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약실습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투약실습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LAB. 실습보고서

1.경구투약 전에 투약이 가능한지 간호사정하여 확인해야 할 내용은?
2.경구투약과 비경구 투약의 장․단점은?
3.약병의 물약을 눈금이 있는 약 컵에 따르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4. 투약시 대상자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5.DIGITALIS 와 마약(MORPHINE) 투여하기 전에 사정해야할 것은?
6. 한주사기에 두 종류의 INSULON(NPH. RI)을 혼합하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7.피내주사, 피하주사, 근육주사, 정맥주사의 목적은?
8.헤파린의 피하주사부위와 주사 놓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9.피하주사 시 주사 후 마사지를 해서는 안 되는 약물은 무엇이며 이론적 근거를 설명하시오
10. 근육주사의 주사부위에 따라 적절한 약물의 양은?
11. 근육주사 시 주사기 내관을 잡아당겨 보는 이유는?
12. 근육주사 부위선정 시 사정해야 할 점과 부위에 따른 대상자의 체위와 알아야 할 해부학적 부위를 설명하시오.
13. Z-track 근육주사기법은 어떠한 약물을 투여할 때 실시하며 투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시오.
14. 피내주사로 피부반응을 관찰시 양성반응의 예를 설명하시오.
15. 근육주사 부위 중 어린이에게 선호되는 부위는 ?
16. 주로 많이 선택되는 정맥주사의 부위는 ?
17. 간헐적 정맥주사방법(IV lock, heparine lock)은 ?
18. 수액주입 중 정맥주사방법(side shooting)은 ?
19. 정맥천자로 1회의 약물을 주입할 경우 1분에 걸쳐 천천히 주입한다. 이론적 근거를 설명하시오.
20. 중심정맥 카테터의 종류는 ?
21. 완전이식형 포트(Implanted port, 매립형 포트)를 통해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needle은 ?
22. 각각 주사방법에 따라 투여 후 간호기록지에 기록해야할 내용은 ?

본문내용

위함.
*정맥주사:①신체에 수분과 전해질 공급
②산염기 균형 조절
③일정한 농도의 약물을 지속적으로 주입
8.헤파린의 피하주사부위와 주사 놓는 방법을 설명하시오.
*헤파린은 항응고제이므로 투여 시에는 특수한 준비가 필요하다.
주사부위는 배꼽과 장골능보다 위쪽에 있는 복부에서 적절한 부위를 선정한다. 주사부위를 돌려가면서 주사할 때에 대퇴나 팔 부위도 주사부위로 선택할 수 있다.
3/8인치 길이의 25G나 26G주삿바늘을 준비하여 90°각도로 주사부위를 찌른 다음 대상자가 너무 마른 경우는 3/8인치보다 더 긴 바늘을 45°각도로 삽입한다.
주삿바늘 삽입 후 주사기 내관을 뒤로 해서 흡인해 보지 못하게 한다.
주삿바늘을 뺀 후에 마사지 하지 않는다.
헤파린을 반복 주사할 때에는 반드시 주사부위를 바꾸어가면서 주사한다.
9.피하주사 시 주사 후 마사지를 해서는 안 되는 약물은 무엇이며 이론적 근거를 설명하시오.
(헤파린)-마사지를 하면 출혈되거나 멍이 들 수 있고 약물 흡수가 촉진된다.
10. 근육주사의 주사부위에 따라 적절한 약물의 양은?
근육발달 상태가 좋은 성인의 중둔근이나 대둔근에서는 4~5ml정도의 약물을 흡수할 수 있는 반면, 쇠약한 경우에는 1~2ml의 약물을 흡수 할 수 있다. 삼각근에서는 흡수할 수 있는 양은 0.5ml~1ml정도이다.
11. 근육주사 시 주사기 내관을 잡아당겨 보는 이유는?
주사 바늘이 혈관에 들어갔는지 아닌지를 확인해보기 위해서, 만약 주사기 안으로 혈액이 들어오면 즉시 주삿바늘을 배서 주사기와 약물을 버리고 투약준비를 다시 한다. 혈액이 보이지 않으면 약물을 천천히 주사하면서 근육내로 약물이 고루 분산되게 한다.
12. 근육주사 부위선정 시 사정해야 할 점과 부위에 따른 대상자의 체위와 알아야 할 해부학적 부위를 설명하시오.
근육주사 시 신체의 여러 부위가 사용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부위는 둔부의 복면(ventrogluteal site), 둔부의 배면(dorsogluteal site), 외측광근(vastus lateralis), 대퇴직근(rectus femoris) 그리고 삼각근(deltoid muscle) 등을 들 수 있다.
근육주사 부위로는 신경, 골조직의 손상 부위나 화농 및 괴사 부위는 피하고 신경이나 혈관분포가 적은 건강한 근육만이 선정되어야 한다.
둔부의 복면(ventrogluteal site) - 주사 시 대상자의 체위는 둔근을 이완시키기 위해 누운 자세나 무?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5.30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91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