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본의 음식문화
중국의 음식문화
한국의 음식문화
중국의 음식문화
한국의 음식문화
본문내용
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념은 조리 과정에서도 뚜렷하게 드러난다. 중국 음식은 재료의 특유한 맛과 향을 내기 위하여 한 가지 재료만을 가지고 조리하는 경우도 있으나 육류와 해산물과 채소 등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재료를 함께 섞어 조리하는 경우가 더 많다. 이러한 조리법은 음식물을 고루 섭취함으로써 균형 있는 신체 건강을 유지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대부분의 단일 재료에 조미료 맛을 내는 우리의 식생활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Ⅲ. 중국의 주요음식
중국의 요리는 너무나 다양하고 광범위하기에 구체적인 요리를 살펴보는 것보다 지역적으로 드러나는 요리의 특색과 대표하는 요리들을 알아보기로 한다.
● 북경(베이징)요리
베이징 요리는 일명 ‘징차이’라고 한다. 베이징을 중심으로 남쪽으로 산동성, 서쪽으로 태원까지의 요리를 포함한다. 황하 유역에 발달한 베이징은 오랫동안 중국의 수도로 정치, 경제 및 문화의 중심지여서 궁중 요리를 비롯하여 고급요리가 발달하여 가장 사치스러운 요리문화를 이룩하였다. 청조는 본래 유목민족이었기에 양, 소, 오리 등을 이용한 요리가 많았으며 이것이 오늘날 북경요리의 한 특징을 이루기도 한다.
베이징은 지리적으로 한랭한 지역에 위치하여 칼로리가 높은 음식이 요구되기 때문에 육류를 중심으로 강한 화력을 써서 짧은 시간에 조리하는 튀김요리와 볶음요리가 특징이다. ‘루메이’라는 강한 석탄을 사용하여 짧은 시간에 음식을 조리해 재료 고유의 맛을 살리려고 노력한 것이 특징이다.
베이징은 화북평야의 광대한 농경지에서 생산되는 소맥을 비롯한 농작물이 풍부하여 면류, 만터우, 빙(떡)등의 가루음식이 발달되었다.
조리방법도 다른 지역에 비하여 굽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는 편이며, 궁중 조리법의 영향으로 신선로를 이용하는 조리법을 쓰기도 한다. 북방민족의 전통적인 조리법과 뜨거운 불에 올려 기름을 부어 튀겨내는 산동 조리법의 영향으로 북경요리는 대체적으로 바삭바삭한 느낌을 준다.
북경요리의 대표적인 것은 오리통구이인 카오야쯔이다. 이 요리의 재료로 쓰이는 오리의 사육법이 특수한 것으로 유명하다. 부화한 후 일이 지나면 어둡고 좁은 곳에 집어넣어 강제로 먹이를 주어 약 반달동안 키우면 과잉섭취와 운동부족으로 집어넣기 전 크기의 2배로 자란다. 이 오리의 깃털과 물갈퀴, 내장을 빼고 껍질과 살 사이에 공기를 넣어 부풀어 오르게 한 후, 몸 표면에 엿을 발라서 햇볕에 쪼인 다음 아궁이에서 표면이 다갈색이 될 때가지 굽는다. 먹을 때는 벗겨낸 껍질을 만두피처럼 얇게 민 떡에 채친 파와 양념과 함께 싸서 먹는다. 특히 바삭바삭한 껍질이 유명하다.
● 사천요리
중국의 서방 양쯔 강 상류의 내륙지방에 발달한 요리로 원난, 구이저우 지방 요리까지를 총칭한다. 사천지방은 내륙이기 때문에 기후가 완화하여 생산물이 풍부하나 바다와는 멀리 떨어져 있어 해산물 요리가 적다. 반면 육류와 채소요리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사천지방은 더위와 추위가 심한 지방으로서 악천후를 이겨내기 위해 향신료나 조미료의 배합에 변화가 많고, 매운 요리와 마늘, 파, 고추 등을 사용하는 요리가 많다. 맵지 않을 경우 사천 사람들은 신 음식을 즐긴다. 조리법은 38가지가 있을 정도로 풍부하다. 그 중에서도 주로 기름을 약간 두르고 지지는 ‘샤오지엔법’, 기름에 볶은 후 삶아내는 ‘깐싸오법’등이 주종을 이루는데, 모든 요리마다 독특한 맛을 지닌다고 일컬을 만큼 각각의 요리가 독특한 향기와 맛을 표현해 낸다.
