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비 트렌트 분석의 필요성
2. 뉴 밀레니엄 2000년, 소비자는 즐거움 선택
3. 女心잡는 감성상품 히트, 2000년 이후에도 지속
4. 2003년 값보다 품질’- 웰빙’으로 소비패턴 변화
5. 2005년에는 ‘실속형 가치소비’ 예상
6. 2008년, 국내 소비시장 판도 급변 예상
7. 히트상품 창출을 위한 포인트
1> 트렌드는 좋은 정보 원천이지만 쉽게 모방될 수 있다
▶ Trend Follower는 무의미
▶ Trend Hunter가 되어라
2> 기존 제품을 백지에서 재구성하라
▶ 새로운 기능 확대 가능성 탐색
▶ 기능의 축소도 고려
3> 소비자의 체험을 중시하라
▶ 소비 상황을 철저히 분석하라
▶ 보기 좋은 떡이 먹기에도 좋다
4> 히트상품은 타이밍의 미학
▶ 속도가 중요하다
▶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의 원리를 이해하라
2. 뉴 밀레니엄 2000년, 소비자는 즐거움 선택
3. 女心잡는 감성상품 히트, 2000년 이후에도 지속
4. 2003년 값보다 품질’- 웰빙’으로 소비패턴 변화
5. 2005년에는 ‘실속형 가치소비’ 예상
6. 2008년, 국내 소비시장 판도 급변 예상
7. 히트상품 창출을 위한 포인트
1> 트렌드는 좋은 정보 원천이지만 쉽게 모방될 수 있다
▶ Trend Follower는 무의미
▶ Trend Hunter가 되어라
2> 기존 제품을 백지에서 재구성하라
▶ 새로운 기능 확대 가능성 탐색
▶ 기능의 축소도 고려
3> 소비자의 체험을 중시하라
▶ 소비 상황을 철저히 분석하라
▶ 보기 좋은 떡이 먹기에도 좋다
4> 히트상품은 타이밍의 미학
▶ 속도가 중요하다
▶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의 원리를 이해하라
본문내용
는 소비 상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매장 안에 전시된 각종 가구와 액세서리를 소비 상황을 중심으로 전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즉, '하루 동안의 여행', '야외의 즐거움' 등 소비 상황을 특정 테마로 완성하여 고객에게 다양한 가상적인 생활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이케아 가구를 사용하면 얻게 되는 가치를 소비 상황별로 느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보기 좋은 떡이 먹기에도 좋다
두 번째로 고객에게 감각적인 체험을 어떻게 제공할 수 있을지 생각해야 한다. 즉 시각, 청각, 후각 등 오감을 자극하여 고객들이 유쾌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안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G의 '타이드(Tide)'는 인쇄 광고에 긁으면 향기를 맡을 수 있는 스크래치 패드를 부착시켜 소비자들이 구매 전에 향기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체험을 중시하는 접근법은 자연스럽게 고급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4. 히트상품은 타이밍의 미학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외국기업의 연구개발조직 122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들 연구소들은 연구개발계획의 성공요인으로 31.6%가 '정확한 수요 대응과 제품출시 시점 파악'을 꼽았다.
속도가 중요하다
더욱이 최근에는 많은 제품들의 수명주기가 단축되면서 범용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라 할지라도 출시의 적기를 놓치면 시장에서 성공 여부를 장담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맥킨지 컨설팅의 분석에 의하면 하이테크 산업에서 신제품 출시가 6개월 늦어지면 제품수명주기 상 총 잠재이익의 30% 정도가 상실된다고 한다. 그래서 기업들은 개발기간 단축을 위해 프로세스 혁신, 생산공정의 혁신 등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기업은 무조건 빨리 달리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속도란 속력과 방향성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난다. 방향이 틀리면 아무리 빨리 달려봐야 1등을 할 수 없는 법이다.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의 원리를 이해하라
아울러 시대를 앞선 것으로 평가받는 제품들도 초기에는 고전을 면치 못하는 경우가 많다. '떠먹는 요구르트'는 85년에 첫 제품이 출시되었지만 소비자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생수 역시 86년도에 첫 제품이 출시되었지만 당시 물을 사 먹는다는 개념에 익숙하지 않았던 소비자들에게 외면을 받았다. 이 두 제품은 모두 90년대 들어 시장을 형성하기 시작하여 상당한 규모로 성장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시장진입 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야 도약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업은 수요의 파도에 적응하고 대비해야 한다. 훌륭한 서퍼는 첫 번째 파도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때를 기다려 가장 오래 탈 수 있는 파도를 찾아내려고 노력한다. 즉, 티핑 포인트를 찾기 위해 전력 투구한다는 것이다.
