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절 개 요
제 2 절 원주 지역어(地域語)의 개관
제 3 절 문법(文法)
제 4 절 어휘(語彙)
1. 원주방언(원주지역어)
2. 원주권 방언
3. 영서(嶺西) 방언
제 5 절 음운체계(音韻體系)
1. 자음체계(子音體系)
2. 모음체계(母音體系)
제 6 절 음운(音韻) 현상
1. 경음화(硬音化)
2. 유기음화(有氣音化)
3. 구개음화(口蓋音化)
1) ㄱ계 구개음화
2) ㄷ계 구개음화
3) ㅎ계 구개음화
4. 자음탈락(子音脫落)
5. 음운첨가(音韻添加)
6. 음절축약(音節縮約)
7. 어중자음(中子音) ‘ㅅㆍㄱㆍㅂ’
8. ㅣ모음(母音) 역행동화(逆行同化, 움라우트)
9. 단모음화(單母音化)
10. 전설고모음화(前舌高母音化)
11. 후설고모음화(後舌高母音化)
제 7 절 원주 방언의 주요 어휘(語彙)
1. 체언
2. 용언
3. 조사와 어미
4. 부사
제 8 절 맺음말
제 2 절 원주 지역어(地域語)의 개관
제 3 절 문법(文法)
제 4 절 어휘(語彙)
1. 원주방언(원주지역어)
2. 원주권 방언
3. 영서(嶺西) 방언
제 5 절 음운체계(音韻體系)
1. 자음체계(子音體系)
2. 모음체계(母音體系)
제 6 절 음운(音韻) 현상
1. 경음화(硬音化)
2. 유기음화(有氣音化)
3. 구개음화(口蓋音化)
1) ㄱ계 구개음화
2) ㄷ계 구개음화
3) ㅎ계 구개음화
4. 자음탈락(子音脫落)
5. 음운첨가(音韻添加)
6. 음절축약(音節縮約)
7. 어중자음(中子音) ‘ㅅㆍㄱㆍㅂ’
8. ㅣ모음(母音) 역행동화(逆行同化, 움라우트)
9. 단모음화(單母音化)
10. 전설고모음화(前舌高母音化)
11. 후설고모음화(後舌高母音化)
제 7 절 원주 방언의 주요 어휘(語彙)
1. 체언
2. 용언
3. 조사와 어미
4. 부사
제 8 절 맺음말
본문내용
살펴보기로 한다.
(1) 각찌(갈퀴) : 갈키갈퀴가쥐각쟁이곽쟁이
(2) 산수(묘) : 묘미무이뭐이메묘뫼무덤
(3) 산짜리(묏자리) : 묘짜리미짜리뫼자리뭐이자리산수자리
‘각지’는 원주와 횡성에서 발견되고, 평창영월정선삼척에선 ‘깍찌’로 불린다. 양양명주에서는 ‘가쥐’로, 고성에서는 ‘곽쟁이’로 나온다. 홍천춘천화천양구인제에서는 ‘갈키’라 하여 원주권과는 다르다. 따라서 ‘각찌’는 원주권 방언이라 할 수 있다.
‘산수’는 한자어 ‘산소(山所)’에서 연유된 것으로 보이는데, 원주횡성평창철원에서는 ‘모이모이미뭐이’와 혼용되고 있다. 다른 곳에서는 한자어 ‘묘(墓)(영월양구양야고성)’와 ‘미(횡성평창정선홍천인제삼척)메(고성)뭐이(춘천화천철원)무이(홍천)뫼(명주)’ 등으로 불린다. 관련어 ‘산자리’는 원주횡성홍천춘천양구에서 쓰이고 평창에서는 ‘산수자리’가 발견된다. 다른 곳에서는 ‘묘자리(영월)’미짜리(횡성평창정선인제)뭐이자리(화천철원)뫼자리(명주)‘ 등이 쓰인다. 따라서 ’산수산짜리‘는 원주권방언으로 볼 수 있다.
