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범/법학] 한국교육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범/법학] 한국교육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삼국시대교육

2. 고려시대교육

3. 조선시대교육

4. 근대의교육

5. 일본식민지통치시대교육

6. 현대의교육

본문내용

’를 제정공포하여 신학제에 의한 외국어 학교가 설립되었다.
(7) 실업학교
경성의학교, 상공학교, 광무학교 등이 설립되었다.
3. 근대사학의 성립과 발전
(1) 기독교 계통의 학교
1) 배재학당
① 감리교 선교사 Appenzeller가 세운 학교이다
② 선교사 계통에서 설립한 최초의 근대식 학교로서 사학이다.
2) 이화학당
감리고 선교사 Scranton 부인이 세운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여성 교육기관이다.
(2) 민족 선각자들에 의해 설립된 교육기관
1) 원산학사
① 서당을 계승한 개화기 민족개량 초등교육기관이다.
② 민족의 선각자들에 의해 설립된 개화기 근대 사립 초등교육기관이다.
③ 교육적역사적 의의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학교를 종래의 통설과는 달리 우리나라 사람의 손으로 설립 하였다는 사실이다.
백성들이 자발적으로 힘을 모으고 자기 재력에 따라 기금을 설치하여 민중들에 의 해 최초의 근대학교가 설립되었다는 점이다.
외국세력과 부딪치는 지방의 개항장에서 새로운 정세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최초의 근대학교가 설립되었다는 점이다.
원산학사는 외국의 학교를 모방하여 설립된 것이 아니라, 서당을 개량서당으로 발 전시켰다가 다시 그것을 근대학교로 발전시켜 설립함으로써 전통을 계승하면서 근대 학교를 설립했다는 사실은 큰 역사적 의의가 있다.
2) 홍화학교
민영환이 설립한 사립학교로 외국어와 선진기술을 가르쳤다
3) 점진학교, 대성학교
안창호가 설립한 교육기관이다.
4) 보성학교
이용익이 설립한 교육기관으로 현재 고려대학의 전신이다.
5) 오산학교
이승훈이 설립한 개화기 중등 교육기관이다.
4. 근대의 교육사상가
(1) 안창호
① 흥사단을 조직하여 애국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흥사단의 의무→한 가지 이상의 학 술을 습득한다)
② 교육목적 : 무실역행, 성실인을 양성하는 데 있다.
③ 교육철학 : ‘힘’의 교육철학을 제시하였다.
④ 교유이념 : 무실역행, 점신공부, 자아혁신을 추구함이다.
⑤ 4대 덕목 : 무실, 역행, 충의, 용감을 중시하였다.
⑥ 교육 3대 자본론 : 신용의 바존, 금전의 자본, 지식의 자본을 통해 ‘민족힘 배양’을 위한 교육활동을 전개하였다.
⑦ 민족주체 의식성을 고취하고자 ‘주인정신’을 강조하였다.
⑧ 이상촌 건성을 통해 지역사회 학교의 발전을 가져왔다.
⑨ 대성학교, 점진학교, 동명학원을 설립하여 민족교육 발전에 큰 역할을 하였다.
⑩ 노작교육 활동을 강조하였다.
(2) 남궁억
① 무궁화 교육을 통해 애국사상을 강조하였다.
② 언론을 통해서 ‘사회의 모순점’개혁을 추구하였다.
③ 노작교육을 통해 근로역행의 교육이념을 고취하였다.
④ 《교육월보》를 발행하여 통신교육을 실시하였다.
⑤ 현산학교를 세워서 후진교육 발전에 큰 열할을 하였다.
⑥ 교사의 솔선수범과 개성있는 교육을 주장하였다.
⑦ 《조선사》에서 단군조선의 존재적 가치의의민족정신을 고취하였다.
(3) 이승훈
① 안창호의 교육사상에 영향을 받아 ‘민족의 힘을 배양하기 위한 민족교육’을 전개하였 다.
