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 가족치료(Strategic Family Therapy)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략적 가족치료(Strategic Family Therap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원 및 주요 인물

2. 이론의 기초
(1) 전략모델
(2) 사이버네틱 모델

3. 주요 개념 및 원리들
(1) 버지니아 새티어
< 역기능 가족관계 >
▶ 낮은 자존감의 역기능
(2) 제이 헤일리와 끌로에 마다네스
< 역기능 가족관계 >
▶ 잘못된 위계질서의 역기능
(3) MRI 연구팀
< 역기능 가족관계 >
▶ 해결이 문제가 되는 역기능
(4) 밀란 연구팀
< 역기능 가족관계 >
▶ 역기능의 가족게임

5.치료목표 및 치료기법
(1) 버지니아 새티어
(2) MRI의 기법
(3) 헤일리와 마다네스
(4) 밀란모델의 기법
“MRI 모델을 적용한 사례”
1. 서론
2. 치료를 위한 이론적 준거틀
3. 사례에 대한 MRI 모델의 네 단계 절차적용가 변화를 위한 치료목표 및 계획

4. 상담에 대한 평가

5. 결론

본문내용

나중에는 헤일리와 같이 일하게 되었다.
▶ 돈 잭슨에 의해서 시작된 MRI 연구팀은 초기에 가족치료를 형성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 나중에는 여러 다른 전략 가족치료 이론가들, 즉 칼로스 슬러츠키와 제임스 코인 등이 MRI에 참여하였고 나중에 리차드 피쉬의 지도하에 단기가족치료연구소를 설립하였다. 이탈리아 정신분석가였던 마라 셀비니 파라졸리는 수십 년간 섭식장애가 있는 환자들을 치료하였다. 그녀는 다른 여러 동료들과 이탈리아 밀란(Milan)에 연구소를 설립하고 MRI 연구팀의 문헌들을 읽고 환자들에게 적용하였다.
2. 이론의 기초
(1) 전략모델
제이 헤일리의 생각에 막대한 영향을 준 밀턴 에릭슨은 정신분석이 가지고 있는 통찰과 이해 중심의 치료에서부터 변화중심의 치료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밀턴 에릭슨에 영향을 받은 전략 가족치료자들은 가족들에게 무엇 때문에 문제가 생겼으며 문제의 발생기원들을 설명하지 않는다. 단지 이들은 가족들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말하며 치료자들이 지시하는 대로 행동하기를 원한다. 만일 가족들이 치료자의 말을 따르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따르는 경우에도 치료의 기법을 개발하여 가족들의 저항을 다루어 나간다.
(2) 사이버네틱 모델
가족들이 가지고 오는 증상들은 가족들이 지닌 상호작용의 형태를 반영하고 있다. 상호작용의 형태는 가족들이 서로에게 어떻게 반응을 하는가 또 이러한 반응들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가 하는 점을 말한다.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피드백을 주는 방식은 곧 그 가족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방식을 의미하기 때문에 전략 가족치료 이론가들은 가족들이 서로에 대해서 어떻게 피드백을 주는가 하는 점에 초점을 맞춘다.
또한 전략 가족치료이론가들은 가족들의 상호작용을 기능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한다. 헤일리는 기능을 힘과 통제라는 관점으로 보는 데 비해서 마다네스는 기능을 보호와 돌봄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한다. 반면 밀란 연구팀은 기능을 바꾸는 데 좀 더 장기간의 전략을 사용하고 MRI 연구팀은 단기간의 전략을 사용한다. 새티어는 기능이 가지고 있는 대화의 측면을 중요하게 본다.
3. 주요 개념 및 원리들
(1) 버지니아 새티어
가족의 기능성은 대화의 형태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가족은 개인의 행동을 만들어 내는 상호작용의 체제이다.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날 때 가족은 열린 체제를 가지고 있으며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지 않을 때 닫힌 체제를 가지고 있다. 활발한 상호작용은 대화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열린 체제의 특성과 닫힌 체제의 특성은 가족들간에 대화의 형태를 규정하게 된다. “분명한 대화의 체널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일”이 가족을 기능적으로 만들면서 주변의 상황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능적 가족을 만들게 한다.
