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의 맞벌이부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회의 맞벌이부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맞벌이부부의 개념
2. 맞벌이부부의 출현배경
3. 맞벌이부부의 형성과정
4. 맞벌이가족 특성
5. 여성의 취업 효과
6. 맞벌이에 대한 국민 인식
7. 맞벌이부부를 위한 복지정책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1, 초4를 둔 엄마입니다. 전문직에 종사하고 있구요.
엄마노릇이 너무도 힘이 듭니다.
고1 딸에 대한 상담이 필요합니다.
자유로운 사고롸 자기세계 또한 확실하다 느껴지는 아이가 사춘기를 맞으면서 저와 너무도 자주
부딪힙니다. 초등학교 5학년때부터 간섭받거나, 야단을 맞을 때면 정면으로 거부하고, 무섭게 대들기
시작하더니 이제 고1이 되어서도 맞지 않는 궤변과 자신의 합리화로 마치 자신이 성인이라도 된양,
부모의 설득에도 전혀 동요되지 않습니다.
대화를 시도하다보면, 또 다른 싸움이 되구요.
출처: http://myhome.hanafos.com/~heos/essay.htm
맞벌이 부부의 속앓이
때로는 아내를 집에 있게만 하고싶다.
신문이나 텔레비젼에서 맞벌이 부부의 아이들은 엄마나 아빠와 같이 있는시간이
일반의 가정 아이들보다 적어, 항상 사랑에 목말라 하므로 뭔가 욕구불만에 차있고
그것이 발전하여 비행으로 가기쉽다. 라는 기사나 대담, 혹은
상담내용을 보거나 듣는 날이면 더욱 그렇다.
그래서 아이들에게 특별하게는 아니더라도 여느가정과 다르지 않게
아이들에게 쏟는 관심을 흐트리지 않을려고 나름대로는 노력하고 있다.
그래도 우리가정은 다른 맞벌이 가정보다는 훨씬 낫지않은가.
가까이에 처가가 있어 아내의 듀티가 데이때면 아이들이 올시간에 맞춰
장모님께서 먼저와 아이들을 마중해 주고, 아내가 이브닝일 때는
그래도 제엄마가 기다리고 있으니 일반 맞벌이 가정에 비하면
아주 행복하다고 할수 있겠다.
요즘 지현이가 수업이 끝나고 친구들을 데리고 오는날이 잦다.
같은반의 머시매, 가시내 할 것없이 우르르 떼로 데리고 와
제방을 온통 전쟁터로 만들어 놓는다고 한다.
며칠전 아내가 말한다. 딸아이 친구중 ○○이가 있는데 어제 그애가 다섯시가
넘었는데도 집에 갈려고 하지 않아 이유를 물어보니 집에가봐야 재미없고
엄마 아빠도 안계시니 가기싫다고 해 자세히 알아보니 그애집도
우리집처럼 맞벌이 가정인데 양부모가 저녁아홉시정도가 되어 퇴근하니
아이가 집에가기 싫어한다는 것이다.
집에는 나이차가 10년도 넘는 언니둘이 있지만 아이의 마음을 어루만져주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그아이는 평소 용돈이 풍부하여 같은반 아이들에게
돈을 잘쓰는데(아이들 표현대로 하면 \"돈을 잘까준다\")
제엄마와 아빠가 그렇게 잘준다는 것이다.
가슴이 아파온다.
아이와 함께 많은 시간을 놀아주지 못하는 부모로서
용돈이나마 부족하지 않게 주는 것으로 빈시간을 보상해 주어야
아이얼굴을 바로볼 수 있을 것같은 그 심정이...
바로 내일이라도, 주제넘은 간섭이나 남의 집일에 참견하는 것이 아니므로
새겨들으라며 그애에 대한 것을(쉬는 날이라도 아이와 종일 놀아주시라고)
그애 엄마에게 꼭 전화 해주라고 아내에게 이르고 아내와 함께 우리모습을 돌아본다.