② 애국인 양성을 교육적 인간상으로 삼았다.
③ 강명의숙과 오산학교를 설립하였다.
④ 이상촌 계획을 세웠다.
<일본 식민지통치시대 교육>
1. 식민지 통치시대 교육 추진단계
① 무단독재 식민지 교육추진기
② 문화정책 교육단계
③ 대륙침략과 식민지교육 본격단계
④ 황국식민화 및 민족문화 말살단계
2. 식민지 통치시대 교육내용
① 황국식민화를 위한 교육에 치중하였다.
② 역사를 왜곡하였다.
③ 수신과목에 치중하였다.
④ 실업교육초등교육종교교육을 실시하였다.
⑤ 한글탄압과 언어탄압을 추구하였다.
⑥ 고등교육을 폐지하였다.
⑦ 과학기술교육의 혜택을 제공하지 않았다.
3. 식민지 통치시대의 교육특징
① 보통교육 : 일본어 교육강조, 일본 역사 문화를 주입시키는 교육활동을 치중하였다.
② 동화교육 : 친일파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에 치중하였다.
③ 우민화교육 : 초보적 농업공업기술 교육만을 치중하였다.
④ 사립학교 : 사립학교령을 발표하여 근대사학 발전을 통제하였다.
4. 식민지 통치시대 교육관계 법령
(1) 사립학교령
① 사학의 설치, 인가, 개교, 폐교를 비롯한 일체의 학사감독은 학부에서 관장한다.
② 기존 사립학교는 학부로부터 재인가를 받아야 한다.
③ 법령과 명령에 위배하거나 유해 인정시, 설립인가를 받지 않고 학교사업을 할 때 에는 학교에 폐교를 명할 수 있다.
④ 사립학교의 교과용 도서는 학부의 편찬이거나 검정을 받은 것만 사용할 수 있다.
(2) 1차 조선교육령
① 보통학교, 실업학교, 전문학교로 학제를 편성하였다.
② “충량한 국민을 육성한다”는 명목으로 사실상 우리 민족을 노예화하자는 목적을 분 명히 했다.
③ “시세와 민도에 적합한 교육을 해야한다”는 명목으로 고등교육을 제한한다.
④ 보통의 지식과 기능을 위주로 하고 일본어 교육을 강화했다.
⑤ 성균관의 폐지, 서당의 통제 등 전통적 교육기관을 탄압했다.
⑥ 외국어 학교를 폐지하여 한민족의 해외전출을 억제했다.
⑦ ‘사립학교규칙’을 제정하여 학교의 설립과 교육활동 전반을 통제했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3) 2차 조선교육령
① 초중등학교에서 일본어교육을 강화하고 보통학교에서는 일본사와 일본지리 및 실 업과목을 신설하여 동화교육을 강화하는 동시에 저급의 직업교육을 실시했다.
② 보통학교를 증설하여 저급인력을 확보하려 했다.
③ 동화교육 추진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남녀 사범학교를 신설하였다.
④ 민족주의자들이 추진하던 민립종합대학 설립운동을 저지하고 경성제국대학을 설치했 다.
⑤ 외형상 일본과 동일한 학제를 적용하고 교원의 제복과 착검을 폐지하여 우리 민족을 기만하려 했다.
(4) 3차 조선교육령
① 종래의 보통학교, 고등보통학교, 여자 고등보통학교의 명칭을 일본인 학교와 같이 소 학교, 중학교, 고등여학교로 바꾸었다.
② 조선어를 정규과목으로부터 수의과라 하여 사실상 학교교육에서 폐지하였다.
③ 일어의 강제사용, 신사참배, 창씨개명 등의 강요로 일본인화 정책을 강행하여 우리의 민족정신과 애국심을 말살하려는 교육이었다.
(5) 4차 조선교육령
① \'교육에 관한 전시 비상조치령 공포‘를 통해 학도대를 조직하여 각종 근로봉사 활동 에 참여시켰다.
② 민조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5.05.27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89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