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종족분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얀마 종족분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Ⅱ. 소수종족 문제
1. 미얀마의 소수종족
2. 소수종족 분쟁의 배경 및 과정
① 배경
② 분쟁의 진행과정
▶ 독립 전
▶ 버마연방공화국 독립 (1948. 1. 4)~
▶ 1990년대 들면서부터 현재까지
3. 문제점

Ⅲ. 추후 전망

* 참고자료

본문내용

량은 쿤사 보다 많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내릴수 없는 깃발], P146-152 참고
- 이에 더해 생각해 볼 수 있는 문제는 종족분쟁으로 인한 국민 분열이 경제발전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Ⅲ. 추후 전망
1990년대에 들어와서 미얀마 군사정부는 경제개방정책을 표방하고 소수종족과의 대화를 시도하는 등 이전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아직도 문제해결을 위한 길은 멀고도 험해 보인다. 지난 5월 7일 양곤에서 폭탄테러 발생, 미얀마 정부는 범인으로 카렌민족동맹(KNU), 샨주의 독립운동조직 SURA, SSA, KNPP, 그리고 망명 정권인 NCCUB 지목/ 이외 킨늉 전 수상계의 군정보군 MI의 자행설과 공산당 자행설 등이 있음
소수종족 문제해결에 있어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하는 것은 군부의 민주화 정치 일정이 어떻게 진행되는가 하는 점이며, 경제사정의 호전 역시 문제해결을 보다 용이하게 할 것이다. 즉, 군부정권의 퇴진에 따른 민주정권의 성립은 소수종족과의 대화에 보다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고, 그들에게 독립이 아닌 자치구를 인정해주는 방안을 채택할 때 비로소 상호공존은 가능케 될 것이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UN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보다 많은 관심과 경제원조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계속된 경제재제에도 불구하고 군사정부는 이를 무시, 결국 이에 따른 피해는 국민의 몫으로 돌아감. 소수종족들과 민주화 인사들이 연대를 맺어 정부에 투항하기도 하지만, 일시적 요인에 의해 형성되다보니 정부퇴진을 유도하기에는 역부족
결론적으로 미얀마의 종족분쟁은 정치, 경제, 문화적 조건의 개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이고, 무엇보다 다수종족인 버마족의 포용력 있는 마음가짐이 갖추어져야 가능할 것이다. 즉, 종족간의 실체를 인정하고 모든 국민구성원의 동일한 권리를 인정해주는 정책이 꾸준히 실행될 때 비로소 미얀마는 분쟁의 소용돌이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자료
1. [미얀마의 이해], 김성원, 부산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2
2. [내릴 수 없는 깃발, 미얀마], 한국앰네스티 4그룹, 두리미디어, 2000
3. [아시아의 분쟁], 박종귀, 새로운 사람들, 2000
4. 주미얀마 대사관 (www.mofat.go.kr/myanmar)
5. 내사랑 미얀마 (blog.chosun.com/myanmar)
6. 한국국방연구원의 세계분쟁자료 (www.kida. re.kr)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6.03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01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