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산업 클러스터의 해외사례 비교분석 및 시사점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해외 문화산업 클러스터의 발달배경
1. 유럽의 문화산업 클러스터
2. 북미의 뉴미디어 클러스터

Ⅱ. 문화산업 클러스터의 해외사례 비교분석
1. 도시입지 성향
2. 연관 산업과의 관계
3. 사업관행
4. 공공정책, 공공기관 및 기타 민간협의체

Ⅲ.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며, 본부가 토론토에 소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국가 단위의 정책추진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는 IMAT의 회원들 대부분은 토론토시에 집중(85%)되어 있으며, IMAT의 역할은 문화와 멀티미디어 부문의 일자리 창출, 경제개발을 위한 환경조성, 문화와 정보기술(IT)의 접목, 캐나다 고유 컨텐츠의 제작 강화, 신기술 개발 등이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동 협의체는 매월 회의를 개최하고 분기별로 발행하는 뉴스레터에 산업내 일자리 광고를 게재하고 있다.
토론토 지자체가 지역의 멀티미디어산업 발전을 위해 특별히 제공하는 지원은 토론토 도심에서 10km에 위치한 East York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동 지역은 전통산업의 퇴조로 활기를 잃은 지역경제를 "New Media Village"라는 소단위 멀티미디어 집적지를 개발하여 인프라 조성 및 기업에 대한 사업인센티브 등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뉴욕市의 멀티미디어산업 진흥은 주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협의체 등 3자에 의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 왔다. 그 가운데서 New York New Media Association(NYNMA)라는 업계의 대표적인 협의체는 멀티미디어산업을 지역에 개발, 유치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해 온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1994년에 결성된 동 협의체는 초기에는 뉴미디어산업을 뉴욕시에 정착시키는 데 역점을 두었으나, 최근에는 뉴미디어 업체들이 필요로 하는 인력개발,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각종 이벤트 및 세미나, 패널토의, 제품설명회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아울러, 동 협의체는 "엔젤 투자" 조식 시리즈를 만들어 새로운 기업이나 진취적인 인력들이 잠재적인 투자자금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州정부 역시 시의 멀티미디어산업을 지원하고 맨하튼 다운타운에 멀티미디어 기업 집적지가 동 지역의 경제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적극 장려하고 있다.
조세감면제도, 개발 건물에 대한 인프라 개선 지원, 재건축 건물의 임차료 인하 등의 구체적인 조 치들이 시행되고 있음.
샌프란시스코市 당국은 멀티미디어 걸치가 현재와 같이 조성되는 데에는 별로 기여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고, 오히려 기존에 발전하여 왔던 섬유, 식료품 등 제조업 공장들을 진흥하는 데 주력하여 왔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제조업 공장들의 이전과 폐쇄가 진행되면서 그 대신 80년대부터 PC관련 잡지사, 그래픽 디자인회사, 영화필름편집회사 등이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현재는 컨텐츠산업의 집적이 가시화됨에 따라 시 당국도 다양한 지원책을 강구하고 있다.
Ⅲ. 시사점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세 개의 도시들은 활기찬 문화와 기업활동을 보여주고 있고, 전통적인 미디어와 통신산업이 발달해있으며, 도시 중심부가 각 도시의 경제 활동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각 도시들에서 멀티미디어 클러스터의 지역 입지 성향은 매우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즉, 대체로 번화가의 주변에 있는 이전 산업지역과 창고시설에 입주해 있으며, 대개 이들은 중심상업지구와 예술 관련 집단과 매우 가까이 인접한 곳으로서 멀티미디어산업의 생성과 커다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각 도시의 멀티미디어산업은 연관 산업과 사업상 연계를 통해 발달하는 특징을 보이고 있는데, 가령 연관 산업은 미디어, 통신, 예술, 디자인, 컴퓨터 관련업 등이 공통적이다. 뉴욕市의 주요 연관 산업은 광고산업이 대표적인 데 반해, 샌프란시스코는 실리콘 밸리의 전문기술 기업과의 관계가 市산업발달에 커다란 기여를 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각 도시 멀티미디어기업들의 사업관행 특징은 인력 고용의 탄력적인 운영을 들 수 있는데, 특히 개별 프로젝트 단위에 기초한 단기 고용계약에 의한 전문기술분야 혹은 일부 스탭에서 프리랜서의 활용이 두드러진 특징으로 나타난다.
<표 3> 토론토, 뉴욕, 샌프란시스코 멀티미디어 클러스터 환경 비교
토론토
뉴욕
샌프란시스코
시 규모(메트로)
450만
2,000만
650만
국내 순위
캐나다 최대 대도시권
미국 최대 대도시권
미국내 5위 대도시권
시내멀티미디어 관련 기업분포
62%가 도심에 밀집
65%가 도심에 밀집
-
도시 클러스터 위치
토론토시 양편에 43%가 밀집
실리콘 앨리에 52%가
밀집
멀티미디어 걸치에 49%가 밀집
수요처 입지
도시 위주
도시 위주
지역 위주
주요 입지 강점
기업본사 위치,
문화산업 발달
광고, 미디어, 금융서비스분야에서 미국의 중심지
실리콘 밸리와 인접,
정보공유의 문화
협력의 특징
동업종간 경쟁, 이업종간 협력
높은 업종내 경쟁, 프리랜서, 전문가 고용 빈번
동업종간 협력, 파트너십의 역할 강조
정책의 초점
연방 및 주정부의 역할이 중요
지자체 및 주정부 역할이 중요, 조세감면, 인프라 조성 등
일부 영역에서의 지자
체의 역할
자료 : 구문모, "문화산업과 클러스터 정책", 산업연구원, 2001
각 도시의 클러스터에서 나타난 가장 큰 차이점은 공공정책과 협의체의 역할로 분석되고, 각 도시의 멀티미디어 클러스터 형성은 공공정책이나 협의체의 주도적인 역할이라기보다는 자연발생의 결과로 빚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클러스터 초기 형성과정에 정부 정책의 역할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았으나, 차후에 추진되는 공공정책은 클러스터의 기반 강화와 지속 가능한 성장 잠재력을 키우는 데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참고문헌>
구문모, "문화산업과 클러스터 정책", 산업연구원, p29∼33, 2001. 12
Brail, S. G., The Paradox of Technological Change, Dept. of Geography, University of Toronto, 1998
DCMG, 1988
European Commission, Banking on Culture, 2000
S. G. Brail, The Paradox of Technological Change, Dept. of Geography, University of Toronto, 1998
Williams, C., Consumer Services and Economic Development, Routledge, London, 1997
  • 가격1,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6.09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15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