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때문에 인쇄매체 중에서 가장 대중화된 매체이다.
여성지가 가장 많이 지면을 할애하고 있는 것은 광고이고, 두 번째는 인기 연예인이나 사회 저명 인사들의 스캔들이고, 세 번째는 성에대한 다양한 정보인데 자유화된 성의식, 혼전 성 관계, 혼외정사, 불륜, 성적 쾌락 등 때로 적나라하게 선정적으로 묘사하여 여성들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의 호기심을 차지하고 있다.
(5) 단행본 출판물
전파매체가 등장하기 이전, 전자매체가 상업적으로 이용되기 이전, 마찬가지로 잡지가 상업적으로 이용되기 이전부터 단행본 출판물들은 대중의 가치관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정비석의 <자유부인 >은 작가와 평론가 사이의 논쟁을 일으켰고, 염재만의 <반노>는 사법처리되었으며, 90년대 들어, 마광수 교수의 <즐거운 사라>가 사법처리되었다.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통속연애소설들도 청소년들에게 연애에 대한 끊임없는 호기심과 동경심을 자극하여 인생에 대해 보다 넓은 시각으로 자신의 가능성을 생각해야 할 시기에 지나치게 자기 중심적 사고에 빠져들게 한다.
이런 청소년을 방학중에 어떻게 독서 지도를 해야하냐면, 매일 한두시간 읽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는 것이다. 민간단체 대형서점이 대상별 우수도서목록을 선정,발표하고 독서 감상문을 공모하고, <읽은 책을 친구에게 보냅시다>등 독서 운동을 펼치고 있다.
(6) 만화(책, 잡지, 영화, 비디오)
대중매체가 발전하면서 글뿐인 인쇄매체보다는 빨리보고 판단할 수 있는 영상매체를 선호하는 경향이 높아졌다. 이러한 영상매체와 인쇄매체의 중간쯤에 자리잡고 있는 것이 만화이다.
1992년부터 1993년까지 인기를 독차지한 <드레곤 볼>의 경우 등장인물 중의 하나인 오룡은 예쁜 여자와 여자 팬티를 갖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드레곤 볼을 찾아 나선다. 1993년부터 아이들이 가장 많이 보는 <란마 1/2>에서 찬물을 맞으면 여자로 변하고 뜨거운 물을 맞으면 남자로 변하는 주인공 남궁 란마의 모습은 어린이에게 성에 대한 가치관을 왜곡시킬 염려가 있으며 대사도 어린이들에게 부적당한 것이 많다. 섹스, 폭력, 잔혹 등 비윤리적인 내용 때문에 문제가 되어온 일본만화에 우리 청소년들이 거의 무방비로 노출되고, 이에 따라 청소년 비행의 한 촉진요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지만 걱정 뿐 대책없이 방치된 형편이다. 시종에서 나도는 일본만화들은 애부분 근친간 성애묘사, 폭력, 자혹성 등 우리 정서에 맞지 많는 내용들이다.
(7) 영화, 비디오
교육개발원의 한 연구원이 남녀 고교생 58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75%가 본 대로 행동해 보고 싶은 충동을 느꼈다고 결과가 나왔다. 성적 충동을 느낀 상황에 대해 남중생의 45%, 여중생의37%가 각각 TV나 영화에서 야한 장면을 보았을 때였다고 답변, 외설적인 영상물을 성적 충동의 가장 큰 요인으로 꼽았다.
음란 비디오는 서울의 세운 상가주변, 청계천 7가, 중앙시장에서 주로 구할 수 있다고 한다. 이 지역에서는 성인이나 청소년이나 가리지 않고 돈만 있으면 테이프를 구할 수 있다고 한다. 주로 사창가에서 유통되나 가정에서 부부간의 성적인 자극을 북돋기 위해 음성적으로 부부들만 은밀히 시청하기도 한다. 그러다가 감춰놓은 테이프를 아이들이 몰래 보고 일을 저지르는 것이다. 음란 비디오는 음성적으로만 유통되는 것이 아니라 노래방과 같은 공개된 장소에서도 일부 상영되고 있다. 또한 오현경 비디오나 빨간 마후라 등 한국인들이 스스로 찍은 비디오들이 돌아다님으로 더욱 불법유통비디오로 인한 폐해는 더한 것이다.