3. 영서(嶺西) 방언
(1) 유리(우박) : 누리 박 우박
(2) 소시랑(쇠스랑) : 쇠시랑 쇄시랑 소스랑
(3) 새뚝(밭둑) : 밭뚝 밭뛰 밭띠렁 밭뚜렁
(4) 짠지(절인 배추김치) : 짐치
‘유리’는 원주평창영월과 춘천화천에서 발견된다. 강원도에서는 ‘누리’가 보다 많이 쓰여 횡성평창영월정선홍천춘천양구철원인제 등지에서 발견된다. ‘박(횡성)우박(평창영월삼척)’도 보인다. ‘유리’는 경기도 동부와 충북경북 및 함북 등지에서 발견되고 있어 강원도에서는 영서방언으로 볼 수 있다. ‘누리’는 전라경상충청중부 등지에서 두루 나온다. 중세국어는 ‘무리(정음훈몽)’인데 지금은 황해평안함경 지역에서만 남아 있고 ‘우박’이 그 밖의 지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소시랑’은 원주횡성평창영월홍천양구에서, ‘소스랑’이 횡성과 철원에서 발견된다. ‘쇠시랑’이 정선춘천화천인제에서, ‘쇄시랑’이 인제에서 각각 보인다. ‘소시랑’계가 영서지방에서 많이 사용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새뚝’은 원주춘천화천철원에서 발견된다. 다른 곳에서는 ‘바천(횡성)밭뚝(영월정선춘천화천양구인제)밭띠렁(평창)밭뚜렁(홍천)’등이 쓰인다. 따라서 ‘새뚝’은 영서방언이라 하겠다.
‘짠지’는 원주횡성평창영월정선홍천춘천양구인제에서 발견된다. ‘김치’가 철원춘천홍천, ‘짐치’가 화천철원홍천횡성원주평창영월에서 보인다. 그런데 원주 지역에서는 ‘짠지’는 고춧가루를 넣은 배추김치에, ‘김치’는 고춧가루를 넣지 않은 물김치에 각각 쓰고 있어 구별하고 있다. 인제횡성과 고성양양에서는 원주와 같이 고춧가루를 넣지 않은 것에 ‘짐치/김치’를 쓰고 있어 원주의 ‘짠지’는 특별하다고 하겠다. ‘짠지’가 표준어는 아니지만 충청강원 이북 등지에서 쓰고 있다. 강원도에서는 그 사용권이 넓다고 하겠다.
(1) 드레우물(샘우물) : 원주홍천횡성영월정선양구인제(경기도 연천양평, 평북 박천영변 등에서도 발견된다. 물을 뜨는 ‘두레박’은 전국적으로 발견된다).
(2) 만화(지라) : 원주평창영월정선횡성홍천춘천양구인제삼척(‘만화’는 고어로 경기도 연천양평, 충북의 제천단양연풍괴산음성청주보은옥천영동, 충남의 조치원논산부여청양대천안면, 경북의 경산대구고령의성, 전남의 함평해남화순보성고흥완도영암진도, 평북의 박천영변 등에서도 발견된다).
괴(개금-榛子)오조찌끼(범아재비사마귀-螳螂)지렁(간장-水醬)ⓖ(조약돌-礫)등도 희귀어로 원주에서 발견된다.
제 5 절 음운체계(音韻體系)
1. 자음체계(子音體系)
원주 지역에서 서로 변별적(辨別的) 대립을 가지는 음운 단위로서의 자음은 모두 19개가 있다.
ㅂ ㄷ ㄱ ㅈ ㅅ ㅎ
ㅍ ㅌ ㅋ ㅊ
ㅃ ㄸ ㄲ ㅉ ㅆ
ㅁ ㄴ ㅇ ㄹ
이들은 음성 실현과정에서의 분포상의 제약은 표준어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다. ‘ㄴ’은 두음(頭音)으로서는 ‘ㅣ(ij)’ 앞에서 음성으로 실현되지 못하고, ‘ㅇ’은 두음에서는 나타날 수 없고 음절말의 위치에서만 실현된다. ‘ㄹ’은 두음으로서는 (r)로, 음절말음으로서는 (l)로 실현된다. ‘ㄹ’이 두음으로서의 (r)이 실현되지 못하고 ‘ㄴ’(n)으로 변하는 제약 조건은 ‘ㄴ’의 경우와 같다. ‘ㅎ’은 음절말 위치에서는 실현되지 못하고 ‘ㅎ→ㅅ→ㄷ’의 과정을 거쳐 ‘ㄷ’으로 중화된다. 또 ‘ㅎ’어간말음 동사의 활용형 중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가운데 자음축약이 될 수 없는 자음이 연결되면 ‘ㅎ’말음은 ‘ㄴ’으로 실현된다.
