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 신경계의 기본단위
★ 중추신경계
★ 말초신경계
★ 신경전달과 신경전달로
★ 반사 반응
▣ 신경계 기능 사정
★ 신경계의 기본단위
★ 중추신경계
★ 말초신경계
★ 신경전달과 신경전달로
★ 반사 반응
▣ 신경계 기능 사정
본문내용
가하여 반응정도 보는 것
·슬개반사(L2,3)
·아킬레스건 반사(S1,2)
·이두근 반사(C5,6)
·삼두박근 반사(C7,8)
③ 병적반사(pathologic reflex) - 영아기 때 나타나면 정상, 성인에게는 병적
ex)소뇌의 질환시 - Sucking reflex, Grasp reflex(파악반사)
추체로 질환시 - Babunski's sign
④ 발바닥의 가장 자리를 긁으면 : 정상 -> 발가락이 굴절
·Babunski's sign (+) - 엄지 발가락은 배굴되고, 나머지는 부채살처럼 퍼짐
⑤ 뇌막 자극 증상
·Brudzinski's sign : 머리를 앞으로 숙이면 무릎 및 야대퇴부가 굴곡
·Kernig's sign : 앙와위에서 대퇴와 무릎을 90도로 굴곡시킨 후 다리의 신전은 슬건의 경축을 유발시키며 저항과 함께 동통이 나타나는 것
·Neck stiffness : 목이 뻣뻣한 것
·Romberg sign : 운동실조증시 나타남
눈을 감소 두발 붙이고 서면 쓰러질 것 같은 상태(평형유지 어렵다)
3) 뇌신경 사정
- 감각신경계와 운동신경계의 사정으로 나누어 시행하며 감각신경계의 사정으로는 후각, 시각, 청각의 검사는 물론 촉각과 동통, 진동, 체위, 판별검사 등의 항목에 대한 반응을 확인한다.
(1) 1뇌신경
① 각 비강의 최상부 내에 위치한 특수 수용기가 냄새에 의해 자극이 될 때, 후 신경구는 냄새와 관련되는 중심피질 부위에서 종결되는 후신경으로 신경충동을 전달한다.
② 검사는 지각이 완전한 것을 보여줌에도 불구하고 무후각증 또는 후각 저하증은 흔히 미각결여와 관련된다.
③ 무후각증은 후각로의 어떤 부분이라도 관여되는 다양한 부위의 병소에 의해 야기된다. 전두엽 기저부의 신생물과 손상이 신경성 무후각증의 흔한 원인이다.
(2) 2뇌신경
① 외시신경로의 섬유들은 각 망막의 좌측 절반으로부터의 섬유만 함유하고 좌측 후두엽으로 충동을 전달한다.
② 우측 시신경로의 섬유들은 각 망막의 우측 절반으로부터 온 섬유들만 포함하며 우측 후두엽으로 충동을 전달한다.
③ 시력: 망막의 원추체에 의해 중재된다.
④ 시야: 대상이 시각을 고정할 때 한 방향 내에서 보이는 공간의 범위로 정의된다. 따라서 시야는 간접시각 또는 말초시각과 관련된다. 한 시신경의 전면에서 시교차에 이르는 손상은 단지 침범된 눈의 시야에만 영향을 준다. 시교차와 시교차 후면의 병소는 다양한 종류의 양측성 시야결손을 야기한다.
⑤ 안저: 수정체 후면에 있는 안구의 하부로 정의된다.
⑥ 안저검사 결과의 해석: 안저는 혈관과 신경섬유가 안구로 들어가고 빠져나오는 곳이다. 시신경판의 부종 또는 시신경 유두부종은 염증이나 울혈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시신경 위축은 부분적 또는 완전한 시신경폐색을 지적한다.
(3) 3, 4 및 6 뇌신경
① 뇌간에서 시작되어 안구에 부착된 6개의 외안근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이다.
