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유방암 환자의 경험
2. 유방암 환자의 간호문제
1) 심리ㆍ사회적 문제
2) 신체적 문제
3)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3. 간호문제 해결 방안
1) 대응능력 향상
2) 심리사회적 중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유방암 환자의 경험
2. 유방암 환자의 간호문제
1) 심리ㆍ사회적 문제
2) 신체적 문제
3)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
3. 간호문제 해결 방안
1) 대응능력 향상
2) 심리사회적 중재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환자들의 수가 1996년 5.2%에서 1998년 6.1%로 조금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은 매우 낮은 편이다. 즉각적 유방재건술이 유방암치료에 미치는 악영향이 별로 없다고 알려져 있고, 피부보존 유방절제술의 안정성에 대한 여러 연구와 보고도 나와 있어, 앞으로 유방재건을 원하는 환자들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기 위해서는 유방절제술을 시행함과 동시에 유방재건술을 적극적으로 시행하려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퇴원한 암 환자를 위한 중재에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운동 프로그램, 심상요법, 마사지 증 한 가지 중재에 초점을 맞추어 제공되었으나 암 환자의 스트레스와 심리적인 문제가 강조되고 단편적 중재보다는 여러 중재를 통합되어 심리사회적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암 환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삶의 질 향상, 면역 기능에 효과가 있으며 더 나아가 재발율과 생존율 향상에 효과적이다.
암에 대한 치료법이 많이 개발되었고, 치료기술의 발전과 동시에 예후도 향상되었지만 아직도 암의 진단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포로 다가온다. 앞서 살펴본 사례를 통해 암환자가 신체적ㆍ심리적으로 많은 문제점에 직면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암치료법의 개발과 동시에 암을 조기에 진단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방암을 조기에 진단하기 위해서는 유방자가검진법 등을 교육하고 실시 할 수 있도록 도와야겠다. 하지만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증상이 없는 한 적극적으로 시행하지 않는 게 현실이다.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의 경우 자신의 가슴을 만진다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유방자가검진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강조하고, 심리적인 거부감을 느끼지 않도록 도와야겠다.
유방암 환자의 경험을 찾아보면서 그들이 내가 생각하고 있었던 것보다 더욱 큰 심리적 상실을 경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흔히 ‘가슴한쪽 없으면 어때, 살아있다는 것이 다행이지..’ 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유방절제술로 가슴을 잃은 환자들은 차라리 수술을 하지 않고 죽음을 선택하는 것이 나았으리라고 생각할 만큼 좌절과 아픔을 경험한다. 이렇듯 자존감과 신체상의 손상으로 인한 문제는 자살을 선택하거나 우울증을 초래하는 등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환우회와 같은 자조그룹을 소개해주고 가족들이 정서적으로 환자를 지지하고 격려하도록 해야겠다. 간호사가 환자에게 지지적이고,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질병을 직접 경험해볼 수는 없지만 환자의 입장에서 한 번 더 생각하고, 여러 사례를 통한 간접 경험을 토대로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건강까지도 고려한 전인간호를 시행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Ⅳ.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1, 4/ 김조자 외/ 현문사/ 2002
유방암 수술 환자의 임상적 고찰/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교실/ 이재설, 배영태/ 한국 유방암학회지 제 7권 제 3호
유방암 수술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예비적 연구/ 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신경정신 과학교실, 외과학 교실/ 박이진, 전양환, 한상익, 오세정/ 한국 유방암학회지 제7권 제 4호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 대응 능력 증진을 위한 심리사회적 중재 개발 및 효과: 예비연 구/ 김조자, 허혜경, 강덕희, 김보환/ 대한간호학회지 제 34권 제 6호, 2004년 10월
유방암 환자의 불확실성, 희망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조계화, 손보경/ 대한간호학회지 제 34권 제 7호/ 2004년 12월
http://my.carecamp.com/umi 유방암 환우회-유미회
http://www.kbcf.or.kr/ 한국유방건강재단
http://www.koreavenus.com/ 서울대학병원 유방암 환우회-비너스
지금까지 퇴원한 암 환자를 위한 중재에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운동 프로그램, 심상요법, 마사지 증 한 가지 중재에 초점을 맞추어 제공되었으나 암 환자의 스트레스와 심리적인 문제가 강조되고 단편적 중재보다는 여러 중재를 통합되어 심리사회적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암 환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삶의 질 향상, 면역 기능에 효과가 있으며 더 나아가 재발율과 생존율 향상에 효과적이다.