산악지대에서 나오는 암염은 소금절이에 밑받침이 되었고 신맛과 매운맛, 톡 쏘는 맛과 향기가 기본을 이루었다. 식품의 보존법도 발달하였는데, 차차이라는 장아찌 비슷한 것이나 쓰쵠식의 고추장 따위가 있다. 두부와 다진 고기를 이용한 마차도우프, 회교도들의 양고기 요리인 양로루꿔쯔, 새우 고추장 볶음인 간사오밍샤 등이 유명하다.
● 상해요리
중국 중부의 대표적인 요리인 상해요리는 양쯔 강 하류일대에 모여 있는 도시인 상하이, 난징, 쑤저우, 양저우 등지에서 발달한 요리로 형성된다. 해산물 요리가 가장 큰 특징이며 설탕의 사용량도 많은 편이다. 상해는 따듯한 기후와 풍부한 농산물, 갖가지 해산물의 집산지로 다양한 요리를 탄생시켰고, 이 지방의 특산물인 장유를 써서 만드는 요리는 매우 독특하다.
상하이 요리는 간장이나 설탕으로 달콤하게 맛을 내어 기름기가 많고 진한 것이 특징이기도 하다. 돼지고기에 진간장을 써서 만드는 요리가 유명하고, 양쯔 강과 바다에 가깝기 때문에 해산물이 풍부하여 어패류 요리가 많으며, 한 마리 생선을 가지고 머리에서 꼬리까지 조리와 양념을 달리해서 맛을 내는 생선 요리도 일품이다.
바닷게를 가지고 만드는 푸룽칭셰, 두부로 만드는 스진사궈더우푸와 꽃 모양의 빵인 화쥐안, 만두의 일종인 탕바오 등이 유명하다.
● 광동요리
중국요리를 대표하는 광동 요리는 광저우 요리를 중심으로 푸첸요리, 차오저우 요리, 둥장 요리 등의 지방요리 전체를 일컫는다. 광동 요리는 남방계 중국요리의 대표로서, 예로부터 외국과의 상업무역이 발달하고 외국과의 교류도 빈번했던 지역이어서 일찍부터 그 요리가 해외에 알려졌다. 따라서 중국요리라면 광동 요리로 생각되었을 정도이다.
광동지방은 아열대이고, 생산물이 풍부하여 예부터 ‘식재광주(食在光州: 광둥요리가 천하제일이라는 뜻)’라 할 정도였다. 청에 이르러서는 중국과 해외 각국을 연결하는 주요 통로의 하나였으며 육상과 해상을 연결하는 중요한 무역의 집산지이기도 했다. 특히 해외의 진귀한 화물이 대부분 광주를 통하여 내륙으로 유입되는 데다, 외국인들의 왕래가 빈번하여 중국과 판이하게 다른 외국문화를 가장 먼저 접하는 곳도 광주였기 때문에 식생활 문화를 포함한 일반문화에 외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게 되었다.
광동 요리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음식의 재료가 풍부하고 내륙의 타 지역에 비해 이것을 광범위하게 사용한다는 점이고, 광동 요리도 부드럽고 담백하여, 기름지지만 느끼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가능한 한 거의 모든 조미료가 동원되며 그 때문에 시고, 쓰고, 짜고, 달고, 매운 다섯 가지 맛을 고루 표현해 낸다. 한편, 서구요리의 영향을 받아 쇠고기, 서양 야채, 토마토 케
이러한 관념은 조리 과정에서도 뚜렷하게 드러난다. 중국 음식은 재료의 특유한 맛과 향을 내기 위하여 한 가지 재료만을 가지고 조리하는 경우도 있으나 육류와 해산물과 채소 등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재료를 함께 섞어 조리하는 경우가 더 많다. 이러한 조리법은 음식물을 고루 섭취함으로써 균형 있는 신체 건강을 유지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대부분의 단일 재료에 조미료 맛을 내는 우리의 식생활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Ⅲ. 중국의 주요음식
중국의 요리는 너무나 다양하고 광범위하기에 구체적인 요리를 살펴보는 것보다 지역적으로 드러나는 요리의 특색과 대표하는 요리들을 알아보기로 한다.
