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디지털 도서관의 개념
가. 정의
나. 유형
1) 제1유형: 디지털화된 도서관(Digitized Library)
2) 제2유형: 정보 자원 네트워크(Information Resourse Network)
3) 제3유형: 가상 도서관(Virtual Library)
다. 디지털 도서관의 구축 효과
2. 국내외 디지털 도서관 연구 동향
가. 미국
1) Carnegie Mellon대학
2) UCB(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3) 미시건 대학
4) UCSB(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5) 스탠포드대학
6) 일리노이대학
나. 일본
1) 일본정보기술촉진청
2) 국립학술정보센터(NACSIS) 전자도서관 시스템
3) BBCC(The B-ISDN Business Chance & Culture Creation)
4) NAIST
5) ULIS(The Universi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다. 한국
3. 디지털 도서관과 저작권
가. 저작권의 이해
나. 도서관과 저작권
다. 디지털 시대의 저작권 환경
라. WIPO 저작권조약
마. 미국 NII 저작권보호 법안
바. 전망
사. 도서관을 위한 몇 가지 대안
4. 결론
가. 정의
나. 유형
1) 제1유형: 디지털화된 도서관(Digitized Library)
2) 제2유형: 정보 자원 네트워크(Information Resourse Network)
3) 제3유형: 가상 도서관(Virtual Library)
다. 디지털 도서관의 구축 효과
2. 국내외 디지털 도서관 연구 동향
가. 미국
1) Carnegie Mellon대학
2) UCB(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3) 미시건 대학
4) UCSB(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5) 스탠포드대학
6) 일리노이대학
나. 일본
1) 일본정보기술촉진청
2) 국립학술정보센터(NACSIS) 전자도서관 시스템
3) BBCC(The B-ISDN Business Chance & Culture Creation)
4) NAIST
5) ULIS(The Universi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다. 한국
3. 디지털 도서관과 저작권
가. 저작권의 이해
나. 도서관과 저작권
다. 디지털 시대의 저작권 환경
라. WIPO 저작권조약
마. 미국 NII 저작권보호 법안
바. 전망
사. 도서관을 위한 몇 가지 대안
4. 결론
본문내용
유자의 이익과 사상의 자유로운 교환을 원하는 사회적 요구 사이에서 균형을 취하고 있는 바 이러한 권리의 균형은 전자적인 환경에서도 존속되어야 한다, 새로운 기술의 혜택은 저작권 소유자와 공중이 함께 향유해야 한다, 앞으로는 많은 정보들이 오로지 전자 형태로만 이용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에 공중의 공정 이용 권리는 전자시대에도 존속되어야 하고, 이러한 저작물의 이용은 합법적으로 무료로 허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미국연구도서관협회는 1994년 5월 독자적인 성명을 통해 "현행 저작권법의 공정 이용과 도서관에 부여된 권리를 박탈한다면 학문, 교육, 자유 사회의 운영에 심대한 해악이 닥칠 것이며, 도서관이 담당해오던 대 공중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상업적인 정보 벤더에게 자리를 내주고 사회는 극단적으로 정보를 가진 자와 못 가진 자로 양분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NII보고서에 대한 학계의 의견에 대해서는 조사한 바 없지만, 피츠버그 대학 Pamela Samuelson 교수는 이 보고서가 저작자의 권리를 일방적으로 옹호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비난하고, 공중의 입장에 서서 보고서의 편향적인 논리를 날카롭게 지적하여 조목조목 반박하는 칼럼을 Communication of the ACM지에 기고했다.