대중영화는 갈수록 그 노출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세간의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던 <거짓말> <노랑머리> <세기말>등이 잇달아 개봉되었으며 배우들의 실제 정사로 유명한 <폴라X> <감각의 제국> 등도 잇달아 개봉됨으로 대중영화로 인한 성적 노출과 타라ㄱ은 계속될 전망이다.
(8) 대중음악
대중음악은 대중의 삶과 애환과 기쁨을 노래한 것으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즐기는 유행음악이다. 두세살짜리 아이가 대중가요를 부르는 것을 기특하게 여기는 부모들이 늘어가고, 국민학교나 중,고등 학교 아이들은 학교에서 배운 동요나 가곡 등을 생활현장에서 거의 부르고 있지 않다는 충격적인 보도도 있었다. 노래방이 확산되면서 대중가요를 즐기는 기회는 더욱 많아지고 있다.
(9) 컴퓨터 디스켓, CD-Rom
컴퓨터는 20세기에 인간이 만들어 낸 최고의 혁명적 매체이다. 컴퓨터의 정보처리 능력이 확장되면서 다양한 문화상품이 온라인망을 통
여성지가 가장 많이 지면을 할애하고 있는 것은 광고이고, 두 번째는 인기 연예인이나 사회 저명 인사들의 스캔들이고, 세 번째는 성에대한 다양한 정보인데 자유화된 성의식, 혼전 성 관계, 혼외정사, 불륜, 성적 쾌락 등 때로 적나라하게 선정적으로 묘사하여 여성들 뿐만 아니라 청소년들의 호기심을 차지하고 있다.
(5) 단행본 출판물
전파매체가 등장하기 이전, 전자매체가 상업적으로 이용되기 이전, 마찬가지로 잡지가 상업적으로 이용되기 이전부터 단행본 출판물들은 대중의 가치관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정비석의 <자유부인 >은 작가와 평론가 사이의 논쟁을 일으켰고, 염재만의 <반노>는 사법처리되었으며, 90년대 들어, 마광수 교수의 <즐거운 사라>가 사법처리되었다.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통속연애소설들도 청소년들에게 연애에 대한 끊임없는 호기심과 동경심을 자극하여 인생에 대해 보다 넓은 시각으로 자신의 가능성을 생각해야 할 시기에 지나치게 자기 중심적 사고에 빠져들게 한다.
이런 청소년을 방학중에 어떻게 독서 지도를 해야하냐면, 매일 한두시간 읽는 습관을 들이도록 하는 것이다. 민간단체 대형서점이 대상별 우수도서목록을 선정,발표하고 독서 감상문을 공모하고, <읽은 책을 친구에게 보냅시다>등 독서 운동을 펼치고 있다.
(6) 만화(책, 잡지, 영화, 비디오)
대중매체가 발전하면서 글뿐인 인쇄매체보다는 빨리보고 판단할 수 있는 영상매체를 선호하는 경향이 높아졌다. 이러한 영상매체와 인쇄매체의 중간쯤에 자리잡고 있는 것이 만화이다.
1992년부터 1993년까지 인기를 독차지한 <드레곤 볼>의 경우 등장인물 중의 하나인 오룡은 예쁜 여자와 여자 팬티를 갖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드레곤 볼을 찾아 나선다. 1993년부터 아이들이 가장 많이 보는 <란마 1/2>에서 찬물을 맞으면 여자로 변하고 뜨거운 물을 맞으면 남자로 변하는 주인공 남궁 란마의 모습은 어린이에게 성에 대한 가치관을 왜곡시킬 염려가 있으며 대사도 어린이들에게 부적당한 것이 많다. 섹스, 폭력, 잔혹 등 비윤리적인 내용 때문에 문제가 되어온 일본만화에 우리 청소년들이 거의 무방비로 노출되고, 이에 따라 청소년 비행의 한 촉진요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지만 걱정 뿐 대책없이 방치된 형편이다. 시종에서 나도는 일본만화들은 애부분 근친간 성애묘사, 폭력, 자혹성 등 우리 정서에 맞지 많는 내용들이다.
