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면 고생깨나 해야 한다고. 참고로 화면에 등장하는 우주선 2개는 별보다 조금 더 크다. 컴퓨터 게임은 원래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 컴퓨터를 보다 쉽게 쓸 수 있게 할 목적으로 고안됐다. 하지만 실제로 본격적인 게임이 만들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PDP-1 게임기? ≡ 미니 컴퓨터인 PDP-1은 1960년 처음 선보인 이후 모두 50대가 팔렸다. 이 컴퓨터에서 실행된 최초의 게임 스페이스워!는 훗날 \"최초의 상업용 게임기\"로 다시 제작된다. 참고로 기사에서 사용한 \"해커\"라는 용어는 당시에는 \"광적인 연구자\"라는 의미로, 존경을 담은 애칭으로 쓰였다.1963년미국 표준 코드, 아스키 공식 발표ASA(America Standard Association, 미국표준협회)가 컴퓨터의 코드 체계를 통일한 아스키코드(ASCII :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를 발표했다. 아스키코드란 영문 알파벳과 아라비아 숫자, 특수 문자 등 128개의 문자 조합에 대응하는 컴퓨터 코드를 0과 1로 표시한 7비트 코드로, 아스키코드가 제정되기 전에는 컴퓨터 업체마다 각각 다른 문자 쌍을 사용(IBM은 9개의 문자 쌍 사용)하는 탓에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교환할 수 없었다. 컴퓨터 코드를 통일, 이런 문제를 해결하자는 제안에 따라 1961년 ASA에서 컴퓨터 제조사 모임인 X3.4 위원회를 소집,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한 아스키코드는 유예 기간 2년을 거쳐 올해 공식 발표된 것이다. 이번 아스키코드 발표로 그 동안 컴퓨터 업체마다 각기 다르게 적용하던 코드 체계를 통일, 데이터 호환성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 왜 아스키라고 발음할까? ≡\"ASCII\"는 \"아스키\"라고 발음한다. \"CII\"를 \"키\"라고 발음하는 것은 억지에 가까운데도 그렇게 읽는 것은 맨 처음 발표하면서 붙인 \"AS-KEE\"라는 이름을 그대로 적용했기 때문이다.1958년컴퓨터로 수백 개의 레이더 시스템 연결 미국과 캐나다의 레이더가 SAGE(Semi-Automatic Ground Environment)라고 불리는 시스템으로 연결된다. 미국과 캐나다의 하늘을 감시하는 모든 레이더 기지를 AN/FSQ-7 컴퓨터로 연결해 대공 방어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기로 한 것이다. AN/FSQ-7은 MIT가 개발한 훨윈드Ⅱ 컴퓨터의 다른 이름으로, 실시간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갖췄다. AN/FSQ-7과 연결된 레이더 기지에서 레이더를 조작하면 관련 정보가 컴퓨터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 무려 2,525만km의 통신 선로가 구축되었다. ≡ 최초의 대규모 통신 네트워크, SAGE ≡ 중앙 통제 컴퓨터를 두고 수많은 클라이언트를 연결해 컴퓨터망을 갖춘 것은 SAGE가 처음이다. 이 시스템은 1980년대 초반까지 운영됐으나 요즘 네트워크 시스템처럼 패킷을 전송하거나 프로토콜을 이용했다는 기록은 없다. 한편 훨윈드Ⅱ와, 각 레이더 기지에 있는 제어 장치의 CRT 표시 창에 뜬 그래프가 최초의 컴퓨터 그래픽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1958년게르마늄 IC에 이어 실리콘 IC 개발지난해 게르마늄 IC(Integrated Circuit, 집적 회로)가 개발된 데 이어 올해에는 실리콘 IC가 개발됐다.1958년 텍사스인스트루먼츠의 잭 킬비(J. Kilby)는 반도체 물질에 레지스터와 캐퍼시터 기능을 한데 묶은 IC를 만들었다. 이 IC는 전선으로 연결된 소자 5개와 게르마늄 조각으로 이뤄져 있는데, 문제는 게르마늄의 가격이 비싼데다가 수작업으로 전선을 일일이 연결해야 하다는 것.