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양수천자(Amniocentesis)
2.생물리학적 모니터
3. 태아 스트레스
4. 태아 심박동 양상
5. 태아 심박동수의 주기적 변화
2.생물리학적 모니터
3. 태아 스트레스
4. 태아 심박동 양상
5. 태아 심박동수의 주기적 변화
본문내용
ration)
-하강은 자궁수축 이후에 시작했다가 수축이 끝난 이완기에도 지속
-만기하강의 지속 혹은 반복은 태반관류 결핍으로 인한 태아 저산소증을 의미
-태아심박동수가 30bpm 이상 하강되면 분명히 만기하강이라 할수 있다.만기하강은 모체의 저혈압 또는 심한 자궁활동(예:유도분만)과 관련되어 태아의 산화작용을 저해하는 모체나 태반 태아 ,제대의 어떤 요인에 의해서 나타날 수 있다. 만약 만기하강이 최소의 기초변이성 및 빈맥과 연관된다면 확실한 태아질식 현상으로 위험한 상태이다.
▶만기하강(late deceleration0과 다양성 하강(varoable deceleration)◀
만기하강
다양성 하강
정의
자궁수축과 관련되어 태아심박동이 기준선보다 낮게 나타나는 경우
수축의 시작과 관련하여 태아심박동의 급격한 일시적인 감소가 기간,강도,시기에 다라 다양하다.
모양
일정하다
다양함:태아심박동이 갑자기 하강,V또는 U 모양
시작
수축이 시작한 후 늦게,즉 수축의 최정점 이후에 하강이 나타남;수축의 최정점 이후에 하강의 최저점이 나타남
수축의 시기가 다양하다.
일시적인 상승이 사전에 나타나기도 한다
회복
수축이 끝난 후에 회복된다
정상선으로의 회복이 빠르며 때로 일시적인 상승상태로 있거나 상승되어 지속된 후 하강이 된다
하강
보통은 수축의 진폭에 비례한다;드물게 100회/분 이하로 하강한다.
*경함:어던 수준에서든 하강기간이 30초 이하이고 정상선으로 바로 회복된다
*중정도:하강이 80회/분 이상이고 어떤 기간에서든 정상선으로 회복이 빠르다.
*심한정도:하강이 70회/분 이하이면서 30초 이상 지속됨.
정상선으로 회복이 느리다.
기초선
변이성의 소실과 관련되며 빈맥증상
*경한 경우는 평균 기초변이성을 유지한다.
*중정도와 심한 경우는 변이성 감소와 빈맥증상이 나타난다.
빈도
수축시 나타나며 수축의 강도와 기간에 비례한다.
다양함:흔히 태아하강시 또는 분만2기 후기에 나타난다.
요인
*다음과 같은 자궁태반 기능 부전요인과 관련된다.
-자궁의 과다활동 도는 고긴장성
-모체의 체위성 저혈압
(maternal supine position)
-경막외 또는 척추마취
-태반조기박리
-고혈압성 질환
-과숙아
-자궁내 성장지연(IUGR)
-당뇨
-양막염
-심장질환
-모체빈혈
*다음과 같은 제대압박과 관련된다.
-태아와 모체골반이 사이에 제대가 끼인 모체체위
-체대가 태아의 목,팔,다리 또는 기타 몸체를 감고있음
-짧은 제대
-제대의 매듭
-제대의 탈출
임상적 의의
*안심할수 없음
*태아저산소증,산독증,아프가 점수저하 등과 관련되는 양상;지속되고 교정이 되지 않는 다면 특히 빈맥과 변이성 상실과 관련이 된다면 위태로움을 고려해야 한다.
*변이성 하강은 모든 분만의 50%에서 발생된다. 보통 일시적이고 교정이 되면 아프가 점수가 저하되는 것과 관련이 없다.
*경한 경우 안심할수 있다.
*중정도 및 심한 경우 태아산독증,저산소증,아프가 점수 저하 등을 고려할수 있다.
*분만 직전 좋은 변이성이 있으면서 나타나는 심한 다양성 하강은 보통 묵인한다.
간호중재
*모체체위변경
*모체저혈압교정
*다리상승
*정맥주입속도 증가
*교정이 안되면 분만종결을 돕는다
*태아혈액 채취시 돕는다
*모체체위변경
*자궁수축제 중단
*산소를 마스크로 10~12L/min을 준다.
*태아혈액체취시 돕는다.
*제대가 탈출되면 수술분만이 되기까지 장갑낀 손가락으로 제대의 압박을 막기 위해 태아선진부를 상승시킨다.
*지시에 따른 양막수액을 돕는다.
*출산을 돕는다
(3)다양성 하강(Variable deceleration)
-자궁수축 전이나 중간 또는 후에 태아심박동수가 일시적으로 떨어지는 현상
-다양성 하강은 제대의 부분적인
-하강은 자궁수축 이후에 시작했다가 수축이 끝난 이완기에도 지속
-만기하강의 지속 혹은 반복은 태반관류 결핍으로 인한 태아 저산소증을 의미
-태아심박동수가 30bpm 이상 하강되면 분명히 만기하강이라 할수 있다.만기하강은 모체의 저혈압 또는 심한 자궁활동(예:유도분만)과 관련되어 태아의 산화작용을 저해하는 모체나 태반 태아 ,제대의 어떤 요인에 의해서 나타날 수 있다. 만약 만기하강이 최소의 기초변이성 및 빈맥과 연관된다면 확실한 태아질식 현상으로 위험한 상태이다.
