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7차 교육과정의 특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 7차 교육과정의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추구하는 인간상

※ 교육 과정의 구성 방침

※ 학교 교육과정의 편성

※ 수준별 교육과정 도입

※ 특별 활동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 교육 과정의 평가와 질 관리

본문내용

운영과 교육청의 교육 과정 지원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 교와 관련 교육청에 대한 평가를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③ 교육 과정 편성*운영과 지원 체제의 적절성과 실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 다. 이 교육 과정이 적용되는 첫 해부터 다양한 절차를 거쳐 해당 학교, 학년, 학생에 게 적절한지를 조사하여 평가하되, 교육 과정 평가 연구는 교육 과정의 편제, 시간(단 위) 배당, 편성*운영 지침의 적절성과 그 적용 효과에 중점을 둔다.
국가 수준에서는 학교에서 교육 과정의 정신을 구현한 평가 활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서 학교 현장에 제공해 주어야 한다.
①교과별로 \'절대 평가 기준\'을 개발, 보급하여 학교가 교과 교육 과정의 목표에 부합되는 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② 국가 수준의 평가 문항 은행을 구축하여 에듀넷 등 컴퓨터통신망을 통해 학교가 평가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③ 교과별 평가 활동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 방법, 절차, 도구 등을 개발하여 학교에 제공한다.
학교에서 실시하는 평가 활동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① 평가는 모든 학생들이 교육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교육의 과정으로 실시한다.
② 학교는 다양한 평가 도구와 방법으로 성취도를 평가하여 학생의 목표 도달도를 확인하고,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③ 교과의 평가는 선다형 일병도의 지필 검사를 지양하고, 서술형 주관식 평가와 표현 및 태도의 관찰 평가가 조화롭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④ 실험*실습의 평가는 교과목의 성격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세부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실시한다.
⑤ 정의적, 기능적, 창의적인 면이 특히 중시되는 교과의 평가는 타당한 평정 기준과 척 도에 의거하여 실시한다.
⑥ 학교와 교사는 학교에서 가르친 내용과 기능을 평가하도록 유의한다. 학생이 학교에서 배울 기회를 마련해 주지 않고, 학교 밖의 교육 수단을 통해서 익힐 수밖에 없는 내용과 기능은 평가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⑦ 초등 학교의 교과 활동 평가는 학생의 활동 상황과 특징, 진보의 정도 등을 파악하여, 그 결과를 서술적으로 기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⑧ 재량 활동에 대한 평가는 교과 재량 활동과 창의적 재량 활동의 특성과 학생의 특성을 감안하여 평가의 주안점을 학교에서 작성, 활용한다. 다만, 창의적 재량 활동의 평가는 그 결과를 기록하도록 한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9.15
  • 저작시기200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127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