암에 대한 치료법이 많이 개발되었고, 치료기술의 발전과 동시에 예후도 향상되었지만 아직도 암의 진단은 많은 사람들에게 공포로 다가온다. 앞서 살펴본 사례를 통해 암환자가 신체적ㆍ심리적으로 많은 문제점에 직면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암치료법의 개발과 동시에 암을 조기에 진단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방암을 조기에 진단하기 위해서는 유방자가검진법 등을 교육하고 실시 할 수 있도록 도와야겠다. 하지만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증상이 없는 한 적극적으로 시행하지 않는 게 현실이다. 특히 우리나라 사람들의 경우 자신의 가슴을 만진다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유방자가검진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강조하고, 심리적인 거부감을 느끼지 않도록 도와야겠다.
유방암 환자의 경험을 찾아보면서 그들이 내가 생각하고 있었던 것보다 더욱 큰 심리적 상실을 경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리는 흔히 ‘가슴한쪽 없으면 어때, 살아있다는 것이 다행이지..’ 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유방절제술로 가슴을 잃은 환자들은 차라리 수술을 하지 않고 죽음을 선택하는 것이 나았으리라고 생각할 만큼 좌절과 아픔을 경험한다. 이렇듯 자존감과 신체상의 손상으로 인한 문제는 자살을 선택하거나 우울증을 초래하는 등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 환우회와 같은 자조그룹을 소개해주고 가족들이 정서적으로 환자를 지지하고 격려하도록 해야겠다. 간호사가 환자에게 지지적이고,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질병을 직접 경험해볼 수는 없지만 환자의 입장에서 한 번 더 생각하고, 여러 사례를 통한 간접 경험을 토대로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건강까지도 고려한 전인간호를 시행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Ⅳ. 참고문헌
성인간호학 1, 4/ 김조자 외/ 현문사/ 2002
유방암 수술 환자의 임상적 고찰/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 교실/ 이재설, 배영태/ 한국 유방암학회지 제 7권 제 3호
유방암 수술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예비적 연구/ 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신경정신 과학교실, 외과학 교실/ 박이진, 전양환, 한상익, 오세정/ 한국 유방암학회지 제7권 제 4호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 대응 능력 증진을 위한 심리사회적 중재 개발 및 효과: 예비연 구/ 김조자, 허혜경, 강덕희, 김보환/ 대한간호학회지 제 34권 제 6호, 2004년 10월
유방암 환자의 불확실성, 희망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조계화, 손보경/ 대한간호학회지 제 34권 제 7호/ 2004년 12월
http://my.carecamp.com/umi 유방암 환우회-유미회
http://www.kbcf.or.kr/ 한국유방건강재단
http://www.koreavenus.com/ 서울대학병원 유방암 환우회-비너스
추천자료
간질환자의 음악치료
중환자실 간호력
노인골절환자의 치료
화상환자 간호 파워포인트
재활환자의 연하장애와 영양관리
항암요법환자간호
[간호][통증간호][C-sec간호][피부계장애간호][회음부간호][뇌수술간호][자궁절제술 간호][환...
[골절][대퇴골경부][안면골][골절환자]골절의 개념, 골절의 종류, 골절의 분류, 골절의 진단...
파킨슨환자 간호
암환자 간호
치매환자와 가족
★우수자료★[프로이트의 정신분석적 치료, 정신분석 사례] 정신분석적 치료의 개념, 프로이트,...
골절환자에 관한 사례연구
ICU case study, Acute Myocardiac Infarction, AMI 케이스 스터디, 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