2. 모음체계(母音體系)
원주 지역어에서 서로 변별적 대립을 가지는 단모음은 모두 10개인데 다음과 같은 체계를 이룬다. 원주 지역어의 10모음 체계는 우리나라 방언에서 가장 많은 수의 체계이다.
ㅣ ㅟ ㅡ ㅜ
ㅔ ㅚ ㅓ ㅗ
ㅐ ㅏ
‘ㅟ’와 ‘ㅚ’는 중세국어에서는 이중모음이었으나 현대에는 단모음화한 것들이다. 원주 지역에서는 ‘ㅟㆍㅚ’가 어휘에 따라 단모음으로도 실현되고 중모음으로도 실현된다. ‘ㅟ’는 원주지역어에서는 자음이 선행되지 않는 음절에서만 대부분 이중모음으로 실현된다. 자음 뒤에서는 모두 단모음 또는 ‘ㅜㆍㅣ’ 등의 다른 단모음으로 바뀌어 나타난다. 복합어의 경우도 같다.
1) ㅟ(단모음 실현)
귀신(鬼神), 귀뜨라미(), 뀌기다(꾸기다)
2) ㅟ (중모음 실현, 또는 ㅜ)
위(上), 위인(偉人), 위장(胃腸), 위조(僞造), 가위(鋏), 거위(鵝), 바위(岩)
‘ㅚ’는 ‘ㅟ’와 달리 자음의 선행 여부와 관계 없이 어느 경우에나 단모음으로 실현되는 경우가 훨씬 우세하다.
왼(左), 외국(外國), 외다(誦), 외롭다(孤), 참외(眞瓜), 회(膾), 회이리바람( ), 되( ), 되다(化), 된장(胡漿), 쇠(鐵), 쇠줄(鐵 ), 열쇠(鍵), 푀기(株)
‘ㅓ’는 긴소리의 자질이 가해질 경우 ‘ㅡ’와 중화되어 실현되는 것이 조금 발견된다. 그러나 부분적인 음성 실현일 뿐 의미적 대립을 나타내지는 못한다.
거지→그지(乞人), 거머리→그머리(蛭), 널→늘(板), 섣달→섣달(十二月), 설→슬(正月, 初日), 써레→쓰레( ), 써레→쓰레(農具), 어떻게→으떻게(何), 얼마→을마(幾何), 처녀→츠녀(處女), 헝겊→흥겊(片佈), 성내다→승내다(性), 없다→
(1) 각찌(갈퀴) : 갈키갈퀴가쥐각쟁이곽쟁이
(2) 산수(묘) : 묘미무이뭐이메묘뫼무덤
(3) 산짜리(묏자리) : 묘짜리미짜리뫼자리뭐이자리산수자리
‘각지’는 원주와 횡성에서 발견되고, 평창영월정선삼척에선 ‘깍찌’로 불린다. 양양명주에서는 ‘가쥐’로, 고성에서는 ‘곽쟁이’로 나온다. 홍천춘천화천양구인제에서는 ‘갈키’라 하여 원주권과는 다르다. 따라서 ‘각찌’는 원주권 방언이라 할 수 있다.
‘산수’는 한자어 ‘산소(山所)’에서 연유된 것으로 보이는데, 원주횡성평창철원에서는 ‘모이모이미뭐이’와 혼용되고 있다. 다른 곳에서는 한자어 ‘묘(墓)(영월양구양야고성)’와 ‘미(횡성평창정선홍천인제삼척)메(고성)뭐이(춘천화천철원)무이(홍천)뫼(명주)’ 등으로 불린다. 관련어 ‘산자리’는 원주횡성홍천춘천양구에서 쓰이고 평창에서는 ‘산수자리’가 발견된다. 다른 곳에서는 ‘묘자리(영월)’미짜리(횡성평창정선인제)뭐이자리(화천철원)뫼자리(명주)‘ 등이 쓰인다. 따라서 ’산수산짜리‘는 원주권방언으로 볼 수 있다.
