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사기와 삼국유사 김부식의 삶과 시대적 배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김부식의 삶과 시대적 배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1. 김부식의 삶과 시대적 배경

2.일연의 삶과 시대적 배경

Ⅱ본론

1. 삼국사기에 반영된 김부식의 사상

2.삼국유사에 반영된 일연의 사상

Ⅲ결론

본문내용

匪眞鄕(진방하처비진향) 香火因緣最我邦(향화인연최아방)
不是育王難下手(불시육왕난하수) 月城來訪舊行藏(월성내방구행장)
일연이 보이는 불국토 사상은 순수한 종교적 차원의 관념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국가’의 문제에 걸쳐있다. 불국토의 구현은 승려뿐 아니라 국가 구성원 모두의 문제이고 그것의 구현 여부는 나라의 흥망성쇠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삼국유사」가 불승에 얽힌 종교사와 함께 역대 왕에 얽힌 정치사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음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그의 입장에서 종교와 정치는 불가분의 연관을 맺고 있다. 나라는 불법을 수호하고 불법은 또한 나라를 지켜주어야 한다. 불법을 수호하는 역할을 해야할 주역은 승려와 더불어 국왕인데 일연이 불법의 시현자로서의 법흥왕을 다음과 같이 추앙아호 있음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된다.
성스러운 지혜 만세의 계획이니 구구한 여론의 비방도 터럭과 같도다
법륜이 풀려서 금륜 따라 구르니 태평세상에 부처님 광명이 바야흐로 높도다.
聖智從來萬世謀 (성지종내만세모) 區區輿議(구구여의)
秋毫法輪解逐金輪轉(추호법윤해축김윤전) 舜日方將佛日高(순일방장불일고)
일연의 불국토 사상에서 무엇보다 주목할 것은 나라와 종교의 흥성 그 자체에 목적이 있지 않고 ‘중생의 구제’를 지향하고 있었다는 점이다.하층민 출신으로서 깨달음과 구원을 얻은 사복,욱면비 등과 승려로서 민중적 삶을 살았던 혜공,원효... 그리고 초라한 하층민의 모습으로 세상에 나타났던 부처와 보살을...하층민의 구원에 얽힌 많은 이야기들은 유래를 찾아 볼 수 없는 것이었고 일연이 되살린 지난 삶이 중요한 실체다. 신앙을 통한 진정한 불국토의 수립, 그리고 그를 통한 민중의 구원은 난세를 살았던 종교인 일연의 지성의 선택이었다고 본다. 절망속의 중생에서 던진 구원의 빛이다. 일연이 심혈을 기울여 「삼국유사」를 집필한 참뜻을 바로 여기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Ⅲ결론
「三國史記」는 인종 23년(1145)에 고려 귀족문화를 정리하고 강렬한 국가의식을 표출하는 가운데 중국의 역사관을 수용하면서도 독자성과 융통성을 강조하여 현실긍정과 합리성이 두드러진 사서이다.
그런데 일연이 「三國遺事」전편을 통해 강조하는 신이(神異)는 민족 자주성과 문화의 우위성을 내세우고자 한 것이었다. 이는 외세의 압제에 대항하여 그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힘의 원천이 자기 전통이라는 강한 확신에서 나올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민족사를 파악하는 정신사관에 의해 대단히 폭넓은 역사와 불교를 정리하였다.
일연이 각고 끝에 수집한 사료의 전거를 소박한 표현으로 명시하고 자신이 직접 답사하는 등의 용의주도한 노력으로 고증한 수많은 서목(書目)이 실린 「三國遺事」는 다양함이나 치밀함에서 「三國史記」보다 훨씬 뛰어나며 원사료의 본모습을 더 많이 전해주어 그만큼 사료적 가치도 높다. 객관적 서술태도를 가지고 역사적 사실을 정확하게 파악하려는 찬술태도로 기록한 많은 민간전승 자료들이 고대문화의 원형에 더욱 가깝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일연이 차지하는 문학사적 의의는 대단히 크다고 하겠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6.12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19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