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문법적 특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敬語法 (또는 聽者敬語法)이 그것이다, 다음 예문을 보면 세 종류의 대상 누구를, 그리고 누구누구를 한꺼번에 높이느냐 않느냐에 따라 경어법이 매우 질서
정연하게 실현되는 것을 볼 수 있다.
(11) a. 민호가 동생에게 밥을 주었다(주체-, 객체-, 청자-,)
b. 민호가 동생에게 밥을 주었습니다.(주체-, 객체-, 청자+)
c. 어머니께서 민호에게 밥을 주셨다.(주체+, 객체-, 청자-)
d. 어머니께서 민호에게 밥을 주셨습니다.(주체+, 객체_, 청자+)
e. 민호가 어머니께 진지를 드렸다.(주체-, 객체+, 청자-)
f. 민호가 어머니께 진지를 드렸습니다. (주체+, 객체+, 청자-)
g. 어머니께서 할머니께 진지를 드리셨다. (주체+, 객체+ 청자-)
h. 어머니께서 할머니께 진지를 드리셨습니다. (주체+, 객체+, 청자+)
국어는 경어법은 이 외에도 여러 가지 복잡한 장치를 많이 만들어 쓰고 있다. 어떻든 국어의 경어법을 모르고서는 국어를 다 깨쳤다고 할 수 없을 정도로, 아니 국어의 어떤 것에도 다 능통한 사람조차 그때그때 적절한 경어법을 바로 골라 쓰는 일에 대해 한평생 전전긍긍하며 살 정도로 경어법이 국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고도 크다.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6.05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05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