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표본의 특성 분석
2. 응답자의 호텔 이용형태 분석
3. 표본의 호텔 이용에 대한 전체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
4. 호텔 시설 및 공간에 대한 선호도 분석
5. 시설 만족도에 대한 분석
6. 분석 결과의 요약 및 결론
2. 응답자의 호텔 이용형태 분석
3. 표본의 호텔 이용에 대한 전체 만족도와 재방문 의도
4. 호텔 시설 및 공간에 대한 선호도 분석
5. 시설 만족도에 대한 분석
6. 분석 결과의 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사무 관리직 72명 25%, 서비스직 71명 24.7%, 전문직 35명 12.2%, 경영직이 33명 11.5%, 상업 30명 10.4%롤 대부분의 응답자가 비교적 안정된 소득을 갖는 계층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것은 특1급 호텔이 여타 호텔에 비해 객실료가 비싸다는 데서도 유추해 볼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거지주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서울이 98명 36.7%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경기도 46명 17.2%, 부산이 29명 10.9%, 제주 21명 7.9%, 대구 13명 4.9%, 경남 12명 4.5%, 인천 10명 3.7%, 경북 9명 3.4%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지역인 광주, 대전, 충북, 충남, 전북, 전남지역의 경우 그 비율이 상대적으로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으로 제주지역 호텔이 서울■경기지역이나 부산■경상도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관심했던 이들 지역이 잠재시장으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이들 지역에 대한 판촉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쳐야함을 의미하고있다고 생각한다.
2. 응답자의 호텔 이용형태 분석
제주지역 특1급 8개 호텔에 대한 연간 호텔 이용횟수, 주 이용시기, 이용목적, 선택동기, 체류기간과 같은 이용 형태적 특징은 아래와 같이 나타났다
특성
구분
빈도(명)
비율(%)
연간호텔
이용회수
1~2회
137
47.7
3~4회
95
33.1
5~6회
37
12.9
7회이상
18
6.3
호텔이용시기
여름휴가
90
32.3
연휴
77
27.6
주중
37
13.3
주말
61
21.9
겨울휴가
14
5.0
이용목적
관광
167
59.0
사업
41
14.5
친지방문
9
3.2
신혼여행
24
8.5
기타
42
14.8
선택동기
적절한 가격
60
22.3
예약의 신속편리성
32
11.9
친절한 서비스
42
15.6
쾌적하고 아늑한 분위기
31
11.5
다양한 부대시설
3
1.1
호텔의 위치
68
25.3
객실에서의 경치
33
12.3
체류기간
1박 2일
63
21.4
2박 3일
188
63.9
3박 4일이상
35
11.9
<호텔이용 형태적 특성> ※결측치는 제외하고 계산한 값임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간 호텔 이용회수에 있어서 전체 응답자 중 연간 1~2회 이용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137명 47.7%로 가장 많았고, 이어 3~4회가 95명 33.1%로, 5~6회가 37명 12.9%, 7회 이상은 18명 6.3%순의 값을 보였다. 연간 1~4회 사이 이용한다는 비율이 80.8%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간 5회 이상 호텔을 이용하는 고객의 비율도 19.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 이용시기에 있어서는 전체 응답자 293명 중 90명 32.3%의 응답자가 여름휴가를 이용한다라고 대답하고 있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연휴를 이용한다는 비율이 77명으로 27.6%, 주말이 61명으로 21.9%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어 여름휴가와 연휴때가 호텔의 최고 성수기임을 알 수 있다. 기타로는 주중이 37명 13.3%, 겨울휴가 때가 14
마지막으로 거지주역별 분포를 살펴보면, 서울이 98명 36.7%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경기도 46명 17.2%, 부산이 29명 10.9%, 제주 21명 7.9%, 대구 13명 4.9%, 경남 12명 4.5%, 인천 10명 3.7%, 경북 9명 3.4%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지역인 광주, 대전, 충북, 충남, 전북, 전남지역의 경우 그 비율이 상대적으로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으로 제주지역 호텔이 서울■경기지역이나 부산■경상도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관심했던 이들 지역이 잠재시장으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이들 지역에 대한 판촉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쳐야함을 의미하고있다고 생각한다.
2. 응답자의 호텔 이용형태 분석
제주지역 특1급 8개 호텔에 대한 연간 호텔 이용횟수, 주 이용시기, 이용목적, 선택동기, 체류기간과 같은 이용 형태적 특징은 아래와 같이 나타났다
특성
구분
빈도(명)
비율(%)
연간호텔
이용회수
1~2회
137
47.7
3~4회
95
33.1
5~6회
37
12.9
7회이상
18
6.3
호텔이용시기
여름휴가
90
32.3
연휴
77
27.6
주중
37
13.3
주말
61
21.9
겨울휴가
14
5.0
이용목적
관광
167
59.0
사업
41
14.5
친지방문
9
3.2
신혼여행
24
8.5
기타
42
14.8
선택동기
적절한 가격
60
22.3
예약의 신속편리성
32
11.9
친절한 서비스
42
15.6
쾌적하고 아늑한 분위기
31
11.5
다양한 부대시설
3
1.1
호텔의 위치
68
25.3
객실에서의 경치
33
12.3
체류기간
1박 2일
63
21.4
2박 3일
188
63.9
3박 4일이상
35
11.9
<호텔이용 형태적 특성> ※결측치는 제외하고 계산한 값임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간 호텔 이용회수에 있어서 전체 응답자 중 연간 1~2회 이용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137명 47.7%로 가장 많았고, 이어 3~4회가 95명 33.1%로, 5~6회가 37명 12.9%, 7회 이상은 18명 6.3%순의 값을 보였다. 연간 1~4회 사이 이용한다는 비율이 80.8%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간 5회 이상 호텔을 이용하는 고객의 비율도 19.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텔 이용시기에 있어서는 전체 응답자 293명 중 90명 32.3%의 응답자가 여름휴가를 이용한다라고 대답하고 있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연휴를 이용한다는 비율이 77명으로 27.6%, 주말이 61명으로 21.9%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어 여름휴가와 연휴때가 호텔의 최고 성수기임을 알 수 있다. 기타로는 주중이 37명 13.3%, 겨울휴가 때가 14
추천자료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 현황과 그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제주 차고지증명제
제주도 당 신화 교육적 적용 방안 연구
제주 4.3항쟁과 여.순 사건의 비교
제주 방언
제주도 사회복지 기관의 실태 조사
제주의 역사와 문화 (중간/기말) 제주대학교 이러닝 A+
제주도 4.3사건과 장소성에 대하여
[제주항공] 제주항공 성공요인 분석 보고서
[제주항공] 제주항공 성공요인 분석 PPT
저가항공시장분석,제주항공사례,제주항공경영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
[제주국제자유도시]제주국제자유도시및경제자유구역내외국교육기관설립및운영에관한특별법의 ...
[암석, 화강암 지화학적특징, 편마암과 선산화강섬록암, 화강암과 제주도, 편마암과 영남육괴...
제주항공 경영전략, 마케팅,서비스전략연구및 제주항공의 향후전략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