3. 영서(嶺西) 방언
(1) 유리(우박) : 누리 박 우박
(2) 소시랑(쇠스랑) : 쇠시랑 쇄시랑 소스랑
(3) 새뚝(밭둑) : 밭뚝 밭뛰 밭띠렁 밭뚜렁
(4) 짠지(절인 배추김치) : 짐치
‘유리’는 원주평창영월과 춘천화천에서 발견된다. 강원도에서는 ‘누리’가 보다 많이 쓰여 횡성평창영월정선홍천춘천양구철원인제 등지에서 발견된다. ‘박(횡성)우박(평창영월삼척)’도 보인다. ‘유리’는 경기도 동부와 충북경북 및 함북 등지에서 발견되고 있어 강원도에서는 영서방언으로 볼 수 있다. ‘누리’는 전라경상충청중부 등지에서 두루 나온다. 중세국어는 ‘무리(정음훈몽)’인데 지금은 황해평안함경 지역에서만 남아 있고 ‘우박’이 그 밖의 지역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소시랑’은 원주횡성평창영월홍천양구에서, ‘소스랑’이 횡성과 철원에서 발견된다. ‘쇠시랑’이 정선춘천화천인제에서, ‘쇄시랑’이 인제에서 각각 보인다. ‘소시랑’계가 영서지방에서 많이 사용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새뚝’은 원주춘천화천철원에서 발견된다. 다른 곳에서는 ‘바천(횡성)밭뚝(영월정선춘천화천양구인제)밭띠렁(평창)밭뚜렁(홍천)’등이 쓰인다. 따라서 ‘새뚝’은 영서방언이라 하겠다.
‘짠지’는 원주횡성평창영월정선홍천춘천양구인제에서 발견된다. ‘김치’가 철원춘천홍천, ‘짐치’가 화천철원홍천횡성원주평창영월에서 보인다. 그런데 원주 지역에서는 ‘짠지’는 고춧가루를 넣은 배추김치에, ‘김치’는 고춧가루를 넣지 않은 물김치에 각각 쓰고 있어 구별하고 있다. 인제횡성과 고성양양에서는 원주와 같이 고춧가루를 넣지 않은 것에 ‘짐치/김치’를 쓰고 있어 원주의 ‘짠지’는 특별하다고 하겠다. ‘짠지’가 표준어는 아니지만 충청강원 이북 등지에서 쓰고 있다. 강원도에서는 그 사용권이 넓다고 하겠다.
(1) 드레우물(샘우물) : 원주홍천횡성영월정선양구인제(경기도 연천양평, 평북 박천영변 등에서도 발견된다. 물을 뜨는 ‘두레박’은 전국적으로 발견된다).
(2) 만화(지라) : 원주평창영월정선횡성홍천춘천양구인제삼척(‘만화’는 고어로 경기도 연천양평, 충북의 제천단양연풍괴산음성청주보은옥천영동, 충남의 조치원논산부여청양대천안면, 경북의 경산대구고령의성, 전남의 함평해남화순보성고흥완도영암진도, 평북의 박천영변 등에서도 발견된다).
괴(개금-榛子)오조찌끼(범아재비사마귀-螳螂)지렁(간장-水醬)ⓖ(조약돌-礫)등도 희귀어로 원주에서 발견된다.
제 5 절 음운체계(音韻體系)
1. 자음체계(子音體系)
원주 지역에서 서로 변별적(辨別的) 대립을 가지는 음운 단위로서의 자음은 모두 19개가 있다.
ㅂ ㄷ ㄱ ㅈ ㅅ ㅎ
ㅍ ㅌ ㅋ ㅊ
ㅃ ㄸ ㄲ ㅉ ㅆ
ㅁ ㄴ ㅇ ㄹ
이들은 음성 실현과정에서의 분포상의 제약은 표준어의 경우와 크게 다르지 않다. ‘ㄴ’은 두음(頭音)으로서는 ‘ㅣ(ij)’ 앞에서 음성으로 실현되지 못하고, ‘ㅇ’은 두음에서는 나타날 수 없고 음절말의 위치에서만 실현된다. ‘ㄹ’은 두음으로서는 (r)로, 음절말음으로서는 (l)로 실현된다. ‘ㄹ’이 두음으로서의 (r)이 실현되지 못하고 ‘ㄴ’(n)으로 변하는 제약 조건은 ‘ㄴ’의 경우와 같다. ‘ㅎ’은 음절말 위치에서는 실현되지 못하고 ‘ㅎ→ㅅ→ㄷ’의 과정을 거쳐 ‘ㄷ’으로 중화된다. 또 ‘ㅎ’어간말음 동사의 활용형 중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가운데 자음축약이 될 수 없는 자음이 연결되면 ‘ㅎ’말음은 ‘ㄴ’으로 실현된다.