(7) 영화, 비디오
교육개발원의 한 연구원이 남녀 고교생 58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75%가 본 대로 행동해 보고 싶은 충동을 느꼈다고 결과가 나왔다. 성적 충동을 느낀 상황에 대해 남중생의 45%, 여중생의37%가 각각 TV나 영화에서 야한 장면을 보았을 때였다고 답변, 외설적인 영상물을 성적 충동의 가장 큰 요인으로 꼽았다.
음란 비디오는 서울의 세운 상가주변, 청계천 7가, 중앙시장에서 주로 구할 수 있다고 한다. 이 지역에서는 성인이나 청소년이나 가리지 않고 돈만 있으면 테이프를 구할 수 있다고 한다. 주로 사창가에서 유통되나 가정에서 부부간의 성적인 자극을 북돋기 위해 음성적으로 부부들만 은밀히 시청하기도 한다. 그러다가 감춰놓은 테이프를 아이들이 몰래 보고 일을 저지르는 것이다. 음란 비디오는 음성적으로만 유통되는 것이 아니라 노래방과 같은 공개된 장소에서도 일부 상영되고 있다. 또한 오현경 비디오나 빨간 마후라 등 한국인들이 스스로 찍은 비디오들이 돌아다님으로 더욱 불법유통비디오로 인한 폐해는 더한 것이다.
대중영화는 갈수록 그 노출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세간의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렸던 <거짓말> <노랑머리> <세기말>등이 잇달아 개봉되었으며 배우들의 실제 정사로 유명한 <폴라X> <감각의 제국> 등도 잇달아 개봉됨으로 대중영화로 인한 성적 노출과 타라ㄱ은 계속될 전망이다.
(8) 대중음악
대중음악은 대중의 삶과 애환과 기쁨을 노래한 것으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즐기는 유행음악이다. 두세살짜리 아이가 대중가요를 부르는 것을 기특하게 여기는 부모들이 늘어가고, 국민학교나 중,고등 학교 아이들은 학교에서 배운 동요나 가곡 등을 생활현장에서 거의 부르고 있지 않다는 충격적인 보도도 있었다. 노래방이 확산되면서 대중가요를 즐기는 기회는 더욱 많아지고 있다.
(9) 컴퓨터 디스켓, CD-Rom
컴퓨터는 20세기에 인간이 만들어 낸 최고의 혁명적 매체이다. 컴퓨터의 정보처리 능력이 확장되면서 다양한 문화상품이 온라인망을 통
추천자료
원용진 외의 '대중매체와 페미니즘'을 읽고
성과 대중매체
기술발달에 따른 새로운 대중매체의 출현과 정치적 의사결정
기술발달에 따른 새로운 대중매체의 출현과 정치적 의사결정
[대중문화][팝][가요순위프로그램][음반산업][음악산업][대중음악][가요][대중가요]대중문화...
[대중문화란무엇인가, 대중문화란 무엇인가] 대중문화란 무엇인가
[사회과학]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의 추진배경,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의 ...
일본대중문화개방(일본문화개방)과 애니메이션산업, 일본대중문화개방(일본문화개방)과 게임...
[매스커뮤니케이션의 이해] 대중매체와 소비자본주의사회의 여성성과 남성성 -광고를 중심으로
스포츠 대중매체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의 추진배경, 일본문화개방(일본대중문화개방)의 긍정적 효과...
[사회복지조사론] 대중매체와 청소년 성비행의 관계
『한국의 대중매체사』를 읽고 _ 강준만 저 [요약 및 독후감,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