② 외안근 운동: 한쪽 눈 감고 머리 고정시킨 채 반대 편 눈으로 모든 시야에서 검진자의 손가락 따라가게 함으로써 검사된다. 복시, 사시 및 안구의 불수의적 율동운동은 운동신경의 결함으로 인한 일부 안근의 약화이다.
③ 동공: 각 동공은 처음에 크기를 시진하고 다음에 모양과 동일성이 시진되어야 한다. 반사성 동공경직은 가까운 물체를 볼 때 조절반응은 일어나지만 빛에 대한 반응은 안되고 수축된다. 동공부동증(양쪽 동공의 크기가 다름)은 일부 신경계 질환 진단시 도움이 된다. 정상적으로 동공은 둥글고 중심에 놓여 있으며 경계가 규칙적이고 다른 편 동공과 크기가 같다. 그러나 동공 크기의 차이는 인구의 5%에서 정상적으로 발견된다. 따라서 동공 반응의 속도를 사정하는 것이 더 의미있다.
④ 검사방법 : 검진자는 검사 전에 방을 어둡게 한다. 줄기가 가는 광선을 교대로 직접 눈에 초점을 비춘다. 검진자는 대상자의 양쪽 눈에 동시에 빛을 비추지 않아야 되며 조절반응을 일으키지 않도록 빛의 초점을 잘 맞춘다. 정상적으로 동공은 동측 측면 망막에 빛이 집중되면 재빨리 수축한다. 수축은 푸른 눈을 가진 젊은이에게서 특히 활발하다. 예를 들어, 두부 손상 후에는 확대되고 고정된 동공이 뇌손상 부위 쪽에서 관찰된다. 느리거나 신속하지 못한 동공반사는 동공이 느리게 또는 불완전하게 수축되거나 즉시 이완될 때 발생한다.
⑤ 교감대광반사: 한 쪽 직접 자극될 때 반대편 동공의 수축에 대한 시진도 관찰되어야 한다.
(4) 5뇌신경
① 운동부분은 측두근과 저작근을 지배하고 지각부분은 각막, 얼굴, 머리 및 점막을 지배한다.
② 근 약화시 벌어진 턱이 우축된 근육 반대편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있다.
(5) 7뇌신경
① 벨 마비처럼 말초에 침범된 경우는 이 뇌신경의 압박에 의해 야기되는 안면신경마비인 하위운동신경원의 형태이다. 이것은 병소가 안면신경 또는 그 핵을 침범했다는 의미이다.
② 대조적으로 중심성 또는 상위운동신경원 병소시에 이마의 기능은 완전하다. 이것은 맞은편 뇌피질로부터 안면신경 핵에 이르는 경로 어딘가에 병소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6) 8뇌신경
① 전정질환시 손가락은 한쪽 또는 다른 쪽을 계속 가리킨다.
② 진짜 안구진탕은 측면으로의 빠른 연축성 편위와 다시 중심으로 느리게 연축되는 안구의 지속적 움직임으로 특징된다.
③ 와우의 질병은 신경성 난청이 특징이며 청력의 부전 또는 상실이 있다.
(7) 9 및 10 뇌신경
① 두 신경은 후인두 벽에 분포되고 정상적으로 후인두 벽에 접촉이 있을 때 구역질이 동반되거나 없이 양측 근육들의 즉각적인 수축이 있다.
② 이 검사는 항상 두 신경 모두를 사정해야만 한다.
③ 미주신경 운동영역의 양측성 침범시에는 대화에 보다 심한 영향을 미치고 연하도 어려움 구개와 인두가 침범되었기 때문에 액체가 코를 통해 역류한다.
(8) 11뇌신경
① 흉쇄유돌근과 승모근 상부에 분포되는 운동신경이다.
② 이 근육의 약화나 마비는 이 신경의 비정상을 나타낸다.
(9) 12뇌신경
① 설하신경이 침범되면 혀가 병소 측으로 편위된다.