바. 전망
현재로서는 디지털 시대의 저작권 질서가 어떻게 자리잡을 것인지 누구도 예측할 수 없을 것이다. 특히 WIPO 저작권조약의 체결에 앞서서 저작자의 권리 강화에 초점을 맞춘 NII 저작권보호 법안을 내놓았던 미국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지 주목된다. 어쨌든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들이 저작권법을 정비하는 방향에 따라 우리 나라 저작권법 개정의 방향도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도 문화체육부 산하의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를 중심으로 멀티미디어 시대의 저작권 대책을 꾸준히 논의해왔고, 각계의 의견도 청취하는 등 나름대로 대응해오고 있다. 문화체육부는 빠르면 1998년 중에 개정 법안이 국회에 제출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사. 도서관을 위한 몇 가지 대안
변화하는 저작권 환경은 디지털 도서관을 연구 또는 구축하려는 기관에게는 커다란 부담이 되고 있다. 저작권이 없는 자료만을 모아 디지털 도서관을 구축하자니 투자만큼 실속이 없고, 이용자들이 얻고 싶어하는 정보는 대부분 저작권 문제가 걸려 있기 때문이다. 그럼 여기서 저작권 문제에 구애받지 않고 디지털 도서관을 구축 할 수 있는 몇 가지 대안을 생각해본다.
1) 출판사로부터 디지털 자료를 입수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는 출판사로부터 직접 디지털 자료를 제공받아 이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허락을 얻는다면, 저작권 문제는 해결될 것이다. Elsevier Science라는 출판사는 Elsevier Electronic Subscription이라는 서비스를 1996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이 출판사는 약 1200종의 학술 저널을 발행하고 있는데, 기존 인쇄본과 함께 이를 이미지 데이터로 디지털화한 파일을 함께 구독할 수 있는 제도이다. 1년 계약을 할 경우 인쇄본 구독 가격의 15%를 추가로 요구하지만, 3년 계약을 할 경우 첫 해에는 3%, 둘째 해와 셋째 해에는 9.5%(계약 연도의 구독비 기준)만 더 부담하면 된다는 매력적인 가격을 제시하고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정보 시스템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고, 이용자용 검색 소프트웨어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 도서관에서 이 서비스를 도입하기는 어렵겠지만, 새로 디지털 도서관을 구축하려는 기관에서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 저널 구독 대행사의 온라인 저널 서비스
EBSCO와 SWETS 같은 세계적인 저널 구독 대행사는 많은 종류의 저널 원문 데이터를 호스트에 저장해서 라이센스를 받은 기관의 이용자들이 접근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저널 서비스를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Elsevier가 자체 발행한 전문 저널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데 비해 이 서비스는 여러 출판사의 다양한 분야의 대중적 저널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3) CD-ROM 자료 서비스
책과는 달리 CD-ROM은 사용 환경이나 사용자 규모에 따라서 가격이 차별화되어 있기 때문에 저작권 이용에 따른 수수료가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CD-ROM은 싱글 버전(또는 Stand-Alone 버전)이라 해서 한 PC에 장착하여 동시에 한 사람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있고, 같은 장소에서 여러 사람(대개 3-4명)이 동시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버전(또는 LAN 버전)이 있으며, 여러 사이트(대개 2-3사이트)를 연결하여 원격 사용이 가능한 사이트 버전(또는 WAN 버전) 등으로 구분된다. 대체로 싱글 버전의 가격을 100으로 보면 네트워크 버전은 150, 사이트 버전은 200 정도이지만, 출판사에 따라 네트워크 버전과 사이트 버전의 가격을 싱글 버전의 5배, 8배까지 책정하기도 한다. 한 가지 유의할 점은 CD-ROM의 경우 원문 정보를 담고 있는 타이틀은 드물고 서지사항과 초록 등의 2차 정보가 주류를 이루는데도 가격은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4. 결론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디지털 도서관은 아직 명확한 개념도 정립돼 있지 않고, 선진국들조차도 아직은 연구, 실험 단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 추진 과정에서 해결해 나가야 할 걸림돌이 하나 둘이 아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디지털 도서관의 연구는 단지 기술적인 측면에 머물러서는 안되며 법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의 영향을 다같이 고려해야할 것이다. 나아가 디지털 도서관을 추진하는 여러 기관간에는 활발한 정보 교류와 협력이 일어나야 사회적으로 더욱 큰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가령 무엇을 디지털화해야 하는가, 이미 디지털화된 것은 무엇인가, 무슨 작업을 어떻게 분담하여 추진할 것인가를 검토하고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공동 목표가 세워져야 디지털화 작업이 의미 없는 복제 행위로 전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그밖에 전통적인 도서관과의 조화라든가 인간의 정보 탐색 행위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디지털 도서관의 개발에 착수해야 사회적으로 좋은 평판을 얻는 성공적인 도서관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또 미국연구도서관협회는 1994년 5월 독자적인 성명을 통해 "현행 저작권법의 공정 이용과 도서관에 부여된 권리를 박탈한다면 학문, 교육, 자유 사회의 운영에 심대한 해악이 닥칠 것이며, 도서관이 담당해오던 대 공중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상업적인 정보 벤더에게 자리를 내주고 사회는 극단적으로 정보를 가진 자와 못 가진 자로 양분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NII보고서에 대한 학계의 의견에 대해서는 조사한 바 없지만, 피츠버그 대학 Pamela Samuelson 교수는 이 보고서가 저작자의 권리를 일방적으로 옹호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비난하고, 공중의 입장에 서서 보고서의 편향적인 논리를 날카롭게 지적하여 조목조목 반박하는 칼럼을 Communication of the ACM지에 기고했다.