티핑 포인트란 유형의 출현, 신제품 수요의 폭발적 증가 시점을 의미한다. 1984년 최초의 저렴한 팩스가 도입되었고, 그 해 미국에서 약 8만대가 팔려나갔다. 85 86년에 조금씩 판매량이 늘어나다가, 87년에 무려 1백만 대가 팔려 나갔다. 87년이 팩스의 티핑 포인트인 것이다. 제품이나 아이디어가 도약하는 것은 소수의 전파, 메시지의 영향력, 상황의 힘 때문이라고 한다. 따라서 '변화를 일으키는 소수'에게 어필할 수 있도록 메시지, 상황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즉, 소비자의 호응도를 높일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여건을 조성해 가는 노력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바로 '시장조성 능력'이다.
* 참고서적
2010 대한민국 트렌드 저자 : LG경제연구원 출판사 : 한국경제신문사(한경비피)
보기 좋은 떡이 먹기에도 좋다
두 번째로 고객에게 감각적인 체험을 어떻게 제공할 수 있을지 생각해야 한다. 즉 시각, 청각, 후각 등 오감을 자극하여 고객들이 유쾌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안이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G의 '타이드(Tide)'는 인쇄 광고에 긁으면 향기를 맡을 수 있는 스크래치 패드를 부착시켜 소비자들이 구매 전에 향기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체험을 중시하는 접근법은 자연스럽게 고급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4. 히트상품은 타이밍의 미학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외국기업의 연구개발조직 122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들 연구소들은 연구개발계획의 성공요인으로 31.6%가 '정확한 수요 대응과 제품출시 시점 파악'을 꼽았다.
속도가 중요하다
더욱이 최근에는 많은 제품들의 수명주기가 단축되면서 범용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아이디어라 할지라도 출시의 적기를 놓치면 시장에서 성공 여부를 장담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맥킨지 컨설팅의 분석에 의하면 하이테크 산업에서 신제품 출시가 6개월 늦어지면 제품수명주기 상 총 잠재이익의 30% 정도가 상실된다고 한다. 그래서 기업들은 개발기간 단축을 위해 프로세스 혁신, 생산공정의 혁신 등의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기업은 무조건 빨리 달리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속도란 속력과 방향성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난다. 방향이 틀리면 아무리 빨리 달려봐야 1등을 할 수 없는 법이다.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의 원리를 이해하라
아울러 시대를 앞선 것으로 평가받는 제품들도 초기에는 고전을 면치 못하는 경우가 많다. '떠먹는 요구르트'는 85년에 첫 제품이 출시되었지만 소비자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생수 역시 86년도에 첫 제품이 출시되었지만 당시 물을 사 먹는다는 개념에 익숙하지 않았던 소비자들에게 외면을 받았다. 이 두 제품은 모두 90년대 들어 시장을 형성하기 시작하여 상당한 규모로 성장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시장진입 후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야 도약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업은 수요의 파도에 적응하고 대비해야 한다. 훌륭한 서퍼는 첫 번째 파도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때를 기다려 가장 오래 탈 수 있는 파도를 찾아내려고 노력한다. 즉, 티핑 포인트를 찾기 위해 전력 투구한다는 것이다.
티핑 포인트란 유형의 출현, 신제품 수요의 폭발적 증가 시점을 의미한다. 1984년 최초의 저렴한 팩스가 도입되었고, 그 해 미국에서 약 8만대가 팔려나갔다. 85 86년에 조금씩 판매량이 늘어나다가, 87년에 무려 1백만 대가 팔려 나갔다. 87년이 팩스의 티핑 포인트인 것이다. 제품이나 아이디어가 도약하는 것은 소수의 전파, 메시지의 영향력, 상황의 힘 때문이라고 한다. 따라서 '변화를 일으키는 소수'에게 어필할 수 있도록 메시지, 상황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즉, 소비자의 호응도를 높일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여건을 조성해 가는 노력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바로 '시장조성 능력'이다.
* 참고서적
2010 대한민국 트렌드 저자 : LG경제연구원 출판사 : 한국경제신문사(한경비피)
추천자료
노인소비자행동분석과 실버산업광고사례
노인소비자의 구매특성에 대한 완벽 분석
Show 광고분석 - 소비자 기억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행동 광고분석
광고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 분석-갤럭시
소비자행동론 신한 LOVE 카드와 현대카드 광고 분석
빈폴의 소비자행동분석
[스포츠,상업주의,스포츠마케팅]스포츠와 경제, 스포츠와 상업주의, 스포츠와 상업성, 스포츠...
소비자 구매행동 및 유형분석
하늘보리 소비자행동전략,하늘보리마케팅전략,옥수수수염차,하늘보리분석
소비자행동-마케팅실패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stp,4p
[사례를 통한 광고 분석] 소비자 정보처리 과정 (광고 FCB 모델, 광고 TV 매체 효과, SM5 &am...
소비자 정보처리과정에 대해 서술하고 최근 자신이 본 광고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자신의 정...
관광소비자행동론 - 구매의사결정과정 적용 사례 분석 ( 선정이유, 욕구인식, 정보탐색, 구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