2. 모음체계(母音體系)
원주 지역어에서 서로 변별적 대립을 가지는 단모음은 모두 10개인데 다음과 같은 체계를 이룬다. 원주 지역어의 10모음 체계는 우리나라 방언에서 가장 많은 수의 체계이다.
ㅣ ㅟ ㅡ ㅜ
ㅔ ㅚ ㅓ ㅗ
ㅐ ㅏ
‘ㅟ’와 ‘ㅚ’는 중세국어에서는 이중모음이었으나 현대에는 단모음화한 것들이다. 원주 지역에서는 ‘ㅟㆍㅚ’가 어휘에 따라 단모음으로도 실현되고 중모음으로도 실현된다. ‘ㅟ’는 원주지역어에서는 자음이 선행되지 않는 음절에서만 대부분 이중모음으로 실현된다. 자음 뒤에서는 모두 단모음 또는 ‘ㅜㆍㅣ’ 등의 다른 단모음으로 바뀌어 나타난다. 복합어의 경우도 같다.
1) ㅟ(단모음 실현)
귀신(鬼神), 귀뜨라미(), 뀌기다(꾸기다)
2) ㅟ (중모음 실현, 또는 ㅜ)
위(上), 위인(偉人), 위장(胃腸), 위조(僞造), 가위(鋏), 거위(鵝), 바위(岩)
‘ㅚ’는 ‘ㅟ’와 달리 자음의 선행 여부와 관계 없이 어느 경우에나 단모음으로 실현되는 경우가 훨씬 우세하다.
왼(左), 외국(外國), 외다(誦), 외롭다(孤), 참외(眞瓜), 회(膾), 회이리바람( ), 되( ), 되다(化), 된장(胡漿), 쇠(鐵), 쇠줄(鐵 ), 열쇠(鍵), 푀기(株)
‘ㅓ’는 긴소리의 자질이 가해질 경우 ‘ㅡ’와 중화되어 실현되는 것이 조금 발견된다. 그러나 부분적인 음성 실현일 뿐 의미적 대립을 나타내지는 못한다.
거지→그지(乞人), 거머리→그머리(蛭), 널→늘(板), 섣달→섣달(十二月), 설→슬(正月, 初日), 써레→쓰레( ), 써레→쓰레(農具), 어떻게→으떻게(何), 얼마→을마(幾何), 처녀→츠녀(處女), 헝겊→흥겊(片佈), 성내다→승내다(性), 없다→
추천자료
[연구개발][연구개발활동][R&D][연구개발(R&D) 투자유인][연구개발(R&D) 투자동...
[연구개발][R&D]연구개발(R&D)의 정의, 연구개발(R&D)의 결정요인, 3M의 연구개...
[현장교육연구]현장교육연구의 정의와 필요성, 현장교육연구의 분류, 현장교육연구의 목적과 ...
[연구학교][연구학교 과정][정보통신기술(ICT)][연구학교의 사례][연구학교의 활용 방안]연구...
[실행연구][액션리서치]실행연구(액션리서치)의 개념, 실행연구(액션리서치)의 유형, 실행연...
[불법연구회, 원불교, 창건사, 회보, 송정산, 불법연구]불법연구회(원불교)의 창립, 불법연구...
[연구개발, R&D, 연구개발(R&D) 정의, 연구개발(R&D) 특징, 연구개발(R&D) ...
[국가연구개발사업]국가연구개발사업의 지적재산권,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투자, 국가연구개발...
[연구개발지출]연구개발지출(R&D지출)과 개발활동, 연구개발지출(R&D지출)과 조세지...
[행위당사자연구][행위당사자][행위당사자연구 의의][행위당사자연구 필요성][행위당사자연구...
[연구원][국어연구원][기상연구원][기업연구원][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국어연구원, ...
[기업연구소][기업연구소 기술이전][기업연구소 동기부여][연봉제][기업연구소 연구원 인센티...
[연구소][국방과학연구소]안전성평가연구소, 국방과학연구소, 농공기술연구소, 건설산업연구...
[행정사례연구 3공통]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갈등사례를 선택하여 사례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