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속의 전라도 방언- KBS 2. 애정의 조건 -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드라마 속의 전라도 방언- KBS 2. 애정의 조건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대사분석
3. 결론
1) 음운 체계
2) 음운 변동
3)시제
4)부정법
5) 보조 동사
6) 기타
7) 사동 또는 강세 접미사
8)형용사 파생 접미사
9) 어근의 분리 가능성
4. 과제를 마치며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진득아 일어나. 언니 오셨다.
진득; 언니고 나발이고 나 자야혀. 지가 돈 쪼께 번다고 까불어 쌓는디, 나가 차만 나오면,
만득; (얼른 입 틀어막고 눈치보는)
현실; 쫀드기 너 안 일어나?
만득; 쫀드기가 아니고 찐드기. 쫀드기는 애들 먹는거고.
현실; (이불 확) 야!
진득; (벌떡 일어나는) 어, 언니.
현실; 으미 나 시방 열받응게 알짱거리덜 말고 싸게 나가라 잉?
진득; 아가씨헌티 반말 까는 올케가 워딨디야?
현실; 뭐시여? (때릴 듯)
진득; 오빠야. (얼른 만득뒤로 찐드기처럼)
(진득은 항상 만득 뒤에 붙어 어깨 너머로 빼꼼히 얄밉게 본다)
만득; 봐준김에 며칠만 거식허랑게. 차 나올 동안만 거식헌대잖여. 고놈 팔아서 당신 빚 몽땅 거시기 헌디야.
진득; (고개 내밀고) 고놈 빚 거시기허고 나면 나헌티 꼬박꼬박 아가씨라고 허씨요잉. (쏙 들어가고)
현실; (기막혀) 둘 다 나가. (버럭) 싸게.
(둘이 꼭 붙어서 후다닥 나간다. 기막혀 보는 현실)
●대사분석●
1)알짱거리다 : 알랑거리다의 강원도 강릉 방언형,
2)반말 까는 : 반말 하는
3)고놈 : 그놈의를 뜻하는 전라도 방언형
4)싸게 :표준어 얼른, 빨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전라도 방언형이다.
◎15회 씬26 만득 주방.(낮)
(음식 만드는 만득과 진득)
만득; (그 소리 받아) 왜, 왜?
현실; (급히 들어서며) 저사람들 뭐야?
만득; 화장실 청소하는 사람들이야.
현실; 놀랬잖아. 근데 왜 옷은 벗고 저래?
만득; 물청소 하는데 옷 버리니까 그렇지. 이층 화장실 써.
현실; 여보. 그럼 저사람들, 거실 청소 좀 시켜.
만득; 화장실만 전문으로 하는데?
현실; 수고비 좀 쥐어 주면 되지 뭘그래? 손님 온다는데 깨끗한 인상은 줘야지. 흠잡힐 필 요 없잖아. 얼른.
만득; 알았어.
현실; (나가다 돌아보며) 어이 시누.
진득; (얼른 아부) 예 언니.
현실; 언니 다녀오셨어요 인사를 혀야지, 어째 본척만척 한당가. 엄연히 내집에서 내밥 먹 고 거식험서. 난 시누만 보면 넌덜머리가 나.
진득; (웃으며 아부) 글안혀도 언니가 나 넌덜머리 나는줄 알고, 될 수 있으면 요로고 없는 디끼 한쪽 귀퉁이에 찌그러져 있을라고.
현실; 찌그러져 있는건 존디, 차는 여적지 안팔렸는가?
만득; (얼른) 임자가 안나서네? 아주 반값에 후릴라 그런대.
현실; 그거 내가 한번 알아볼까?
(서로 기겁해 보는 만득 진득)
만득 진득; (동시에) 아니여. 아니랑께.
만득; 그럴 필요 없어.
진득; 그럼요 언니. 글안혀도 언니 정신없이 거식헌디, 고런거꺼정 신경 쓰면 되가니?
만득; 그려 그려. 차 문제는 우덜이 알아서 헐팅게 어여 손님 맞은 준비나 하소. 당신 화장 실 급허담서?
현실; (말할 때 묘하게 보다가 화장실 말에) 참. (급한 듯이 나가는)
진득; (아부의 웃음 싹 가시며) 나 쟈 싫어.
만득; 나도 너 싫어. 워칙할끼여?