● 북경(베이징)요리
베이징 요리는 일명 ‘징차이’라고 한다. 베이징을 중심으로 남쪽으로 산동성, 서쪽으로 태원까지의 요리를 포함한다. 황하 유역에 발달한 베이징은 오랫동안 중국의 수도로 정치, 경제 및 문화의 중심지여서 궁중 요리를 비롯하여 고급요리가 발달하여 가장 사치스러운 요리문화를 이룩하였다. 청조는 본래 유목민족이었기에 양, 소, 오리 등을 이용한 요리가 많았으며 이것이 오늘날 북경요리의 한 특징을 이루기도 한다.
베이징은 지리적으로 한랭한 지역에 위치하여 칼로리가 높은 음식이 요구되기 때문에 육류를 중심으로 강한 화력을 써서 짧은 시간에 조리하는 튀김요리와 볶음요리가 특징이다. ‘루메이’라는 강한 석탄을 사용하여 짧은 시간에 음식을 조리해 재료 고유의 맛을 살리려고 노력한 것이 특징이다.
베이징은 화북평야의 광대한 농경지에서 생산되는 소맥을 비롯한 농작물이 풍부하여 면류, 만터우, 빙(떡)등의 가루음식이 발달되었다.
조리방법도 다른 지역에 비하여 굽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는 편이며, 궁중 조리법의 영향으로 신선로를 이용하는 조리법을 쓰기도 한다. 북방민족의 전통적인 조리법과 뜨거운 불에 올려 기름을 부어 튀겨내는 산동 조리법의 영향으로 북경요리는 대체적으로 바삭바삭한 느낌을 준다.
북경요리의 대표적인 것은 오리통구이인 카오야쯔이다. 이 요리의 재료로 쓰이는 오리의 사육법이 특수한 것으로 유명하다. 부화한 후 일이 지나면 어둡고 좁은 곳에 집어넣어 강제로 먹이를 주어 약 반달동안 키우면 과잉섭취와 운동부족으로 집어넣기 전 크기의 2배로 자란다. 이 오리의 깃털과 물갈퀴, 내장을 빼고 껍질과 살 사이에 공기를 넣어 부풀어 오르게 한 후, 몸 표면에 엿을 발라서 햇볕에 쪼인 다음 아궁이에서 표면이 다갈색이 될 때가지 굽는다. 먹을 때는 벗겨낸 껍질을 만두피처럼 얇게 민 떡에 채친 파와 양념과 함께 싸서 먹는다. 특히 바삭바삭한 껍질이 유명하다.
● 사천요리
중국의 서방 양쯔 강 상류의 내륙지방에 발달한 요리로 원난, 구이저우 지방 요리까지를 총칭한다. 사천지방은 내륙이기 때문에 기후가 완화하여 생산물이 풍부하나 바다와는 멀리 떨어져 있어 해산물 요리가 적다. 반면 육류와 채소요리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사천지방은 더위와 추위가 심한 지방으로서 악천후를 이겨내기 위해 향신료나 조미료의 배합에 변화가 많고, 매운 요리와 마늘, 파, 고추 등을 사용하는 요리가 많다. 맵지 않을 경우 사천 사람들은 신 음식을 즐긴다. 조리법은 38가지가 있을 정도로 풍부하다. 그 중에서도 주로 기름을 약간 두르고 지지는 ‘샤오지엔법’, 기름에 볶은 후 삶아내는 ‘깐싸오법’등이 주종을 이루는데, 모든 요리마다 독특한 맛을 지닌다고 일컬을 만큼 각각의 요리가 독특한 향기와 맛을 표현해 낸다.