바. 전망
현재로서는 디지털 시대의 저작권 질서가 어떻게 자리잡을 것인지 누구도 예측할 수 없을 것이다. 특히 WIPO 저작권조약의 체결에 앞서서 저작자의 권리 강화에 초점을 맞춘 NII 저작권보호 법안을 내놓았던 미국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지 주목된다. 어쨌든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들이 저작권법을 정비하는 방향에 따라 우리 나라 저작권법 개정의 방향도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도 문화체육부 산하의 저작권심의조정위원회를 중심으로 멀티미디어 시대의 저작권 대책을 꾸준히 논의해왔고, 각계의 의견도 청취하는 등 나름대로 대응해오고 있다. 문화체육부는 빠르면 1998년 중에 개정 법안이 국회에 제출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사. 도서관을 위한 몇 가지 대안
변화하는 저작권 환경은 디지털 도서관을 연구 또는 구축하려는 기관에게는 커다란 부담이 되고 있다. 저작권이 없는 자료만을 모아 디지털 도서관을 구축하자니 투자만큼 실속이 없고, 이용자들이 얻고 싶어하는 정보는 대부분 저작권 문제가 걸려 있기 때문이다. 그럼 여기서 저작권 문제에 구애받지 않고 디지털 도서관을 구축 할 수 있는 몇 가지 대안을 생각해본다.
1) 출판사로부터 디지털 자료를 입수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는 출판사로부터 직접 디지털 자료를 제공받아 이를 서비스할 수 있도록 허락을 얻는다면, 저작권 문제는 해결될 것이다. Elsevier Science라는 출판사는 Elsevier Electronic Subscription이라는 서비스를 1996년부터 실시하고 있다. 이 출판사는 약 1200종의 학술 저널을 발행하고 있는데, 기존 인쇄본과 함께 이를 이미지 데이터로 디지털화한 파일을 함께 구독할 수 있는 제도이다. 1년 계약을 할 경우 인쇄본 구독 가격의 15%를 추가로 요구하지만, 3년 계약을 할 경우 첫 해에는 3%, 둘째 해와 셋째 해에는 9.5%(계약 연도의 구독비 기준)만 더 부담하면 된다는 매력적인 가격을 제시하고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정보 시스템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고, 이용자용 검색 소프트웨어를 별도로 구입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 도서관에서 이 서비스를 도입하기는 어렵겠지만, 새로 디지털 도서관을 구축하려는 기관에서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 저널 구독 대행사의 온라인 저널 서비스
EBSCO와 SWETS 같은 세계적인 저널 구독 대행사는 많은 종류의 저널 원문 데이터를 호스트에 저장해서 라이센스를 받은 기관의 이용자들이 접근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저널 서비스를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Elsevier가 자체 발행한 전문 저널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데 비해 이 서비스는 여러 출판사의 다양한 분야의 대중적 저널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3) CD-ROM 자료 서비스