진득; 잡을티여. 내 이 한방놈을 꼭 잡아서 이 나진득이 돈 처묵은 놈의 말로가 워치게 되 는지 반다시 거식헐팅게 두고 보랑께.
만득; 이 넓은 서울 바닥에서 워치게 찾어?
진득; 기둘려봐.
●대사분석●
1)넌덜머리 : 넌더리의 강원도 강릉 방언형이다.
2)요로고 : 이렇게를 나타내는 전라도방언형이다. 요로크롬, 요로코, 이라고, 이러고 등 다양한 방언형이 전남에서 나타난다.
3)없는디끼 : 없는듯이
4)여적지 : 부사 여태의 방언형으로 강원도 강릉 방언형이다. 전라도에서는 인데까징, 인데까지, 인지까지 등으로 나타난다.
5)우덜 : 우리들의 전라도 방언형
6)워치게 : 어떻게를 나타내는 방언형으로 광주지역에서 널리 쓰이는 방언형이다. 전라도에서는 어쩌고, 어쭈고, 등으로 나타난다.
7)처묵은 :처먹은의 방언형, 경상도와 전라도에서 두루 쓰이는 방언형이다.
◎15회 씬31 만득 거실.(낮)
(인터폰으로 듣는 만득과 진득)
진득; 음마마. 시상이 멋있는거.
만득; 내 저럴줄 알았다. 그놈 참...
진득; 애린 저런 남자 만나야 써. 오빠, 쟈 성 있다 그렸지?
만득; 또 시작이다. (인터폰 듣는)
진득; 성은 너무 어릴라나? 맞다. 삼촌도 쟈 닮아 멋있을거 아녀?
만득; 또 또.
●대사분석●
1)음마 :오메와 마찬가지로 전라도 지역의 방언형으로 이는 담양지역에서 널리 쓰인다.
2)시상 : 세상의 방언형으로 전라도전역에서 쓰인다.
3)성 :형의 방언형으로 경기도, 전라도, 경상도, 제주도, 충청도 등지에서 널리 쓰인다.
◎16회 씬 26. 애리방(밤)
애리: (우는)
진득: 그럼 나 못 기둘려 허지, 뭐드러 큰소리는 뻥뻥치고 들어와 이러구 발광이여?
애리:(울면서) 그러면 나 싫어할까봐. 고모, 나 이런 감정 처음이야. 운택이 놓치면 평생 후회할 것 같애. 윤택이가 다른 여자한테 가는 상상만 해도 돌아버릴 것 같애.
첫사랑때문에 그렇게 눈물 흘리는 남자, 나 놓치고 싶지 않아. 진짜야 고모.
진득:일나부렀네. 너는 어째 나를 쏙 탁해부렀냐?
느그 엄니 안 탁해고?
애리:(울다) 내가 고모 닮았어?
진득:그려 순정에 살고 순정에 죽는거, 고거이 영낙없이 나잖냐.
애리:고몬 돈에 살고 돈에 죽잖아(아앙 우는)
●대사분석●
1)기둘리다 :기다리다의 방언형. 전남<광주, 순천>, 강원<강릉>등지에서 쓰이며 그 밖의 동일한 뜻을 나타내는 어휘로는 ‘기두린다, 끼다린다, 지다른다, 지달른다’ 등이 존재한다.
2)~허지 :하다의 방언형인 허다에 자동사를 형성하는 접미사 -지-가 붙어 이루 어진 형태. 이 외에도 같은 의미의 ‘하깨, 항깨, 허고, 하소, 하닝깨’ 등의 어휘가 존재한다.
3)뭐드러 ; 부사인 어째서의 방언형이 잘못 쓰인 경우로 같은 의미로‘ 어찌서(전남-광 양), 으쩨서(전남-무안, 목포,해남, 진도 ,강진, 신안)’ 등의 어휘가 존재. 또한무엇 때문에로 볼 경우에는‘머땀세, 으:째서’ 등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4)일나불다 :어떤 사건등이 일어나다의 의미로 보조동사인 -버리다의 전라도 방언형인 - 불다가 붙어서 형성된 단어
5)탁해다 : 동사 닮다의 방언형으로 전남에서 사용되고 있는 그 밖의 언어로는‘탁아다, 탁앴다, 탁에다, 탁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5.05.17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73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