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머리말
2.호족의 대두
(1)호족의 대두 배경
(2)낙향 귀족 출신의 호족
(3)군진세력 출신의 호족
(4)해상세력 출신의 호족
(5)촌주 출신의 호족
3.호족과 사회 변동
4.맺음말
1.머리말
2.호족의 대두
(1)호족의 대두 배경
(2)낙향 귀족 출신의 호족
(3)군진세력 출신의 호족
(4)해상세력 출신의 호족
(5)촌주 출신의 호족
3.호족과 사회 변동
4.맺음말
본문내용
정기구인 군 현사에도 참여하였으므로 지방사회에서 세력기반을 확대하여 정치적 군사적 실력자로도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었다.
촌주 출신의 호족은 촌주의 세력기반이 촌정의 담당이나 군현 행정에의 참여에 있었다는 사실로 미루어, 군현 정도의 지역이나 그보다 작은 지역을 지배하는 존재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군 현을 성으로 부르기도 한 것을 염두에 둘 때, 군 현성을 근거지로 하면서 성주라고 불려지는 호족들 중에는 촌주 출신이 상당히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3. 호족과 사회 변동
신라 말에 진골귀족 중심의 골품제도가 붕괴되고 중앙정부의 기능이 약화되자 지방사회에는 커다란 혼란과 변화가 몰아쳤다. 각지에서 농민들이 농촌을 이탈하여 유민으로 몰락하면서 초적이나 농민군에 가담하였다. 이런 가운데 지방의 세력가들이 중앙정부의 지배로부터 벗어나 일정한 지역을 지배하는 독자적인 지방세력으로 성장하였다. 이러한 지방세력을 호족이라 부른다.
농민항쟁을 진성여왕대에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그리하여 국가의 통치력이 마비되고 전국은 내란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이 기회를 이용하여 호족이 각지에서 등장하여 크게 활약하였다. 농민항쟁의 여러 무리는 이합집산을 거듭하면서 몇 개의 유력한 반란세력으로 통합되었다. 반란세력의 우두머리들은 호족세력과 결합하여 커다란 세력권을 형성할 수 있었다. 그들은 마침내 독자적인 정권을 수립하였다. 그 대표적 인물은 견훤과 궁예이다. 그리하여 후백제와 후고구려가 신라와 더불어 후삼국 시대를 열었다.
후삼국시대, 더 나아가 신라말 고려초는, 골품제 사회가 해체되어 가고 새로운 사회질서와 정치체제가 모색되는 변혁기였다. 이러한 사회변동은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 통일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었다. 이 사회변동을 주도한 세력은 호족이었다. 후삼국시대에 호족은 후삼국 건국자들과 연결하여 자신의 영역을 자위하면서, 그 영역 안의 토지와 농민을 지배하고 있었다. 이러한 호족들의 향배는 후삼국의 분립을 청산하고 새로운 통일 왕조를 건설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이 신라말 고려초의 사회변동은 농민들에 의해서 촉발 되었으나, 호족들에 의하여 주도되었고 마침내는 후삼국 건국자들에 의하여 마무리 되는 단서가 열렸다.
신라말 고려초의 사회변동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경주 중심 진골 귀족 중심의 골품제 사회를 해체하는 것이었다, 다른 하나는 골품체제에 대신하여 새로운 사회규
촌주 출신의 호족은 촌주의 세력기반이 촌정의 담당이나 군현 행정에의 참여에 있었다는 사실로 미루어, 군현 정도의 지역이나 그보다 작은 지역을 지배하는 존재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군 현을 성으로 부르기도 한 것을 염두에 둘 때, 군 현성을 근거지로 하면서 성주라고 불려지는 호족들 중에는 촌주 출신이 상당히 있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3. 호족과 사회 변동
신라 말에 진골귀족 중심의 골품제도가 붕괴되고 중앙정부의 기능이 약화되자 지방사회에는 커다란 혼란과 변화가 몰아쳤다. 각지에서 농민들이 농촌을 이탈하여 유민으로 몰락하면서 초적이나 농민군에 가담하였다. 이런 가운데 지방의 세력가들이 중앙정부의 지배로부터 벗어나 일정한 지역을 지배하는 독자적인 지방세력으로 성장하였다. 이러한 지방세력을 호족이라 부른다.
농민항쟁을 진성여왕대에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그리하여 국가의 통치력이 마비되고 전국은 내란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이 기회를 이용하여 호족이 각지에서 등장하여 크게 활약하였다. 농민항쟁의 여러 무리는 이합집산을 거듭하면서 몇 개의 유력한 반란세력으로 통합되었다. 반란세력의 우두머리들은 호족세력과 결합하여 커다란 세력권을 형성할 수 있었다. 그들은 마침내 독자적인 정권을 수립하였다. 그 대표적 인물은 견훤과 궁예이다. 그리하여 후백제와 후고구려가 신라와 더불어 후삼국 시대를 열었다.
후삼국시대, 더 나아가 신라말 고려초는, 골품제 사회가 해체되어 가고 새로운 사회질서와 정치체제가 모색되는 변혁기였다. 이러한 사회변동은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 통일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었다. 이 사회변동을 주도한 세력은 호족이었다. 후삼국시대에 호족은 후삼국 건국자들과 연결하여 자신의 영역을 자위하면서, 그 영역 안의 토지와 농민을 지배하고 있었다. 이러한 호족들의 향배는 후삼국의 분립을 청산하고 새로운 통일 왕조를 건설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이 신라말 고려초의 사회변동은 농민들에 의해서 촉발 되었으나, 호족들에 의하여 주도되었고 마침내는 후삼국 건국자들에 의하여 마무리 되는 단서가 열렸다.
신라말 고려초의 사회변동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경주 중심 진골 귀족 중심의 골품제 사회를 해체하는 것이었다, 다른 하나는 골품체제에 대신하여 새로운 사회규
추천자료
신라의 비석 울진봉평 신라비에 대하여
[백제고분][백제고분미술][신라고분][신라고분미술][고구려고분][고구려고분미술]백제의 고분...
[향가][처용가]신라시대 향가 처용가의 원문과 해독, 신라시대 향가 처용가의 배경설화, 신라...
[향가][안민가][신라 향가][신라시대 향가]향가(신라시대) 안민가의 유래와 향가(신라시대) ...
[향가][신라 향가][통일신라시대 향가]서동요(향가, 신라시대), 풍요(향가, 신라시대), 혜성...
[향가][통일신라]통일신라시대 향가 - 도솔가, 통일신라시대 향가 - 제망매가, 통일신라시대 ...
[신라시대 향가 우적가][우적가][신라향가][신라시대 향가][향가 우적가]신라시대 향가 우적...
[향가][서동요]향가(신라시대) 서동요의 작품해제, 향가(신라시대) 서동요의 작품이해, 향가(...
[신라시대향가][신라향가][향가][처용가]처용가(신라향가)의 원문과 해독, 처용가(신라향가)...
[찬기파랑가][신라 향가][신라시대 향가][향가]신라향가 찬기파랑가의 원문과 신라향가 찬기...
[향가][도솔가][신라 향가][신라시대 향가]향가(신라시대) 도솔가의 배경설화, 향가(신라시대...
제망매가(통일신라시대, 향가), 도솔가(통일신라시대, 향가), 처용가(통일신라시대, 향가), ...
[서동요][향가]서동요(신라의 향가)의 배경설화, 서동요(신라의 향가)의 원문과 해독, 서동요...
[관직][명칭][신라][조선][고구려][백제][품계][관직체계][관직품계]관직과 명칭, 관직과 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