책과는 달리 CD-ROM은 사용 환경이나 사용자 규모에 따라서 가격이 차별화되어 있기 때문에 저작권 이용에 따른 수수료가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CD-ROM은 싱글 버전(또는 Stand-Alone 버전)이라 해서 한 PC에 장착하여 동시에 한 사람만 이용할 수 있는 것이 있고, 같은 장소에서 여러 사람(대개 3-4명)이 동시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버전(또는 LAN 버전)이 있으며, 여러 사이트(대개 2-3사이트)를 연결하여 원격 사용이 가능한 사이트 버전(또는 WAN 버전) 등으로 구분된다. 대체로 싱글 버전의 가격을 100으로 보면 네트워크 버전은 150, 사이트 버전은 200 정도이지만, 출판사에 따라 네트워크 버전과 사이트 버전의 가격을 싱글 버전의 5배, 8배까지 책정하기도 한다. 한 가지 유의할 점은 CD-ROM의 경우 원문 정보를 담고 있는 타이틀은 드물고 서지사항과 초록 등의 2차 정보가 주류를 이루는데도 가격은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4. 결론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디지털 도서관은 아직 명확한 개념도 정립돼 있지 않고, 선진국들조차도 아직은 연구, 실험 단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 추진 과정에서 해결해 나가야 할 걸림돌이 하나 둘이 아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디지털 도서관의 연구는 단지 기술적인 측면에 머물러서는 안되며 법적, 문화적, 사회적 측면의 영향을 다같이 고려해야할 것이다. 나아가 디지털 도서관을 추진하는 여러 기관간에는 활발한 정보 교류와 협력이 일어나야 사회적으로 더욱 큰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가령 무엇을 디지털화해야 하는가, 이미 디지털화된 것은 무엇인가, 무슨 작업을 어떻게 분담하여 추진할 것인가를 검토하고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공동 목표가 세워져야 디지털화 작업이 의미 없는 복제 행위로 전락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그밖에 전통적인 도서관과의 조화라든가 인간의 정보 탐색 행위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디지털 도서관의 개발에 착수해야 사회적으로 좋은 평판을 얻는 성공적인 도서관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
추천자료
[디지털 경제]디지털경제의 의의와 경기변동 및 기업의 향후 대응 방안(디지털경제의 의의, ...
[디지털경제]디지털경제 등장의 주요 배경, 디지털경제의 개념도, 디지털경제의 확산, 디지털...
[디지털컨텐츠][디지털음반][디지털미디어][디지털미디어교육][디지털방송]디지털컨텐츠(디지...
[디지털시대][디지털경제][디지털시장][디지털산업][디지털컨텐츠산업][디지털콘텐츠산업]디...
[디지털방송][디지털TV][디지털방송시장][방송시장][방송환경][디지털][디지털텔레비전]디지...
[디지털음악][디지털음악산업][디지털음반유통산업][MP3][P2P][저작권문제][대중음악]디지털...
[디지털컨텐츠][디지털콘텐츠][컨텐츠][콘텐츠]디지털컨텐츠(디지털콘텐츠)의 개념, 특성과 ...
[디지털방송제작시스템][방송제작시스템][디지털방송제작][방송제작]방송제작시스템의 개념, ...
[일본디지털방송, 일본디지털방송 의의, 일본디지털방송 특징, 일본디지털방송 과정]일본디지...
[디지털저작권]디지털저작권의 개념, 디지털저작권의 중요성, 디지털저작권의 개별성, 디지털...
[디지털정보거래][디지털정보거래 의의][디지털정보거래 대상][디지털정보거래 주체]디지털정...
[디지털경영][지식경영][위성방송][품질경영]디지털경영의 유형, 디지털경영의 중요성, 디지...
[디지털시대 경영전략]디지털시대 경영전략의 필요성, 디지털시대 경영전략의 요소, 디지털시...
[디지털저작권][저작권법]디지털저작권의 소유권화, 디지털저작권의 저작권법, 디지털저작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