가족의 기능을 잘 발휘하는 대화는 언어의 측면과 비언어의 측면이 잘 일치되어야한다. 일치된 대화를 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가치를 충분히 느끼는 사람들이다.
새티어는 일치된 대화를 하는 사람들을 설명하기 위해서 항아리(pot)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항아리는 자신에 대한 태도, 상 생각 등을 총칭하여 나타내는 개념으로 자존감(self-esteem) 또는 자기가치(self-worth)를 의미한다. 높은 자존감을 가진 사람을 균형이 잡힌 사람이라고 한다. 균형이 잡힌 사람은 여러 가지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사람을 말한다. 균형자(leveler)는 언어와 행동이 일치되고 다른 사람들과 일치된 대화를 한다.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분명한 대화를 하도록 하며 그러한 대화를 잘 받는 사람을 의미한다. 자신의 감정에 솔직하고 이를 상황에 맞게 잘 전달할 수 있는 대화의 능력을 지닌 사람을 의미한다. 자신의 대화를 스스로 조절하여 다른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사람들이다.
< 역기능 가족관계 >
▶ 낮은 자존감의 역기능
새티어는 대화의 입장에서 가족들의 역기능을 이해한다. 역기능의 대화는 언어 측면의 대화와 비언어 측면의 대화가 일치되지 않는 경우를 말하며, 낮은 자존감을 가진 사람들이다.
낮은 자존감을 가진 사람은?
① 그의 자존감은 다른 사람들이 그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한가 하는 정도에 달려 있다.
② 자신의 자존감이 다른 사람들에게 달려 있기 때문에 그는 자신의 개별성과 자발성을 손상시킨다.
③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을 잘 보이려고 할 때 자신의 낮은 자존감을 위장한다.
④ 그의 낮은 자존감은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이 분명한 정체성을 가진 사람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경험을 전혀 하지 못했다.
⑤ 그는 자신의 부모와 결코 분리되어 본 적이 없는 사람이며 결코 부모와 동등한 사람으로서 관계를 해 본 일이 없다.
낮은 자존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대화를 할 때 대화의 내용을 이중으로 상대방에게 전달한다.
이들이 이중으로 내용을 전달하는 이유는?
① 나는 낮은 자존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자신이 나쁘다고 생각한다.
② 나는 다른 사람의 느낌을 다치게 할까봐 두려워한다.
③ 나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보복을 당할까봐 두려워한다.
④ 나는 우리의 관계가 깨질까봐 두려워한다.
⑤ 나는 강요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⑥ 나는 제 자신 이외에 다른 사람에 대하서 아무런 의식을 갖지 않고 우리의 관계나 다른 사람에 대해서 아무런 의미도 부여하지 않는다.
이들이 대화하는 방식은?
위로자
위로자(placater)는 다른 사람들만을 즐겁게 하려는 사람이다. 다른 사람들을 기쁘게 하고 즐겁게 하는 데에서 자신의 위로를 구한다. 다른 사람들의 의견에 대해서 반대하지 않는다. 이들은 많은 사과를 한다. 다른 사람들의 말에 대해서 항상 긍정하는 사람들이다. 모든 잘못되는 것들에 대해서 자신들이 책임을 느낀다. 다른 사람들에게 항상 신세지고 있는 사람처럼 행동한다. 비록 다른 사람들이 이들을 비난하는 경우에도 그 사람들의 의견에 동의한다. 때로는 다른 사람이 말을 건네기만 하여도 몹시 고마워하는 행동이나 표현을 한다. 목소리는 대체로 작고 느리며 불쌍해 보이는 듯이 말을 한다. 약하고 금방이라도 쓰러질 듯한 표정이나 행동을 한다. 이들은 순교자연하는 사람들이며 다른 사람들의 비위를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5.07.03
  • 저작시기2005.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058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