아이가 학교에서 돌아올 때 관리실에서 열쇠를 찾아
혼자 문을 열고 들어오는 날이 한번도 없게 하리라 다짐해도
세상일이 어디 마음대로 되는가.
2004-03-17
<안타까운맘> [부모-자녀관계] 아이가 어린이집에 안가려고 하네요.
아이가 이제 5살입니다. 11월생이라 올해 처음으로 어린이집에 보냈습니다.
처음 며칠은 잘 다녔는데..요 며칠 아침마다 힘이 드네요.
하루는 어린이집 버스를 타지 않겠닥 버티며 우는 아이를 선생님이 안고 탔습니다.
마음이 아파 오후에 몰래 가봤는데.. 울지는 않더라구요.
어린이집에서는 이 시기를 넘겨야 한다고 합니다. 울고 떼를 쓰더라도 보내면.. 늦어도 한달 안에는
적응을 한다고는 하던데..
그? 마음이 편하지 않하지 않네요.
원래 아이가 떼를 잘 쓰지 않거든요. 합당한 이유를 대주면 알아듣는 아이였는데 어린이집에 다니는
것에 대해선 막무가내네요.
좀더 지켜봐야 할까요?
- 참고문헌
박병호 공저(1996). ‘한국 가족정책의 이해’, 학지사.
차은영. ‘21c 경제주체로서의 여성지위 확보방안’, 95 남녀고용 평등의달 행사결과보고서.
김재원. ‘여성 취업활성화를 위한 영유아 보육비용의 보조방안’, 95남녀고용 평 등의 달 행사결과보고서.
신용하장경섭(1996). 21c 한국의 가족과 공동체문화, 지식산업사.
한국가족학연구회 편(1995). 맞벌이가정의 가족문제, 도서출판 하우.
이영숙 외 2인 (1999) ‘가족문제론’ , 학지사
김정옥 외 공저 (1999) ‘새로보는 결혼과 가족’
공미혜 외 7인 (1994),<여성연구논집 제 5권> 부산여자대학교 여성문제 연구소.,61-121
한국노동조합 총연맹 중앙연수원 어수봉원장 연구진.(1995) <여성잠재인력 고용확대와 평등제고방안>,서울,정무장관실 정책자료
한국사회사 연구회 (1990) ,<한국사회의 여성과 가족>,문학과 지성
김양희 (1993) <맞벌이 가족을 위한 정책>, 한국가족 연구회 <현대사회와 가족문제> 심포지움자료 131-169
여성한국사회연구회 (편)(1992.). <한국가족론> 서울:까치
가족관계학 김양희 1992 수문사
가족복지. 이경희 외. 1994 하우
가족복지론.조추용/오정옥/한성심/이채식 공저.2001.창지사
근로기준법
남녀고용평등법
대한가정학회지, 맞벌이부부의 역할 갈등과 심리적 신체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하연숙 외. 1996
맞벌이 가정의 가족문제. 한국가족학연구회편.1995.하우
맞벌이 가정의 생활실태와 문제. 한국가정관리학회 이연숙 1991
영유아보육법
복지행정론 김태수 외 1998 대영문화사
한국사회학. 도시중년부부의 역할부재와 아노미에 관한 연구, 정상희 1998
한국여성개발원, 제목 : 여성의 의식과 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200-1 김득성 외, 1996
현대가족복지론 이소희 외 1998 양서원
현행 유아보육법의 문제점과 그 개정방안 김정자 1993 한국여성개발원
- 참고 사이트
교육인적자원부 http://www.moe.go.kr/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
보건복지부여성정책담당관실 http://women.mohw.go.kr/dwp/
월간 새가정 http://www.ncchome.or.kr/
중앙보육센터 http://www.educare.or.kr/
한구사회복지사협회 http://www.welfare.net/
  • 가격5,000
  • 페이지수52페이지
  • 등록일2005.07.01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56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