▶만기하강(late deceleration0과 다양성 하강(varoable deceleration)◀
만기하강
다양성 하강
정의
자궁수축과 관련되어 태아심박동이 기준선보다 낮게 나타나는 경우
수축의 시작과 관련하여 태아심박동의 급격한 일시적인 감소가 기간,강도,시기에 다라 다양하다.
모양
일정하다
다양함:태아심박동이 갑자기 하강,V또는 U 모양
시작
수축이 시작한 후 늦게,즉 수축의 최정점 이후에 하강이 나타남;수축의 최정점 이후에 하강의 최저점이 나타남
수축의 시기가 다양하다.
일시적인 상승이 사전에 나타나기도 한다
회복
수축이 끝난 후에 회복된다
정상선으로의 회복이 빠르며 때로 일시적인 상승상태로 있거나 상승되어 지속된 후 하강이 된다
하강
보통은 수축의 진폭에 비례한다;드물게 100회/분 이하로 하강한다.
*경함:어던 수준에서든 하강기간이 30초 이하이고 정상선으로 바로 회복된다
*중정도:하강이 80회/분 이상이고 어떤 기간에서든 정상선으로 회복이 빠르다.
*심한정도:하강이 70회/분 이하이면서 30초 이상 지속됨.
정상선으로 회복이 느리다.
기초선
변이성의 소실과 관련되며 빈맥증상
*경한 경우는 평균 기초변이성을 유지한다.
*중정도와 심한 경우는 변이성 감소와 빈맥증상이 나타난다.
빈도
수축시 나타나며 수축의 강도와 기간에 비례한다.
다양함:흔히 태아하강시 또는 분만2기 후기에 나타난다.
요인
*다음과 같은 자궁태반 기능 부전요인과 관련된다.
-자궁의 과다활동 도는 고긴장성
-모체의 체위성 저혈압
(maternal supine position)
-경막외 또는 척추마취
-태반조기박리
-고혈압성 질환
-과숙아
-자궁내 성장지연(IUGR)
-당뇨
-양막염
-심장질환
-모체빈혈
*다음과 같은 제대압박과 관련된다.
-태아와 모체골반이 사이에 제대가 끼인 모체체위
-체대가 태아의 목,팔,다리 또는 기타 몸체를 감고있음
-짧은 제대
-제대의 매듭
-제대의 탈출
임상적 의의
*안심할수 없음
*태아저산소증,산독증,아프가 점수저하 등과 관련되는 양상;지속되고 교정이 되지 않는 다면 특히 빈맥과 변이성 상실과 관련이 된다면 위태로움을 고려해야 한다.
*변이성 하강은 모든 분만의 50%에서 발생된다. 보통 일시적이고 교정이 되면 아프가 점수가 저하되는 것과 관련이 없다.
*경한 경우 안심할수 있다.
*중정도 및 심한 경우 태아산독증,저산소증,아프가 점수 저하 등을 고려할수 있다.
*분만 직전 좋은 변이성이 있으면서 나타나는 심한 다양성 하강은 보통 묵인한다.
간호중재
*모체체위변경
*모체저혈압교정
*다리상승
*정맥주입속도 증가
*교정이 안되면 분만종결을 돕는다
*태아혈액 채취시 돕는다
*모체체위변경
*자궁수축제 중단
*산소를 마스크로 10~12L/min을 준다.
*태아혈액체취시 돕는다.
*제대가 탈출되면 수술분만이 되기까지 장갑낀 손가락으로 제대의 압박을 막기 위해 태아선진부를 상승시킨다.
*지시에 따른 양막수액을 돕는다.
*출산을 돕는다
(3)다양성 하강(Variable deceleration)
-자궁수축 전이나 중간 또는 후에 태아심박동수가 일시적으로 떨어지는 현상
-다양성 하강은 제대의 부분적인
추천자료
제왕절개술 레포트
제왕절개
(모성간호) 임부간호, 고위험임신, 산부간호, 고위험 산부간호
여성건강간호학 21,22,24장 요약정리
[제왕절개수술][제왕절개분만]제왕절개수술(제왕절개분만)의 개념과 원인, 제왕절개수술(제왕...
제왕절개 cesarean section case study (DR) c/s
조기파막 정리(간호)
제왕절개분만 - 정의, 수술적 간호, 수술방법, 제왕절개 과정, 수술중 간호, 퇴원교육
[간호학]제왕절개(Cesarean-section)
제왕절개술 의학
제왕절개
[출산] 출산의 과정(분만단계), 출산시 환경조건, 출산의 문제
모성간호학-제왕절개 case study
간호, case study,여성,조기 양막 파수(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소개글