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대중)음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의(대중)음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일본(대중)음악의 역사

일본음악의 세계화

일본음악의 성공비결

본문내용

erry Christmas Mr Lawrence> 에서 역시 뮤지션인 데이빗 보위와 함께 출연했고, <마지막 황제>에도 얼굴을 내미는 등 영화 배우로서의 활동을 펼쳤다. 또한 마돈나의 뮤직 비디오 에도 출연했다. 그리고 1982년엔 철학자인 쇼조 오모리와 함께 란 책을 펴내기도 했다.
또한 유명 디자이너의 패션 쇼에 모델로 나서는가 하면 유명 잡지의 남성복 모델로 지면을 장식하기도 했다. 한 마디로 어느 한 분야에 국한되지 않는, 만능 엔터테이너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1985년엔 스쿠바 과학 박람회에서 멀티 미디어 쇼를 선보이는 실험적 시도도 해 보이고 있다.
작품으로는 <메리 크리스마스 미스터 로렌스>,<마지막 황제>,<끝없는 사랑>,<리틀 부다>,<하이힐>, <폭풍의 언덕>, <스네이크 아이>,<철도원>
일본음악의 성공비결
- 연령별 음반수요 형태
■ 한국
나이
10대
20대
30대
기타
비율
48%
33%
12%
7%
■ 일본
나이
10대
20대
30대
기타
비율
9.3%
41.7%
37.1%
12%
위에 나와 있는 도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한국은 10대의 음반수요가 엄청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나이가 들면서 차차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는데 반해 일본의 경우는 10대 위주가 아니라 여러 나이층의 음반수요 분포가 나타난다.
- 공연문화
우리나라에는 음악전문 공연장이 없다. 세종문화회관이나 예술의 전당이 있기는 하지만 거의가 클래식, 연극, 무용 등 순수예술 무대가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이 어려운 상황이다. 그리고 라이브 카페나 클럽이 존재하지만 홍대나 대학로 근처에 50여개가 영업중이지만 법에 의해 많은 제재가 가해지고 있는게 현실이다. 그에 반해 일본은 스포츠와 콘서트를 겸할 수 있는 도쿄돔, 나고야돔, 오사카돔, 후쿠오카 돔 등의 공연장이 전국에 산재해 연중 거의 문을 열고 있으며 일본의 우드스탁 페스티벌이라는 후지 섬머 록 페스티벌을 개최하는 등 크고 작은 공연이 많이 열리고 있다.
음악에 관심이 많은 나로서는 평소에 일본음악(대중음악)에 대해서는 적지 않은 편견들을 가지고 있었는데, 조사를 하면서 일본음악이 좋아졌다라는 것보다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음악적, 문화적 환경이 부러웠고, 우리도 빨리 이런 문화 또는 제도를 마련하여 세계적인 뮤지션이 배출되고 많은 발전을 이루었으면 하는 바램이 생겼다.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6.30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53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