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향 비등방성을 통한 선 -운동 착시 현상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향 비등방성을 통한 선 -운동 착시 현상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차례>

1. 연구 목적 및 배경

2. 연구 내용 범위 및 방법

3. 결론 및 제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orientation 조건)이었으며 각 block마다 모든 조건은 한 번씩 제시되었다. 1 session은 12개의 block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피험자마다 총 4개의 session을 수행하였다. 총 9개의 Gabor element가 제시되는 시간 간격은 피험자의 반응에 의해 매 시행마다 stair-case 기법을 통해 조절되었다. 피험자가 어떤 지각하는 선-운동 착시의 지각 속도는 motion-nulling technique을 통해 측정하였다.
* 그림 3,4는 이해를 돕기 위해 36개의 Gabor elements 와 각각 4가지 trigger location 을 보여주고 있다.
Contrast Calibration 실험 방법
피험자는 화면 정중앙의 fixation point에 초점을 맞춘다. 본 실험에 쓰인 고리형 자극과 같은 반지름을 가지는 가상의 고리 상에 균일한 간격으로 떨어진 36개의 Gabor element가 무작위로 제시되었다. 피험자는 Gabor element가 오른쪽 혹은 왼쪽에 나타났는지 판정하였다. Gabor element들의 contrast는 0.01 - 0.20 내의 범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detection rate을 보인 범위 즉, 0.0737-0.20 내에서 지수함수적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떨어진 7가지의 level(즉 0.0737, 0.0870, 0.1028, 0.1214, 0.1434, 0.1693, 0.20)으로 제시하였다. 각 constrast level에서 총 36회씩 detection rate를 fitting하여 detection rate이 75%인 contrast level, 즉, threshold를 추정하였다. Trigger의 contrast level의 threhold의 5배, line component의 contrast level은 threhold contrastdml 3배로 제시하였다.
3. 결론 및 제안
그림 5는 trigger location이 270도일 때 피험자 SHL에게 제시된 자극의 변화를 나타낸다. x축은 각 조건마다의 시행수를 나타내고 y축은 line을 이루는 Gabor element의 제시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인 조건은 시계 방향에 위치하는 Gabor element가 먼저 나타났음을 나타내고 -인 조건은 반시계 방향에 위치하는 Gabor element가 먼저 나타났음을 나타낸다. 피험자의 반응이 같은 조건 내에서 이전 조건과 달라지다가 안정화되는 지점부터의 자료들의 평균값으로 motion nulling speed를 추정하였다. 피험자에게 motion nulling을 일으키는 조건의 line element 제시 시간 차이를 통해서 피험자에게 지각된 선-운동 착시의 지각 속도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200 msec의 시간차이를 두고 line element가 제시되는 조건에서 motion nulling이 일어난다면 피험자가 지각하는 선-운동 착시의 속도는
v = d/t =( 2 x pi x 6 VA )/ (4 x200 msec) = 47.1 VA/msec
이라고 결론내릴 수 있다. 이를 통해, 시계 방향 trigger 위치 혹은 반시계 방향 trigger 위치 조건에서 trigger가 없는 조건의 시간을 빼주면 trigger에 의한 운동 지각 속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림6,7,8은 각각의 피험자마다 반시계 방향 trigger 조건에서 시계 방향 trigger 조건을 빼준 값을 바탕으로 각 위치에서 trigger에 의한 선-운동 착시 현상의 지각 속도 증가를 알아본 결과를 plotting한 것이다. 즉,
v = d / t = (2 x pi x 6VA)/(4 x [반시계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5.08.23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04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