② 혀의 위축은 침범부위의 내용물 상실과 주름을 통해 나타난다.
③ 상위 운동신경원 손상 시 병소 반대측 혀가 침범된다.
·슬개반사(L2,3)
·아킬레스건 반사(S1,2)
·이두근 반사(C5,6)
·삼두박근 반사(C7,8)
③ 병적반사(pathologic reflex) - 영아기 때 나타나면 정상, 성인에게는 병적
ex)소뇌의 질환시 - Sucking reflex, Grasp reflex(파악반사)
추체로 질환시 - Babunski's sign
④ 발바닥의 가장 자리를 긁으면 : 정상 -> 발가락이 굴절
·Babunski's sign (+) - 엄지 발가락은 배굴되고, 나머지는 부채살처럼 퍼짐
⑤ 뇌막 자극 증상
·Brudzinski's sign : 머리를 앞으로 숙이면 무릎 및 야대퇴부가 굴곡
·Kernig's sign : 앙와위에서 대퇴와 무릎을 90도로 굴곡시킨 후 다리의 신전은 슬건의 경축을 유발시키며 저항과 함께 동통이 나타나는 것
·Neck stiffness : 목이 뻣뻣한 것
·Romberg sign : 운동실조증시 나타남
눈을 감소 두발 붙이고 서면 쓰러질 것 같은 상태(평형유지 어렵다)
3) 뇌신경 사정
- 감각신경계와 운동신경계의 사정으로 나누어 시행하며 감각신경계의 사정으로는 후각, 시각, 청각의 검사는 물론 촉각과 동통, 진동, 체위, 판별검사 등의 항목에 대한 반응을 확인한다.
(1) 1뇌신경
① 각 비강의 최상부 내에 위치한 특수 수용기가 냄새에 의해 자극이 될 때, 후 신경구는 냄새와 관련되는 중심피질 부위에서 종결되는 후신경으로 신경충동을 전달한다.
② 검사는 지각이 완전한 것을 보여줌에도 불구하고 무후각증 또는 후각 저하증은 흔히 미각결여와 관련된다.
③ 무후각증은 후각로의 어떤 부분이라도 관여되는 다양한 부위의 병소에 의해 야기된다. 전두엽 기저부의 신생물과 손상이 신경성 무후각증의 흔한 원인이다.
(2) 2뇌신경
① 외시신경로의 섬유들은 각 망막의 좌측 절반으로부터의 섬유만 함유하고 좌측 후두엽으로 충동을 전달한다.
② 우측 시신경로의 섬유들은 각 망막의 우측 절반으로부터 온 섬유들만 포함하며 우측 후두엽으로 충동을 전달한다.
③ 시력: 망막의 원추체에 의해 중재된다.
④ 시야: 대상이 시각을 고정할 때 한 방향 내에서 보이는 공간의 범위로 정의된다. 따라서 시야는 간접시각 또는 말초시각과 관련된다. 한 시신경의 전면에서 시교차에 이르는 손상은 단지 침범된 눈의 시야에만 영향을 준다. 시교차와 시교차 후면의 병소는 다양한 종류의 양측성 시야결손을 야기한다.
⑤ 안저: 수정체 후면에 있는 안구의 하부로 정의된다.
⑥ 안저검사 결과의 해석: 안저는 혈관과 신경섬유가 안구로 들어가고 빠져나오는 곳이다. 시신경판의 부종 또는 시신경 유두부종은 염증이나 울혈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시신경 위축은 부분적 또는 완전한 시신경폐색을 지적한다.
(3) 3, 4 및 6 뇌신경
① 뇌간에서 시작되어 안구에 부착된 6개의 외안근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이다.
② 외안근 운동: 한쪽 눈 감고 머리 고정시킨 채 반대 편 눈으로 모든 시야에서 검진자의 손가락 따라가게 함으로써 검사된다. 복시, 사시 및 안구의 불수의적 율동운동은 운동신경의 결함으로 인한 일부 안근의 약화이다.
