문제 논의][인권운동 발전과제][인권운동 전망]인...
- 권력과 재벌체제의 형성(정경유착)에 대해서
- 대중매체와 대중문화
- (행정학, 공공관리론) 신공공관리론의 주요 특징과 문제점 및 바람직한 방향에 대한 견해(A+...
- 사회보장과 사회보험 제도
- 동아시아노동운동의 세계화, 인권침해, 동아시아노동운동의 미국패권주의, 동아시아노동운동...
- [서구 사회복지 역사] 서양의 사회복지 발달사(사회복지제도 발달과정)
- [비교발전행정론] 베네수엘라의 행정개혁 및 발전전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