하지만 이번에 페어차일드반도체의 로버트 노이스(Robert Noyce)와 잭 킬비가 함께 개발한 실리콘 IC는 칩 위의 절연 실리콘 표면에 전도 채널을 직접 입히기 때문에 텍사스인스트루먼츠의 게르마늄 IC보다 제조 비용과 생산성 면에서 훨씬 효율적이다. 페어차일드반도체는 앞으로 IC에 더 많은 부품을 집적할 수 있도록 연구를 게을리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1960년AT&T, 전화로 컴퓨터 데이터 주고받는 데이터폰 개발통신 전문 업체인 AT&T가 컴퓨터를 전화로 연결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폰을 개발했다. AT&T의 데이터폰은 컴퓨터에서 쓰이는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는 첨단 장치다. 이 장치를 이용하면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는 컴퓨터에도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아 처리할 수 있다.AT&T는 앞으로 데이터폰을 응용한 동기화 기술(Equalization Techniques)과 광대역 보호(Bandwidth-Conserving) 변조 시스템이 통신 효율을 더 높여줄 것이라고 자신했다. 데이터폰 패키지에는 벨연구소의 디지털 데이터 세트가 포함되어 있다.≡ 데이터폰은 최초의 모뎀 ≡데이터폰은 모뎀이라는 용어만 쓰지 않았을 뿐 기본적인 구조는 모뎀과 똑같다. 하지만 당시 사진 자료를 보면 모뎀이라기보다는 전화기에 가깝다. 1960년크기가 대폭 작아진 PDP-1 판매 시작 크기가 혁신적으로 줄어든 컴퓨터가 출시되었다. DEC(Digital Equipment Corporation)이 지난해 개발한 컴퓨터 PDP(Programmed Data Processor)-1이 드디어 시장에 모습을 드러낸 것. 가격은 12만 달러다. 이번에 출시된 PDP-1은 기존 모델보다 크기가 훨씬 작아서 열을 따로 식힐 때 필요한 에어컨이 필요 없을 뿐 아니라 음극선관 그래픽 출력장치를 내장, 모니터로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어 관리자 1명이면 충분히 다룰 수 있다. PDP-1은 IBM 7090보다 가격은 조금 저렴하지만 효율성은 훨씬 높다고 한다. 참고로 PDP-1을 개발한 DEC은 1957년 8월 설립한 컴퓨터 전문 기업으로 본사는 매사추세츠에 있다. ≡ PDP-1은 정말 작았다? ≡ PDP-1은 미니 컴퓨터 개념을 처음 도입한 컴퓨터로, 크기가 작은 장롱만했다. 요즘 PC와는 비교가 안 될 만큼 덩치가 크지만 이전의 컴퓨터에 비하면 혁신적으로 작은 크기다. 음극선관 그래픽 출력장치는 요즘 일반 모니터와 비슷하지만 형태는 사각형이 아닌 원형에 가깝다. 1964년IBM System/360 베일 벗었다지난 4월 7일, IBM의 CEO 토마스 J.
추천자료
정보/지식의 역사, 인터넷의 역사
[독후감] 파이의 역사 (π의 역사) 서평
“역사왜곡과 우리의 역사교육”에 대한 감상
[실리콘밸리][실리콘밸리 역사][실리콘밸리 무어의 법칙][실리콘밸리 위기, 해법]실리콘밸리...
사회과(사회과교육) 목적, 사회과(사회과교육) 교육관과 정보화, 사회과(사회과교육) 수준별...
사회과수업(학습, 교육) 목적, 사회과수업(학습, 교육) 교육관, 사회과수업(학습, 교육) 과정...
음악과교육(음악교육)의 목적, 음악과교육(음악교육)의 현실과 지도내용, 음악과교육(음악교...
[독후감] “ 행복한 프로그래밍 [컴퓨터 프로그래밍 미학 오디세이] ” 를 읽고 나서..
[방송통신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전 과정과 컴퓨터 산업에 기여한 점 그리고 최신동향
전자정부,참여정부,역사와로드맵,역사
[감가상각][감가수정][운휴자산][기업회계]감가상각의 개요, 감가상각의 의미, 감가상각의 내...
[산업경쟁력, 관광산업]산업경쟁력과 관광산업, 광고산업, 산업경쟁력과 방송산업, 벤처산업,...
[생산관계][생산][임금][물가]생산관계의 핵심내용, 생산관계의 임금과 물가, 생산관계의 조...
[공급 사슬 관리] 델 컴퓨터 (Dell Computer) (PC 산업, 델의 배경과 경영모델, 계약 생산, 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