③ 동공: 각 동공은 처음에 크기를 시진하고 다음에 모양과 동일성이 시진되어야 한다. 반사성 동공경직은 가까운 물체를 볼 때 조절반응은 일어나지만 빛에 대한 반응은 안되고 수축된다. 동공부동증(양쪽 동공의 크기가 다름)은 일부 신경계 질환 진단시 도움이 된다. 정상적으로 동공은 둥글고 중심에 놓여 있으며 경계가 규칙적이고 다른 편 동공과 크기가 같다. 그러나 동공 크기의 차이는 인구의 5%에서 정상적으로 발견된다. 따라서 동공 반응의 속도를 사정하는 것이 더 의미있다.
④ 검사방법 : 검진자는 검사 전에 방을 어둡게 한다. 줄기가 가는 광선을 교대로 직접 눈에 초점을 비춘다. 검진자는 대상자의 양쪽 눈에 동시에 빛을 비추지 않아야 되며 조절반응을 일으키지 않도록 빛의 초점을 잘 맞춘다. 정상적으로 동공은 동측 측면 망막에 빛이 집중되면 재빨리 수축한다. 수축은 푸른 눈을 가진 젊은이에게서 특히 활발하다. 예를 들어, 두부 손상 후에는 확대되고 고정된 동공이 뇌손상 부위 쪽에서 관찰된다. 느리거나 신속하지 못한 동공반사는 동공이 느리게 또는 불완전하게 수축되거나 즉시 이완될 때 발생한다.
⑤ 교감대광반사: 한 쪽 직접 자극될 때 반대편 동공의 수축에 대한 시진도 관찰되어야 한다.
(4) 5뇌신경
① 운동부분은 측두근과 저작근을 지배하고 지각부분은 각막, 얼굴, 머리 및 점막을 지배한다.
② 근 약화시 벌어진 턱이 우축된 근육 반대편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있다.
(5) 7뇌신경
① 벨 마비처럼 말초에 침범된 경우는 이 뇌신경의 압박에 의해 야기되는 안면신경마비인 하위운동신경원의 형태이다. 이것은 병소가 안면신경 또는 그 핵을 침범했다는 의미이다.
② 대조적으로 중심성 또는 상위운동신경원 병소시에 이마의 기능은 완전하다. 이것은 맞은편 뇌피질로부터 안면신경 핵에 이르는 경로 어딘가에 병소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6) 8뇌신경
① 전정질환시 손가락은 한쪽 또는 다른 쪽을 계속 가리킨다.
② 진짜 안구진탕은 측면으로의 빠른 연축성 편위와 다시 중심으로 느리게 연축되는 안구의 지속적 움직임으로 특징된다.
③ 와우의 질병은 신경성 난청이 특징이며 청력의 부전 또는 상실이 있다.
(7) 9 및 10 뇌신경
① 두 신경은 후인두 벽에 분포되고 정상적으로 후인두 벽에 접촉이 있을 때 구역질이 동반되거나 없이 양측 근육들의 즉각적인 수축이 있다.
② 이 검사는 항상 두 신경 모두를 사정해야만 한다.
③ 미주신경 운동영역의 양측성 침범시에는 대화에 보다 심한 영향을 미치고 연하도 어려움 구개와 인두가 침범되었기 때문에 액체가 코를 통해 역류한다.
(8) 11뇌신경
① 흉쇄유돌근과 승모근 상부에 분포되는 운동신경이다.
② 이 근육의 약화나 마비는 이 신경의 비정상을 나타낸다.
(9) 12뇌신경
① 설하신경이 침범되면 혀가 병소 측으로 편위된다.
② 혀의 위축은 침범부위의 내용물 상실과 주름을 통해 나타난다.
③ 상위 운동신경원 손상 시 병소 반대측 혀가 침범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