산악지대에서 나오는 암염은 소금절이에 밑받침이 되었고 신맛과 매운맛, 톡 쏘는 맛과 향기가 기본을 이루었다. 식품의 보존법도 발달하였는데, 차차이라는 장아찌 비슷한 것이나 쓰쵠식의 고추장 따위가 있다. 두부와 다진 고기를 이용한 마차도우프, 회교도들의 양고기 요리인 양로루꿔쯔, 새우 고추장 볶음인 간사오밍샤 등이 유명하다.
● 상해요리
중국 중부의 대표적인 요리인 상해요리는 양쯔 강 하류일대에 모여 있는 도시인 상하이, 난징, 쑤저우, 양저우 등지에서 발달한 요리로 형성된다. 해산물 요리가 가장 큰 특징이며 설탕의 사용량도 많은 편이다. 상해는 따듯한 기후와 풍부한 농산물, 갖가지 해산물의 집산지로 다양한 요리를 탄생시켰고, 이 지방의 특산물인 장유를 써서 만드는 요리는 매우 독특하다.
상하이 요리는 간장이나 설탕으로 달콤하게 맛을 내어 기름기가 많고 진한 것이 특징이기도 하다. 돼지고기에 진간장을 써서 만드는 요리가 유명하고, 양쯔 강과 바다에 가깝기 때문에 해산물이 풍부하여 어패류 요리가 많으며, 한 마리 생선을 가지고 머리에서 꼬리까지 조리와 양념을 달리해서 맛을 내는 생선 요리도 일품이다.
바닷게를 가지고 만드는 푸룽칭셰, 두부로 만드는 스진사궈더우푸와 꽃 모양의 빵인 화쥐안, 만두의 일종인 탕바오 등이 유명하다.
● 광동요리
중국요리를 대표하는 광동 요리는 광저우 요리를 중심으로 푸첸요리, 차오저우 요리, 둥장 요리 등의 지방요리 전체를 일컫는다. 광동 요리는 남방계 중국요리의 대표로서, 예로부터 외국과의 상업무역이 발달하고 외국과의 교류도 빈번했던 지역이어서 일찍부터 그 요리가 해외에 알려졌다. 따라서 중국요리라면 광동 요리로 생각되었을 정도이다.
광동지방은 아열대이고, 생산물이 풍부하여 예부터 ‘식재광주(食在光州: 광둥요리가 천하제일이라는 뜻)’라 할 정도였다. 청에 이르러서는 중국과 해외 각국을 연결하는 주요 통로의 하나였으며 육상과 해상을 연결하는 중요한 무역의 집산지이기도 했다. 특히 해외의 진귀한 화물이 대부분 광주를 통하여 내륙으로 유입되는 데다, 외국인들의 왕래가 빈번하여 중국과 판이하게 다른 외국문화를 가장 먼저 접하는 곳도 광주였기 때문에 식생활 문화를 포함한 일반문화에 외국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게 되었다.
광동 요리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음식의 재료가 풍부하고 내륙의 타 지역에 비해 이것을 광범위하게 사용한다는 점이고, 광동 요리도 부드럽고 담백하여, 기름지지만 느끼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가능한 한 거의 모든 조미료가 동원되며 그 때문에 시고, 쓰고, 짜고, 달고, 매운 다섯 가지 맛을 고루 표현해 낸다. 한편, 서구요리의 영향을 받아 쇠고기, 서양 야채, 토마토 케
추천자료
한국과 일본의 음식문화 비교 [인문과학]
[분석/조사] 한국과 일본의 음식문화 비교
[인문과학] 한국과 일본의 음식문화 비교
‘음식 한류’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비교연구
중국인의 식생활 문화, 음식문화
한국인의 문화코드-웃음, 욕, 음식
[식생활문화] 밥의 종류와 한국 음식문화의 개선점
한국전통식품(전통음식) 청국장과 간장, 한국전통식품(전통음식) 고추장과 된장, 한국전통식...
한국의 상차림 예절과 전통음식
한국 전통식품(전통음식) 된장과 청국장, 한국 전통식품(전통음식) 추어탕, 한국 전통식품(전...
한국을 홍보할 수 있는 기내식 음료와 음식을 본인의 아이디어(Idea)를 발휘해 기획 해보시오
[음식과 세계문화] 3주차 한국의 음식문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